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세계경제포럼 '2024 세계 관광 발전 지수' Top 10, 1위 미국

 

세계경제포럼(WEF)이 '2024년 관광 경쟁력 보고서(Travel and Tourism Competitiveness Report)"를 최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에는 세계 119개 국가를 대상으로 평가한 관광발전지수(TTDI) 순위가 포함됐다.

TTDI는 관광 환경 조성, 관광 정책 및 기반 조성, 관광 인프라 및 서비스, 관광 자원, 관광의 지속가능성 등 5대 분야(17개 부문)에 대한 국가별 평가를 종합한 지수로 올해 1위는 미국이 차지했으며 2~10위에는 스페인, 일본, 프랑스, 호주, 독일, 영국, 중국, 이탈리아, 스위스가 포함됐다.

 

 

한국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과 동일한 14위를 기록했다.

2019년과 비교했을 때 5대 분야 중 3개 분야에서 순위가 높아졌으나 인프라 및 서비스 분야는 한 단계 떨어졌고 관광 자원 분야 순위는 유지했다.

특히 '관광의 지속가능성' 분야는 2019년 49위에서 올해 16위로 가장 많이 순위가 상승했다. 또 '관광 자원'(15위), '환경 조성'(20위) 분야도 비교적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사회

더보기
대규모 헬스장 부실 경영 막는 유일한 방법은? 중 상하이 사전 건전성 단속이 최고
대형 헬스장의 돌연한 폐업은 소비자들에게는 엄청난 피해다. 피해자도 다수여서 지역 사회 경제에 큰 영향을 끼친다. 중국의 헬스장은 한국보다 규모가 더 큰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런데 중국 소비자들의 소득은 아직 한국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 자연히 한국보다 그 피해가 클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런 중국에서 상하이 시가 묘책을 내놓고 1년간 운용 성과를 올려 주목된다. 1년 전, <상하이시 체육 발전 조례>(이하 <조례>)가 공식 시행됐다. 그 중 여러 조항은 헬스업계가 어떻게 올바르게 선불 소비 영업 활동을 진행해야 하는지를 규정하고 있었다. 이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상업 부서 외의 산업 주관 부서가 법규에서 선불 소비 영업 활동에 대한 감독 방안을 제시한 사례였다. 1년이 지난 후, 헬스업계의 선불 소비에 대한 감독 세칙이 발표되었으며, 이는 상하이 헬스업계의 선불 소비 금액과 사용 가능한 서비스 기한 및 횟수를 명확히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스포츠 산업의 선불 자금 ‘삼한’ 기준을 설정한 사례였다. 1월 13일, 상하이시 체육국은 여러 부서와 공동으로 <상하이시 체육 헬스업계 선불 소비 영업 활동 감독 실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