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서울 종로구 주한중국문화원에서 '차와 천하(茶和天下)' 개막식이 열렸다. 이번 행사는 중국대외문화교류협회, 저장성문화관광청, 주한중국문화원 등이 주관하고, 주한중국대사관, 서울시, 중국은행 등이 후원한다. 차 문화 체험 행사, 강의, 사진전 등을 통해 중국의 차 문화를 소개한다. 이날 개막식과 함께 주한중국문화원 2층 전시장에서는 중국 저장성의 안지바이차, 구저쯔순차의 제조 기술 및 관습 전승자가 전통 차 제조 기법과 다례를 선보였다. 정푸녠(郑福年) 구저쯔순차 제조 기술 및 관습 전승자는 "당나라 전통 제다 방식을 그대로 재현했다"며 "구저쯔순차는 회감(回甘, 차를 마신 뒤 입안에 감지되는 단맛)이 강한 것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또 장원화(张文华) 구저쯔순차 제조 기술 및 관습 전승자는 안지바이차와 구저쯔순차의 다례 과정을 시연하며 "찻잔에 소금을 아주 살짝 뿌리면 차의 감칠맛이 배가된다"고 설명했다. 전시장 초입에는 화려한 색감의 패키지가 돋보이는 다앙한 차 상품이 선보였다. 차보다 커피를 즐겨 마시는 젊은 세대를 공략하기 위한 시도로 복잡한 다례 과정을 줄여 하나의 티백으로 구현한 제품부터 캔에 담긴 차, 안지바이차를 발포정으로 만든 제품까지
중국 최초의 '현수식 공중궤도 열차'가 후베이성 우한(武汉)에서 시험운행을 마치고 곧 개통한다. 우한옵틱스밸리교통건설(武漢光谷交通建設)은 '현수식 공중궤도 열차'가 최근 운영 안전 평가 및 승인을 위한 시운전을 모두 마쳤으며 오는 19일 개통될 예정이라고 최근 밝혔다. '현수식 공중궤도 열차'는 객실이 선로 하부에 매달려 운행돼 '스카이 트레인'으로 불린다. 일반적인 철도 운송 시스템과 달리 공중에 매달려 이동하기 때문에 지상의 다른 교통수단과 겹치지 않으며 인프라 구축 및 운영에 따른 환경 파괴가 상대적으로 적다. 우한의 '현수식 공중궤도 열차'는 두 량의 객차에 최대 220명이 탑승할 수 있으며 최고 시속은 60㎞로 알려져 있다. 또 객차 바닥에 투명 유리창이 설치돼 270도 와이드 시야각을 즐길 수 있다. 특히 고효율·에너지 절약형 전동기 견인, 인버터 에어컨 등 저탄소 기술을 도입해 중국의 녹색 교통을 대표하는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3 중관춘(中關村) 포럼'이 내달 25일부터 30일까지 중국판 실리콘 밸리로 불리는 베이징 중관춘에서 '개방·협력으로 미래를 함께 하자'를 주제로 개최된다. 중국 과학기술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공업정보화부, 베이징시정부 등이 공동 주최하는 올해 중관춘 포럼은 국제화, 첨단화, 전문화를 중심으로 ▷분과 포럼 ▷기술 거래 ▷전시 전람 ▷성과 발표 ▷프런티어 대회 ▷부대 행사 등 6개 부분으로 구성된다. 첨단 기술과 미래 산업에 초점을 맞춰 메타버스, 인공지능, 양자정보, 뇌과학, 세포 및 유전자 치료 등 분야의 글로벌 최신 기술 진전과 주요 성과가 집중 전시된다. 특히 이번 포럼에선 프런티어 과학 기술과 이슈에 대해 교류심화·이해증진·호혜협력이 이루어지는 플랫폼이 구축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지난 2007년 창립된 '중관춘 포럼'은 혁신적인 스타트업 및 기업들이 교류 및 협업하면서 성장하는 공간인 중관춘에서 개최돼 현재 중국 국가급 개발 혁신 플랫폼이자 국제 포럼으로 자리 잡았다.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에 힘입어 올 1분기 중국의 해양경제가 강한 회복세를 보였다. 8일 중국 자연자원부에 따르면 1분기 해양에서 파생된 상품과 서비스의 총생산(GMP, Gross Marine Product)은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한 2조 3000억 위안(약 440조 원)으로 중국 전체 GDP의 8.2%를 차지했다. 1분기에 총 9개의 신규 해양 프로젝트가 승인을 위해 국무원에 보고되었으며, 승인된 해역 면적은 16만6000묘(亩·667㎡), 투자액은 880억 위안(약 16조 원)에 달했다. 또 같은 기간 중국 해역의 원유 및 천연가스 생산량은 지난해 1분기보다 각각 3.8%, 6.5% 증가했다. 해상 풍력 발전 시장 규모도 지속적으로 확대돼 신규 연결 용량과 발전량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0.7%, 32.4% 성장했다. 자연자원부는 "중국의 전통 해양산업이 꾸준히 발전을 거듭해 해양경제의 반등을 이끌었다"며 "중국 해양경제가 2분기에도 정책 효과 가시화와 산업 전환 및 업그레이드 가속화에 따라 성장 모멘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중국 최대 무역박람회인 제133회 캔톤페어(Canton Fair, 중국수출입상품교역회)의 수출 거래액이 45억 달러(약 6조 원)를 돌파했다.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26일(현지시간) 기준 연인원 81만5000 명이 캔톤페어를 찾았으며 수출 거래액은 45억 달러를 돌파했다. 쉬빙(徐兵) 캔톤페어 대변인은 "글로벌 경제 회복과 국제 무역 성장이 더디고 국제항공 노선을 통한 왕래가 여전히 불편한 상황이지만 전시 참가 효과에 대한 참가 기업과 역외 바이어들의 반응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일부 행사 참가 업체는 박람회 첫날에 이미 300만 달러에 달하는 주문 의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의 코로나19 방역이 안정 단계에 들어선 이후 처음 오프라인 방식으로 개최된 이번 캔톤페어는 지난 15일 광저우 파저우 섬에 위치한 캔톤페어 콤플렉스(광저우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막해 오는 5월 5일까지 3단계로 나뉘어 열린다. 올해 캔톤페어 전시장은 전시관 D구역이 새로 개장해 종전 118만㎡에서 역대 최대 규모인 150만㎡로 대폭 확장됐으며 총 54개 전시 구역이 운영된다. 캔톤페어는 중국 상무부와 광둥성 정부가 공동으로 1957년부터 매년 봄, 가을 개최해온 무역박람회
지난해 연말 중국 당국의 '위드 코로나' 전환 이후 중국 고용 시장이 빠르게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지난 3월 중국 평균 도시 실업률은 5.3%로 전월보다 0.3% 포인트 하락했다. 31개 주요 도시에서 조사된 실업률이 5.5%로 전월 대비 0.2% 포인트 하락했다. 1분기 평균 도시 실업률은 5.5%로 지난해 4분기 대비 0.1% 포인트 내렸다. 국가통계국은 올해 들어와 노동참여율이 안정적으로 증가해 전체 취업자 수가 작년 동기 대비 늘어나는 등 고용시장의 활력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3월 청년(16~24세) 실업률은 사상 최고치인 19.6%를 기록해 사회 불안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중국 청년 실업률은 지난해 16.7%, 2021년 14.3%를 기록했다. 3월 청년 실업률 19.6%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상하이 등 대도시 봉쇄 조치가 내려졌던 지난해 상반기의 19.3%보다도 0.3% 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이에 대해 국가통계국은 현재 청년 실업률과 같은 구조적 문제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대졸자에 대한 취업 지원을 계속 늘리는 등 고품질 일자리 제공에 힘쓰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올해 사상 최대인
중국의 연산 처리 능력과 관련 산업 규모가 급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1일 중국 공업정보화부(공신부)에 따르면 중국의 연산 처리 능력은 최근 5년간 연평균 30%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연산 처리 관련 산업 규모는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신형 데이터센터와 슈퍼 컴퓨팅 등의 연구개발을 가속화하고, 디지털 정부와 산업 인터넷에서의 데이터 활용을 확대해 연산 처리 관련 산업의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중국정보통신연구원은 중국에서 연산 처리능력 강화에 1위안(약 190원)을 투입하면 평균 3~4위안(약 570~760원)의 GDP 성장이 이뤄진다고 추산했다. 한편 중국 국무원은 지난달 27일 데이터센터, 슈퍼컴퓨팅, 5G, 사물인터넷(IoT)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 2035년까지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전면 촉진하는 데 중요한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화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중국이 2035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화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이 순항중이라는 자체 분석이 나왔다. 중국 세계 최대 인터넷 시장을 구축하고 있다. 중국 당국의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10년 뒤 세계 모든 시장은 중국 마켓플랫폼에서 모든 것을 구매하고 즐기는 시대가 될 수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중국은 이미 현 타오바오, 틱톡 등 글로벌 빅히트 플랫폼들을 출현시키고 있다. 중국중앙방송총국(CMG)에 따르면 차오수민(曹淑敏)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 부주임은 3일 브리핑에서 "중국의 디지털 경제 규모가 세계 2위에 올라있고, 디지털 산업 규모도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차오 부주임은 지난해 말 기준 중국에 총 231만 개의 5G(5세대 이동통신) 기지국이 건설됐으며 이에 따라 기가급 광네트워크가 5억 가구 이상을 커버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또 디지털 산업 규모도 꾸준히 성장해 지난해 전자정보 제조업의 매출액은 15조 4000억 위안(약 2929조 원)을 기록했고, 소프트웨어 사업 수입은 처음으로 10조 위안(약 1902조 원)을 넘어섰다고 설명했다. 전자상거래 시장도 지속적으로 성장해 지난해 사회소비재 총매출액에서 실물상품의 온라인 매출
중국 시진핑 정부는 탄소중립 선언 이후 북부와 서부 고비사막에서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발전 단지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2030년 탄소 배출량 정점', '2060년 탄소 배출량 제로'의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한 조치다. 현재 중국 북부 네이멍구(内蒙古) 쿠부치(庫不齊) 사막에선 수백 대의 건설장비를 동원한 풍력∙태양광 발전 사업이 한창이다. 싼샤(三峡) 그룹과 네이멍구 에너지그룹이 공동 참여한 이 프로젝트는 2022년 12월부터 건설에 들어갔다. 쿠부치 사막 신재생에너지 발전 단지 프로젝트는 총 800억 위안이 투자되는 세계 최대 규모다. 완공 후 16기가와트(GW)의 전력 생산용량을 갖게 된다. 생산된 전력은 베이징·톈진(天津)·허베이(河北) 지역에 연간 400억㎾h의 전력을 송전하고 600만t의 석탄 연료를 대체한다. 이를 통해 약 1600만t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중국에서 네 번째로 큰 사막인 북서부 닝샤(宁夏) 후이족(回族)자치구의 텅거리(腾格里) 사막에서도 중국 최대 사막 태양광 발전소가 건설 중에 있다. 설계 용량이 3GW에 이르는 이 태양광 발전소는 완공 후 연간 발전 용량이 57억 8000만㎾h에 달해 연간 190여
3월 22일은 국제연합(UN)이 제정한 '세계 물의 날'이다. 중국 정부가 '세계 물의 날'을 기념하기 위해 '법에 의한 치수 강화와 무친허(母亲河) 공동 보호'를 올해 '물 주간'의 주제로 내걸었다. 중국 수리부(水利部)가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2022년 수리(水利) 건설에 전년 대비 43.8% 증가한 1조 893억 위안(약 205조 4000억 원)을 투자했다. 이는 중국 수리 건설 사상 최대 투자 규모이자 첫 1조 위안 돌파 기록이다. 수리부는 지난해 총 1만8169개의 농촌 상수도 프로젝트가 완료돼 농촌 지역의 수돗물 보급률이 87%로 높아졌다고 밝혔다. 또 전국 수리 공사의 물 공급 능력이 8900억m³를 초과해 국가 경제와 식량 안전, 생태 안전 및 도시와 농촌 주민들의 용수 안전을 효과적으로 보장했다고 평가했다. 한편 전국적으로 실시된 수자원 절약 조치로 중국의 수자원 절약 및 집약 사용 수준도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리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중국내 물 총사용량은 약 6100억m³로 집계됐다. 재생수, 해수 담화수 등 비(非) 전통수 이용량은 175억㎥로 전년 대비 37억㎥ 증가했다. 지난해 중국은 61년 만에 최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