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영의 지혜 - 사람들은 보이는 것만 본다

사람들은 보이는 것만 본다.

쉽게 아우라의 빛에 취한다.

진품이 내는 게 아우라지만, 사람들은 진품의 진위를 가리지 못한다.

그저 아우라만 볼뿐이다. 그게 사람이다.

사실 보이지 않고,

보여주지도 않고,

보라는 게 어불성설일 수 있다.

다만 현명한 사람, 현인은 그렇지 않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본다.

최소한 그러려고 노력한다.

보여주지 않는 것은

더욱 더 노력해서 본다.

감추는 데는 반드시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전국시대 다음과 같은 고사가 있다.

초나라 재상 소해휼(昭奚恤)에 대한 이야기다. 어찌나 능력이 뛰어난지 다른 나라의 모두가 이 소해휼을 두려워했다.

초나라 왕이 갑자기 그 이유가 궁금해졌다.

이 때 한 사람이 나서 동화를 들려준다. 그 유명한 호가호위(狐假虎威)의 고사다.

“옛날 백수의 왕인 호랑이가 숲에서 여우를 만났습니다. 그 여우가 호랑이를 두려워하지 않고 말했습니다.

‘내가 백수의 왕이야. 하느님이 그리 정했지. 힘만 세고 무식한 네가 알 일이 없지.’

말을 들은 호랑이가 어이가 없어 말했습니다.

‘거짓말이면 잡아먹겠다.’

여우 역시 두려워하지 않고 말했습니다.

‘그럼 내가 앞장서 걸어갈 터이니, 네가 따라오면서 잘 봐둬. 다른 동물들이 나를 어떻게 모시는지.’

그리고 둘은 숲을 돌아다녔습니다. 정말 여우가 앞장서 걸으니 숲은 모든 동물들이 두려워하며 도망쳤습니다. 동물들은 모두가 호랑이를 두려워했지만, 호랑이는 모두가 여우를 두려워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자 왕이시여, 북방의 나라들이 두려워하는 게 소해휼입니까? 왕이십니까?”

이야기를 듣고서야 왕은

소해휼의 권세의 배경이 자신에게 있음을 깨달았다고 한다.

합종연횡의 전략가 소진의 이야기도 있다. ‘두 번의 한탄’을 한 사연이다.

본래 소진은 진나라를 위해 천하통일을 위한 합종의 계략을 세웠다. 그리고 벼슬을 구하였지만 성공하지 못한다.

결국 소진은 진나라에서 가족들이 마련해준 막대한 비용만 탕진한 채 고향에 돌아온다.

고향에 돌아온 소진을 부모는 쳐다보지도 않았고,

아내는 물도 주지 않았다고 한다. 전국책에는 이런 소진의 한탄이 나온다.

소진은 이를 악문 채 더욱 책략에 정진했다.

그리고 세운 게 바로 진나라에 대응하는 연횡의 계략이다.

소진의 연횡의 계략은 조나라에서 인정을 받았고,

소진은 조나라의 재상이 된다.

조나라는 금은보화로 소진을 대접한다.

가난에 찌들었던 과거 탓에 사치를 좋아했던 소진은

행차 때마다 화려한 금장을 한 행렬을 내세웠다.

하루는 그가 고향 땅을 지날 때였다.

과거 자신을 박대했던 친척 중 한명이 감히 서지도 못하고

기어서 자신 앞으로 와 절을 하는 모습을 봤다.

소진이 물었다.

“아니 이게 무슨 일입니까?” 그 친척이 답했다. “아, 공이 이렇게 출세를 하셔서 권세와 부귀를 누리시는데 어찌 제가 감히 나서겠습니까?”

소진이 이때 하늘을 보고 다시 한 번 한탄했다.

“아, 빈궁할 때는 부모조차 자식으로 여기지 않더니, 권세와 부귀를 누리니 먼 친척조차 이리 대접이 달라지는구나. 어찌 세상 사람들이 부귀권세를 가볍게 여길 수 있을 것인가!”

소진이 다시 태어나도,

두 번의 한탄을 금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

산천이 의구하듯 인간세태도 조금도 변하지 않았다.

 

 


사회

더보기
고장난 주차타워...도심 주차난의 주범으로 등장 눈길
‘고장난 주차타워, 이걸 어째?’ 중국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던 주차타워가 최근 도심 주차난 해소는커녕 오히려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어 논란이다. 타워가 오래되면서 기계 고장으로 멈춰섰거나, 자동차 크기가 변하면서 주차장이 작동을 해도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각 도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타워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내 주차공간을 보완하는 데 일정 역할을 했지만, 일부 장비는 실제 사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도, 철거되지도 못해 차량을 세울 수 없는 ‘좀비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타워는 본래 한정된 토지 위에서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러나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현실에서는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가 ‘좀비 주차장’이 되었고, 많은 운전자들이 통로에라도 주차하려 하지, 기계식 주차타워에 주차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분명 자원의 큰 낭비다. 기계식 주차공간은 대개 내연기관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됐지만, 현재의 신에너지차량들은 대체로 크고 무거워 차량 소유자들이 ‘주차공간’만 바라보며 한숨짓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많은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들 또한 기계식 주차공간을 피할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