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당 왕조 몰락은 당시 화폐였던 쌀 보관시스템 붕괴가 원인?

 

 

결국 먹고 사는 게 문제다.

지금도 그렇고, 역사에서도 그렇다.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되면 살기가 힘들어지면 문제가 생긴다.

당의 흥망성쇠도 마찬가지다. 당은 중국의 역사에서 가장 화려한 시기를 구가했다. 당 나라의 발전의 토대는 당대 조용조 시스템의 완성이었다.

당은 쌀을 보관하는 창고를 수도 장안을 중심으로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는 그물망처럼 지은 것으로 유명하다.

 

당대 수도 장안은 인구 100만 명 이상이 산 도시다. 고대 100만 명 인구를 지닌 도시는 아마 장안이 유일했을 것이다.

인구가 많다는 것은 도시의 상하수도 시설 등 생활설비는 물론이고, 그 인구를 위한 식량, 식수가 그만큼 필요하다는 의미다.

생활설비도 설비지만, 식량은 당장 생계를 이어가는 가장 중요한 요소다.

 

당은 5개 종류의 쌀 창고를 지어 운용했다. 가장 기본이 되는 게 태창(太倉)이며, 전운창(轉運倉), 군창(軍倉), 상평창(常平倉), 의창(義倉) 등이 그 것이다.

태창은 당나라의 황실, 내각의 운영 등에 쓰이는 쌀을 보관하는 창고였다. 당대는 쌀이 돈이었다. 나랏일을 하는 공무원들에게 주는 녹봉이 바로 쌀이었다.

 

전운창은 쌀을 중앙으로 이동하기 위해 임시로 보관하는 창고다. 군창은 군용미를 보관하는 창고이며, 상평창은 풍년이 들면 일부 보관했다 농사가 부진하면 풀어 쌀값의 안정을 꾀하는 보충미를 보관하는 창고다. 의창은 말 그대로 기근이 들면 풀어 백성을 구하기 위한 쌀을 보관하는 곳이다.

 

태창은 장안성은 물론, 각 지방 주현급에 설치돼 운용됐다. 지난 2023년 산시성 시안 다바이양(大白楊)촌에서는 당대 태창의 유적이 발굴됐다. 무려 11개의 대형 창고의 유적이 발굴됐다. 유적은 당시 창고 관리가 어느 정도 정밀했는지 자세히 보여준다.

 

먼저 유적지 쌀 창고는 원형의 큰 구덩이를 파고 흙으로 다진 뒤 그 위해 다시 창고를 짓는 형식이었다. 창고는 고원지대에 지하수가 깊은 곳에 위치했는데, 이는 지형 특성상으로 건조해 쌀을 오래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원형의 구덩이는 입구가 넓고, 바닥으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구조였다. 바닥은 습기를 막기 위한 점토로 다져져 있었다. 이 같은 형식은 땅에서 습기가 올라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많은 역사가들은 당의 다른 어떤 제도보다 조용조, 쌀의 관리가 잘 됐다는 점을 꼽는다. 당시 당은 오랜 동안 북쪽 이민족들의 남하를 막는 전쟁을 수행했는데, 당은 튼튼한 식량 공급을 바탕으로 지구전을 펼쳐 완승을 거둔다.

 

역사가들은 결국 당의 쌀창고 시스템의 승리였다고 평가한다. 그만큼 당 왕조의 성공의 이면에는 쌀 창고의 역할이 컸다는 것이다.

 

또 실제 당 왕조의 쇠락에도 쌀 창고 시스템의 붕괴가 역할을 했다는 게 역사가들의 평가다. 당의 여황제 무측천은 수도를 장안에서 낙양으로 옮기는 데, 당대 장안성의 쌀 창고 시스템이 운용의 한계에 이른 탓이라는 게 많은 중국 역사가들의 평가다.

 

당시 장안성은 당의 융성과 함께 급속히 인구가 늘었는데, 인구 100만 이상이 되면서 장안성의 식량을 책임이지는 태창에 부족 현상이 주요 원인 중 하나라는 것이다. 물론 장안성에서는 이씨 황족들의 세력이 커 이를 피하기 위한 천도였다는 주장 역시 역사가들이 인정하는 무측천 낙양 천도의 이유 중 하나다.

 

난이 일어나면서 당의 쌀 창고 시스템은 급속히 망가졌으며 결국 당 왕조의 붕괴로 이어진다는 게 역사가들의 평가다.

당대의 쌀은 오늘날의 화폐다. 결국 화폐 시스템이 무너지면서 민생이 도탄에 빠졌고, 중국 역사에서 가장 화려했던 당 왕조의 붕괴로 이어진 것이다.

한국 역시 화폐 시스템 붕괴로 인한 ‘외환위기’를 겪었다. 화폐 시스템이 한 나라의 운영에 어느 정도 중요한지 보여주는 대목이다.


사회

더보기
중국에서 같이 여행해주고, 같이 달려주는 등 뭐든 같이 해주는 '동행서비스' 인기
중국에서 ‘동행’ 서비스가 MZ세대 인기를 끌면서 새로운 서비스 아이템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동행서비스란 무슨 일이든 같이 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밥을 같이 먹어주거나, 공부를 같이 해주거나, 운동을 같이 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최근 인기를 끌면서 서비스 범위도 갈수록 넓어지고 있다. 말 그대로 혼자 하는 것보다 둘이 같이 하고 싶지만, 같이할 친구가 없는 이들을 위한 서비스다. 이 같은 서비스가 인기를 끄는 것은 사회활동이 극히 제한된 MZ세대의 특성 탓이라고 중국 매체들은 전하고 있다. 문제는 이 같은 서비스가 대부분이 인터넷이나 개인의 소개를 통해 이뤄져 소비자와 노동자의 법적 권리를 제대로 보장받지 못한다는 점이다. 당장 중국에서 문제가 된 것은 여행 동행서비스다. 여행 동행 서비스의 경우 가이드 자격증 없이 여행사 위임 없이 활동한다는 이유로 ‘불법’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에 중국 지방 당국이 경고를 내리고 나섰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지역사회에 ‘개인 동행 서비스’가 유행하자, 장쑤성 소방 안전위가 나서 “신중한 접근”을 당부하며 동행 서비스의 가이드라인 제시하도록 권고했다. 최근 장쑤성 소비자보호위원회는 공식 SNS를 통해 ‘개인

문화

더보기
홍콩에서 연애 게임 캐릭터와 실제 현실에서 만나는 '이차원 연애' 유행
남자 친구 만들기 게임이 현실 속에 실행된다면? 게임 캐릭터같은 남자친구랑 하루의 완벽한 데이트를 즐길 수 있다면 당신은 얼마를 지불 할 수 있나요? 좀 이상하게 들리는 질문이다. 돈을 주고 남자 친구를 만들고, 아무리 잘해준다고 해도 연애의 만족감을 느낄 수 있을까? 하지만 요즘 세대는 다르다. 홍콩에서 완벽한 남자 역을 사는 일일 데이트 ‘이차원 연애’가 유행하고 있다. 이차원이라 하는 것은 현실 3차원 속의 연애가 아니라, 2차원 게임 속의 연애를 현실로 이어간다는 의미를 포함한 것이다. 그런데 이 이차원 연애의 남자 친구들은 겉모습만 남자이지 실은 여성이 남자처럼 꾸미고 대행 역할을 해주는 게 특징이다. 그래서 홍콩에서 이 ‘이차원 연애’를 ‘cos-위탁’이라고 부른다고 BBC중국어 방송은 전했다. 코스프레의 코스와 역할을 맡기다는 위탁이 합쳐진 용어로 풀이된다. 실제 남성보다 어린 여성들이 접근하기에 여성이 더 안전해 남자 친구역을 여성이 맡게 됐다고 한다. 헌출한 키에 남성처럼 꾸미고, 데이트를 신청한 여성을 위해 하루 봉사를 한다. 대략 비용은 하루 500위안, 한화로 9만5000원 가량이다. 하루 데이트 경비는 신청한 여성이 같이 부담한다.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