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4년 중국 대학 순위 Top 10 발표, 1위 베이징대

 

어느 대학이 좋은 대학일까? 사실 기준은 천차만별이다. 간단히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르다는 의미다. 한국적 관점은 졸업해서 취업이 잘 되느냐, 좋은 연봉을 받느냐다.

그러다 보니, 거의 모든 대학들이 사회에서 연봉이 높은 직종 위주의 인재를 양성하게 된다. 

하지만 대학의 기능은 그게 아니다. 최소한 그것만이 아니다. 좋은 대학은 사회를 이끄는 인재를 양성하는 곳이다.

기존 사회에 없던 것을 있게 만드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곳이다.

아쉽게도 동양 교육의 목표가 유교 전통 속에서 기존 사회질서를 유지하는 인재 양성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이와 같은 근본적인 대학 교육의 목표는 희석이 되고 말았다.

중국 대학들 역시 한국과 그 사정이 별반 다르지 않다. 

하지만 그나마 중국 대학들은 각 대학별 특성을 갖추려 노력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워낙 강력한 파워로 각 대학의 교육과정을 통제하고 있어 가능한 일이다.

그럼 중국 내부에서 평가하는 1위 대학은 어느 곳일까? 역시 베이징대학이었다.

중국 대학 평가 기관인 교우회(校友会)가 ''2024년 중국 대학 순위 Top 30'을 최근 발표했다.

교우회는 지난 2003년부터 중국 본토, 홍콩, 대만의 2000여개 대학을 대상으로 순위를 발표하기 시작해 중국에서 가장 권위 있는 대학 평가 기관으로 알려져 있다.

올해 대학 평가에선 베이징대가 칭화대(2위)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전통의 두 명문대 다음으로는 푸단대(3위), 저장대(4위), 상하이교통대(5위)가 뒤를 이었다.

교우회에 따르면 중국 Top 30 대학은 모두 '985공정(工程)'에 포함됐다. '958 공정'은 1998년 장쩌민 당시 국가주석이 베이징대 100주년 기념 연설에서 제안한 '고급 연구 중심 대학'으로 현재 39개 대학이 여기에 해당된다.

중국의 명문대는 모두 '958 공정' 또는 '211 공정'에 속해 있다.

'211 공정'은 '21세기 100개 중점 대학'을 의미한다. 중국 국가교육위원회(교육부의 전신), 국무원,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논의를 거쳐 1996년 1차 명단이 확정됐으며 현재 116개 대학이 포함돼 있다. 중국에선 두 공정에 속한 대학을 이른바 '쌍비(雙非)'라 부른다. 

 

 


사회

더보기
중 허베이 한 도시 "빨강, 파랑, 검정색 광고 금지" 조치 논란...중 네티즌, "황당하다"
‘간판에서 빨강, 파랑, 검정색 금지’ 중국 허베이성 산허시의 『산허시 도시계획건설관리 가이드라인』이 중국 사회 논란이 되고 있다. 이 가이드 라인은 “국제 및 국내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빨강, 파랑 바탕색이나 글씨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실제 중국 매체에 따르면 이 지역 일부 상점의 간판이 빨간색에서 초록색으로 바뀌었고, 일부 간판은 아예 철거됐다고 전했다. 한 상인은 “장사가 눈에 띄게 영향을 받았다”고 하소연했다. 중국 인민일보은 이에 “멀쩡히 걸려 있던 간판이 대체 누구에게 피해를 줬다는 말인가? 억지로 색상을 바꾸라고 하는 조치는 어떤 논리로 설명할 수 있을까?”라고 반문하고 있다. 신문에 따르면 실제 이 같은 간판 색상 변경을 강요한 것은 상인의 영업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지출을 떠안도록 했다. 신문에서 한 상인은 “새 간판 제작에 거의 2,000위안(약 38만 8,820 원)이 들었는데, 이는 반달치 임대료에 해당한다”고 밝혔으며, 이 비용을 누가 책임질 것이냐는 의문도 제기됐다. 간판은 오랜 기간 사용되며 고객의 기억에 남는 상징이 되었고, 고객 유치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간판이 법규를 위반하지 않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