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이면서 아내라 하지 못하고, 중국 영부인이면서 영부인 대접을 받지 못한 장칭(江青)의 한은 깊어갔다. 그러나 그녀는 서둘지 않았다. 조금씩 조금씩 자신이 힘을 발휘할 기회를 기다렸다.
문화대혁명의 단초가 된 '해서파관(海瑞罷官)'이 그것이다. 해서파관에 대한 비판을 통해 장칭은 정권을 향한, 당 중앙을 향해 나아가는 기회를 잡았고, 이어지는 문화대혁명의 소용돌이 속에 당 중앙에 오를 수 있는 계단을 만들어갔다.
그러나 그것은 1965년 이후의 일이다. 그에 앞서 장칭은 인고의 시간을 참고 견뎌야 했다.
1938년 11월 20일 마오쩌둥(毛泽东)과 결혼하는 것을 당 중앙에게 허락받는 일부터 쉬운 일이 아니었다. 당내 지도자들이 공개적으로 반대를 했다. 장칭이 이런 반대를 어떻게 이겨냈는지는 쉽게 상상이 안되는 대목이다. 오직 마오쩌둥의 결심만이 다른 사람의 반대를 누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상상을 돕기 위한 사례가 있다. 앞서 공산당 중앙조직부장 천윈(陈云)은 마오쩌둥과 동거 생활을 시작한 장칭에게 "마오는 아직 이혼을 한 상태가 아니다. 부인이 있으니 행동거지를 조심해 달라"라는 말을 했다. 장칭은 이 말을 곧바로 마오쩌둥에게 일러바친다. 마오쩌둥은 화가 나 바로 전화기를 들고 천윈을 찾았다.
"너희 중앙조직부가 감히 이제는 내 개인 사생활까지 관여하고 나섰구나."
결국 천윈은 아무런 말도 못하고 물러나야 했다. 다른 반대 의견 역시 마찬가지였다. 다른 지역 공산당 지도자가 마오쩌둥과 장칭의 결혼 반대 의사를 밝힌 전보를 보내오자, 마오가 곧바로 전보를 쳐 "내가 손중산(孙中山, 쑨원)에게 배웠다"라고 말했다. 또 이어진 반대의 목소리를 "내가 결혼을 한다는데 누가 감히 나설 것이냐?"라고 억눌렀다.
1938년 11월 20일 마오쩌둥은 성대한 결혼 축하연을 연다. 두 번째 연회가 있었던 이날, 당 중앙의 결혼 비준을 받는다. 자료에 따르면 본래 마오쩌둥은 장칭과 결혼식을 성대하게 할 계획이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런 반대를 접하고 마오쩌둥은 남에게 보여주고자 결혼식을 더욱 성대하게 치렀다고 한다.
당 중앙 지도자들의 반대는 장칭이라는 인물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이었다. 공산 혁명을 한 것도 아니고, 배우로 일하며 성공을 위한 남성 편력이 심했다는 점도 문제가 됐다. 결국 결혼에 앞서 당 중앙은 장칭에 대한 개인 사상 검증을 새롭게 했다는 기록이 공산당 사료에 남아 있다.
한가지 재미있는 역사 사실은 일본 역시 마오쩌둥의 결혼에 묘한 방식으로 훼방을 놓았다는 것이다. 결혼 당일 일본 폭격기들이 옌안(延安) 일대를 폭격해 제대로 연회를 치르기 어렵게 만들었다고 한다.
마오쩌둥이나 장칭도 이런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이른바 자신의 지위와 역할을 제한하는 '약법삼장'을 받아들였다. 20년간 당에 간섭하지 않는다는 등의 내용이다. 그리고 마오쩌둥은 가혹하리만큼 철저히 지킨다.
장칭이 공식 석상에서 마오쩌둥의 부인으로 소개된 것은 1956년 11월 24일의 일이다. 당시 중국에 머물던 미국인 기자 안나 루이스 스트롱(1885~1970)을 접견한다. 안나 스토롱은 1930년 모스크바에서 소련 최초의 영자지를 창간하는 등 전 세계 내전, 혁명의 현장을 뛰어다니며 취재했던 유명 저널리스트였다.
마오쩌둥과는 1946년 옌안에서 처음 만나 그의 '중간지대론'을 보도했다. 말년에는 중국에 거주하면서 개인 통신인 '중공으로부터의 서한'을 출간하기도 했다.
안나 스트롱은 마오쩌둥과 옌안에서 만날 당시 장칭과도 인사를 나누었다. 장칭은 그 기억을 끄집어내 안나 스트롱과의 재회를 명분으로 삼아 '약법삼장'에 명시된 20년의 속박을 2년 먼저 깨고 역사의 전면에 그 모습을 드러낸다.
이후 장칭은 마오쩌둥의 신변 비서로 공식적인 활동을 벌인다. 그리고 1961년 드디어 모든 굴레를 벗어던질 기회를 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