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샘물은 산에서 맑고, 세속에서는 탁한 법이라네

“약할수록 더 힘든 세상

만사 촛불처럼 흔들리네.”

(世情惡衰歇,

萬事隨轉燭.)

 

세상이 참 그렇다.

약한 이만

찾아서 더 괴롭힌다.

 

인정이란 게 참 그렇다.

약하고

몰락한 이를

외면하게 된다.

 

가난해 보고

쇠약해 지면

비로소 세상의 본 얼굴이 보인다.

 

두보의 시 ‘가인’(佳人)다. 첫 구절만으로 시의 제목을 짐작하기 어려울 정도다. 시는 몰락한 가인이 겪는 세상사를 노래하고 있다.

시는 안록사의 난이 발생한 지 5년이 지난 758년 가을에 쓰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해 6월 두보는 벼슬이 화주사공참군으로 강등되자, 벼슬을 버리고 가족과 함께 생활터전을 진주로 옮긴다.

‘가인’은 그 때 쓰였다.

 

어떤 이는 두보가 그냥 자신의 처지를 빗댄 것이라고 어떤 이는 실제 들은 것을 작품화했다고 주장한다. 누구도 확실한 증거는 없지만 당시 세태만은 사실이라는 게 중론이다.

 

두보는 이렇게 시로 세상을 고발한 저널리스트다. 시로 기사를 썼다.

 

시는 산 속에서 우연히 만난 가난하지만 귀품 있는 중년 여성을 만나면서 시작한다. 그 중년 부인을 지칭하는 말이 가인이다.

 

깊은 산 속 계곡에

가인이 살고 있네.

 

“난 귀족이었어요.

이젠 초목에 살죠.

지난번 난리통에

형제를 잃었어요.

귀족이면 뭐하나요?

수급도 못 챙겼는데.”

 

담담하지만 처참한 고백이다.

그리고

처음 소개한 구절이

마치

노래의 후렴구처럼 나온다.

 

“약할수록 더 힘든 세상

만사 촛불처럼 흔들리네.”

 

그리고 계곡에서의

불행한 삶에 대한 고백이 이어진다.

 

난리를 피해 산속에 숨어

지난날 보석을 팔아 생계를 이어가지만,

 

남편은 안정을 찾자마자

첩을 들이고,

가인을 나 몰라라 한다.

 

후렴구는 가인의 한탄이며

동시에 시로 세상에 남긴

두보의 한탄이다:

 

‘세상이 그런 것이다.

몰락한 귀족을 외면하고

나이든 여인을 외면하는

그렇게 촛불처럼

흔들리기만 하는

세상은 그런 것이다.’

 

그리고 나오는 시구가 절구다.

 

“산 속 맑은 샘물도

세속에선 탁해지네.”

(在山泉水淸; 재산천수청

出山泉水濁; 재산천수탁)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