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분기 중국 지역별 GDP Top 10, 1위 상하이

 

'상하이, 베이징, 선전,'

중국 국내 총생산을 견인하는 3대 도시 명단이다. 도시별 GDP 규모 순위 역시 순서가 동일하다. 순서가 뒤바뀌는 경우도 있지만, 이들 세 도시 이외 다른 도시가 Top3에 포함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올 1분기 중국 경제는 목표로 했던 5% 전후의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했다. 중국 도시별 GDP 순위 역시 지난 2023년 대비 큰 변화가 없이 유지됐다.

난징이 노동절 연휴 전날 주요 경제지표를 발표하면서 중국의 1분기 GDP 상위 10대 도시 명단이 공식 발표됐다.

3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총 GDP 상위 10개 도시는 상하이, 베이징, 선전, 충칭, 광저우, 쑤저우, 청두, 항저우, 우한, 난징이다. 이 순위는 지난해 연간 순위와 거의 동일하다. 지난해 연간 데이터와 비교하면 4위 충칭(7232억 3000만 위안)과 5위 광저우만 상위 10위권 내에서 자리를 바꿨다.

전년 대비 GDP 성장률을 기준으로 상위 10개 도시 중 베이징, 선전, 충칭, 쑤저우, 우한은 중국 전체 평균(5.3%)보다 높았고 나머지 절반은 낮았다.

그 중 쑤저우는 1분기 GDP가 5549억 위안, 성장률이 전년 동기 대비 7.9%로 가장 높았다.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한 도시는 광저우로, 1분기 GDP가 14억 위안(3.6% 증가)으로 집계됐다.

1분기 GDP 성장률이 가장 높은 쑤저우의 산업부가가치 증가율은 11%로 전국 증가율(6.1%)보다 4.9%포인트 높았다. 그 중 전자정보와 자동차 제조 등 양대 산업의 생산량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0%, 15.8% 증가해 두 자릿수 성장을 달성했다.

상하이는 GDP와 1인당 국민소득 측면에서 1분기 선두를 달렸다. 1분기 상하이의 GDP는 1조 1098억 4600만 위안으로 5.0% 증가해 2위 베이징(1조 581억 4000만 위안)보다 517억 6000만 위안이 많았다.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1조를 넘은 10위권 내 도시는 두 곳이 유일하다.

1분기 GDP 성장률(6.4%)이 두 번째로 높은 선전은 산업 성장, 투자 증가, 대외 무역 증가 등 3개 지표에서 1위에 올랐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