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마음으로, 몸으로 그리는 그대...애달픔에 대하여

 

“春风不相识, 何事入罗帏?”

(춘풍부상식, 하사입라위)

 

어디선가

불어온 봄바람

애꿎은

치마 끝만

들추네.

 

시성 이백(701~762)의 춘사다. 이백은 누구라 말할 것 없는 천재 시인이다.

1300여년 전 당나라 시인이지만,

지금 읽어도 시의와 시정은

읽는 이의 마음을 적시고, 요동치게 한다.

 

그의 시어(詩語)는 어쩔 수 없는 시대의 한계 속에 있지만,

그의 시율은 시대를 넘어

천고를 관통해 면면히 이어진다.

 

동서양, 그의 시처럼

때론 호방하고

때론 애처롭고

때론 정욕에 싸인 듯

때론 백합처럼

간결하고, 깨끗한

이 모든 것을

다 갖춘 시를 본 적이 없다.

 

춘사(春思)는

말 그대로 ‘봄의 생각’이다.

봄에 드는

그리움이다.

 

하지만 겨우내

가슴 속 깊숙이

농 익어온

마음의 정, 심정(心情)이다.

 

본래 그리움이

짙어지면

애달프다.

 

애달프다는 건

마음만

아픈 게 아니다.

 

몸도

아픈 것이다.

 

몸과 마음으로

그리고 그려,

그리다 못해

그대 오는 날

그만 버티지

못하고 끊어지는

단장(斷腸)의

고통,

애달픔이다.

춘사는 이 애달픔을 너무 간결하게

너무도 새침하게

너무도 요염하게 그렸다.

 

그래서

일견 소녀의 방심(芳心)같고

탕부의 음심(淫心)같으며,

때론 열부(烈婦)의 결의(決意)같다.

 

이백의 춘사요,

춘사의 의역시다.

 

燕草如碧絲 연초여벽사

秦桑低綠枝 진상저록지

當君懷歸日 당군회귀일

是妾斷腸時 시첩단장시

春風不相識 춘풍부상식

何事入羅幃 하사입나위

 

“남녘 나뭇가지

무성하고

북녘 풀도

푸르러졌는데

 

저 멀리

님은

이 애간장

다 태우고

오시려나.

 

어디선가

불어온 봄바람

애꿎은

치마 끝만

들추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