중국이 시속 600km로 달리는 자기부상 열차 시스템을 공개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열차로 시스템이 공개된 것은 세계 처음이다. 조만간 상용화될 전망이다. 그동안 중국은 자기부상열차 부문의 세계 최고의 기술을 보유하려 노력해왔다. 땅이 넓은 중국에서 고속열차는 가장 합리적인 이동수단이기 때문이다. 중국 산둥성 칭다오(靑島) 정부는 20일 위챗(중국판 카카오톡) 계정 등을 통해 초고속 자기부상열차 시스템을 공개했다. 기관차 개발사는 중처쓰팡(中車四方)이다. 기존 고속철 최고 운행속도는 대략 시속 350km가량이다. 항공기 순항속도는 시속 800~900km로 이번에 개발된 자기부상열차가 상용화된다면 지상에서 항공기에 준하는 속도로 이동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특히 이착륙 등에 시간이 걸리며 1회 수송가능한 사람과 물동량에 한계가 큰 비행기와 달리 자기부상 열차는 도착, 출발 준비가 따로 필요없고 1회 수송가능한 사람과 물동량도 비행기의 배가 넘는다. 공개된 자료에 등장하는 열차는 5량으로 편성됐다. 열차는 공장과 주변에 시험용으로 설치된 선로를 주행했다. 고속 자기부상 열차는 전자기력을 이용, 열차와 궤도 간 접촉 없이 미끄러지듯 운행돼 기존 열차보다 고속을 내
중국 광둥성 선전시가 자율주행차 개발의 중심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선전은 중국 '개혁ㆍ개방 1번지'였다. 초근엔 '첨단기술의 허브'로 자리잡았다. 이제 자율주행차의 천국으로 새롭게 변신하고 있는 것이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0일 선전시에는 자율주행차 관련 스타트 업이 800개에 달하고 '로보택시', 즉 자율주행 택시가 운행되는 도시라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는 선전시 정부의 행정적 지원 덕이다. 시는 자율주행차 관련 법규를 준비하는 등 자율주행차 운행 여건 조성에 적극 노력하고 있다. 이에 중국 각지의 자율주행관련 기업들이 선전으로 몰려드는 것이다. 자율주행차 스타트업인 '딥루트닷에이아이(딥루트ㆍDeepRoute.aiㆍ元戎啓行)' 역시 마찬가지다. 이 회사는 지난 19일 선전시민들을 대상으로 로보택시 운행 서비스를 처음으로 시작했다. 처음 서비스는 총 20대의 로보택시가 동원됐다. 선전시 업무중심지인 푸톈(福田)구에서는 이들 로봇 택시를 실제 타고 이동이 가능하다. 택시 안에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안전 요원이 타고 있다. 이용자는 성인만 가능하다. 사전예약 형식으로 운영된다. 예약을 한 고객에게는 초대코드가 전해지고 이를 로봇택시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주춤했던 북중 교역액 다시 증가하고 있다. 지난달 대(對)중국 북한 수입액이 1천만달러대를 회복했다. 18일 중국 세관당국인 해관총서에 따르면 지난달 북한의 중국산 수입 규모는 1천231만8천달러(약 140억5천만원)를 기록했다. 올 1~2월 북한의 대중국 수입은 사실상 교역 중단 수준인 2만9천달러(약 3천만원)와 3천달러(약 342만원)에 그쳤었다. 이어 3월 1천297만8천달러(약 148억원), 4월 2천875만1천달러(약 328억원)까지 늘었다. 그러던 것이 지난 5월에 다시 271만4천달러(약 30억9천만원)로 급감했었다. 현재 북중 교역은 육로가 막혀 주로 해상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코로나 확산을 두려워한 북한은 여전히 중국과 육로 엄격히 차단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실제 지난해 북한은 모든 국경을 봉쇄하고 무역도 중단했었다. 반입이 끊기면서 국내 물자 부족보다 코로나 반입으로 인한 감염 확산이 더 우려됐기 때문이다. 북한의 의료체계는 세계 최저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변변한 병원 하나 없는 게 북한의 현실이다. 그도 그럴 것이 북한은 소득 수준 자체가 세계 최저 수준의 최빈국이다. 먹고 살기도 바쁜데 병치레 신
중국의 주요 IT 기업 창업자들의 기부가 잇따르고 있다 중국 당국이 대형 정보기술(IT)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가운데 나와, 당국 눈치 보기 기부라는 평이다. 블룸버그통신은 19일 샤오미(小米)의 공동 창업자인 레이쥔(雷軍)은 자신이 보유한 이 회사 주식 22억달러(약 2조5천137억원)어치를 재단 2곳에 최근 기부했다고 전했다. 관련 기사는 홍콩증권거래소 공시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레이쥔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지난달에는 중국 최대 배달서비스 플랫폼 메이퇀(美團)의 왕싱(王興) 공동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23억달러(2조6천280억원) 규모의 회사 주식을 기부했다. 자신이 만든 교육·과학 연구 자선재단이기는 하지만 이 같은 기부는 공익적인 연구과제를 수행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의미가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틱톡을 만든 장이밍(張一鳴) 바이트댄스 창업자도 지난달 7억7천만달러(884억원)를 교육사업에 기부했다. 장이밍은 고향의 교육 사업 육성을 위해 자신의 할머니 이름을 딴 재단을 설립했었다. 텐센트의 창업자인 마화텅은 지난 4월 사회적 재난을 치유하고 농촌의 가난 극복을 돕기 위해 77억달러 규모의 회사 자금을 쓰도록 할 것
중국 당국이 도입을 추진 중인 디지털 위안화(e-CNY)가 심각한 금융위기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편리함도 있지만, 모든 계좌가 완전히 노출되는 문제점, 복제 기술의 발전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기 때문이다. 1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지난 15일 디지털 위안화에 관한 SCMP 주최 온라인 토론에서 황이핑(黃益平) 베이징대 교수는 "기술은 항상 '양날의 검'"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디지털 위안화 사용에 있어 장단점을 잘 따져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황 교수는 "디지털 위안화를 통해 당국은 실시간으로 효과적인 통화 감시를 할 수 있다"면서도 "대외 결제 시스템에 대한 감시역량을 강화할 수 있지만, 동시에 투기꾼 등도 기술을 활용해 빠르게 일을 처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황 교수는 이 같은 점이 보완되지 않으면 심각한 금융위기가 초래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황 교수는 현재 미국의 압박에 놓은 중국의 경제 상황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미국이 중국에 대한 금융 제재 부과를 강화하고 있다고 전제하며 이에 국제 금융과 무역, 투자에서 위안화의 사용을 늘려 미국 달러를 우회하는 문제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중국은 세계 최대 주류시장이다. 고급 술이란 술은 다 모여있다. 이 중국 시장에 스코틀랜드 증류 공장이 통째로 수출된다. 중국은 전통 바이주 이외 위스키와 포도주 시장에서 큰 손으로 떠오른 지 오래다. 16일(현지시간) BBC 등에 따르면 증류기와 제어 밸브 등을 포함해 35t에 달하는 장비들이 스코틀랜드에서 출발해 톈진 항구로 향했다. 장비들의 목적지는 네이멍구 자치구다. 네이멍구 남쪽 도시 오르도스에 중국 멍타이 그룹에서 추진 중인 네이멍구 사상 최초의 위스키 증류 공장 건립을 위한 것이다. 포사이스 측에서 파견된 엔지니어 5명의 감독해 장비들을 조립하게 된다. 공장의 개장 시기는 올해 말로 예상된다. 멍타이 그룹은 네이멍구에서 가장 큰 민간기업 중 하나다. 석탄 및 전력생산에 주력해왔다. 멍타이 그룹이 위스키 시장 진출을 위해 2019년 스코틀랜드의 발렌타인 인터내셔널에 위스키 제조 설비 전체를 수입한 것이다. 계약 금액만 3백만파운드(약 47억원)에 달한다. 스코틀랜드는 위스키의 본고장이다. 모든 증류 장비는 증류기 제조회사 포사이스에서 제조됐다. 포사이스는 스코틀랜드 로시스 마을에 있는 역사를 자랑하는 증류기 제조회사다. 발렌타인은 장비 수출 이외
중국이 신기술를 확보를 위해 연구개발(R&D)에 에 집중 투자를 하면서 오는 2025년이면 R&D 지출이 미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현재 미국은 신기술을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강하게 중국을 압박하고 있다. 16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미국 워싱턴 소재 싱크탱크인 아스펜연구소는 최근 중국의 경제 운용 계획을 분석한 이 같은 내용의 보고서를 내놨다. 중국은 매년 경제5개년 계획을 내놓고 있다. 현재 중국은 '제14차 5개년(2021∼2025년) 경제계획'을 시행 중이다. 보고서는 이 계획이 이행되면 2025년 중국의 R&D 지출이 미국을 능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국회 격) 업무 보고서는 과학기술 분야 '8대 신산업'과 '7개 영역'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겠다면서 '제14차 5개년(2021∼2025년) 경제계획' 기간 R&D 지출을 매년 7% 이상씩 늘릴 것이라고 적시했다. 아스펜연구소 보고서는 과학과 혁신 분야에 대한 미국의 투자가 저조하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R&D 지출은 지난 2000년 이후 연평균 16%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미국의 R&D 지출 평
세계 최대 탄소 배출국인 중국이 전국 통합 방식의 탄소배출권 거래방식을 도입했다. 그동안 중국 권역별 거래방식을 택해왔다. 중국의 국가 단위의 보다 체계적인 탄소 배출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은 글로벌 '탄소 넷 제로'에 동참한다고 하면서도 그 시한을 놓고는 유럽과 이견이 큰 상황이다. 중국은 자국 사정에 따라 목표 달성 시한을 늦춰 달라고 주장하고 있다. 경제 매체 차이신(財新)은 16일 중국의 임시 전국 통합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인 상하이거래소가 이날 오전부터 운영을 시작했다고 전했다. 그동안 중국은 베이징직할시, 상하이직할시, 광둥성 등 7개 시범 지역에서 권역별 탄소배출권 거래소를 따로 운영했다. 정식 전국 통합 탄소배출권 거래소는 조만간 설립될 예정이다. 전국 통합시장에는 중국내 발전 기업 2천여 곳을 참여하게 된다. 중국 당국은 향후 적용 업종을 넓혀나갈 계획이다. 중국의 발전산업은 아직 석탄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그만큼 탄소 배출량이 많다는 의미다. 이날 첫 거래 탄소배출권 가격은 1t당 52.78위안(약 9천300원)이었다. 중국 민간 연구기관인 로듐그룹에 따르면 지난 2019년 중국의 탄소배출량은 세계 온실가스의 27%로 세계 1
중국이 위안화 국제화를 촉진하기 위해 자국의 금융 중심지인 상하이(上海)에서 역외 위안화 거래를 추진하기로 했다. 중국이 위안화 기축통화 지위 굳히기에 나섰다는 평이다. 위안화 역외 거래규모가 커지면 해외 위안화 보유국이 늘어나 기축통화로서 지위도 높아지게 된다. 특히 중국은 디지털 위안화 상용화 단계에 들어선 상황이다. 중국이 디지털 기축통화에서 한 걸음 앞서 나가는 데 이번 조치가 초석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16일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공산당과 국무원은 전날 밤 공동으로 발표한 '높은 수준의 개혁개방을 통해 푸둥(浦東)신구를 사회주의 현대화 선도 지역으로 만드는 것에 관한 의견(지침)'에서 "위안화 자금의 국경 간 쌍방향 유동을 촉진한다"며 "상하이 국제금융센터에 걸맞은 역외 금융 시스템을 만들어 푸둥에서 통제가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위안화 역외 거래를 발전시켜나간다"고 밝혔다. 아울러 당·정은 이번 지침을 통해 자국이 도입을 추진 중인 법정 디지털 화폐인 디지털 위안화(e-CNY)를 대외 무역 거래에 활용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당·정은 지침에서 "무역 금융에 관련된 블록체인 표준 체계를 구성하고 법정 디지털 화폐 시범 사
중국의 2분기 성장률이 8%에 이르렀다. 전분기보다 반으로 줄었고 시장 기대치에도 조금 못미치는 수준이다. 하지만 과거 코로나 직전 성장세와 견줘 조금 상회하는 수준이다. 간단히 전분기 기조효과로 인한 갑작스런 성장은 정상 궤도로 돌아오는 현상이었고, 2분기 수준은 그 정상궤도를 제대로 이어가는 수준이라는 것이다. 15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전분기대비)은 7.9%를 기록했다. 중국의 상반기 국내총생산(GDP)은 53조2천167억 위안으로 작년 동기보다 12.7% 증가했다. 앞서 1분기 중국은 18.3%의 성장률을 보였다. 이는 1992년이래 중국의 전분기 대비한 분기성장률로는 역대 최고치였다. 전문가들은 1분기의 경우 코로나 19사태로 직전분기의 성장률이 바닥으로 떨어진 탓이라고 지적했다. 기저효과에 따른 것이라는 의미다. 예컨대 직전 분기 성장이 바닥으로 떨어졌으나 직후 바로 정상궤도로 돌아오면서 성장률이 두자릿수로 치솟았다는 것이다. 중국은 코로나 이전 연간 대략 6.5%의 성장을 해왔다. 즉 이번 2분기 8% 성장은 기존 정상적인 수치와 견줘 조금 상회하는 수준인 셈이다. 앞서 중국의 분기별 경제성장률은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