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지냔해 데이터시장 거래규모 1600억 위안 넘어서

 

‘1,600억 위안’

한화로 약 32조 560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지난 2024년 한 해 데이터 시장의 거래 규모다. 전년대비로 무려 30% 성장한 수치다.

데이터는 AI(인공지능) 육성의 피요, 살이다. 데이터 없이는 AI학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 충분한 데이터는 그만큼 똑똑한 AI를 훈련시킬 수 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데이터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2024년 데이터 산업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중국 데이터 시장 거래 규모는 1,600억 위안(약 32조 560억 원)을 초과했다. 이는 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한 수치다.

특히 장내 시장의 데이터 거래 규모는 전년 대비 두 배로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은 지난 2023년말 국가데이터국을 설립하고 데이터산업 육성에 힘써왔다. 국가데이터국 국장 류례홍은 “국가데이터국이 설립된 지 1년 남짓한 기간 동안 전국 데이터 시스템은 데이터 요소의 시장화 배치를 핵심으로 삼고 운영해왔다”며 “이를 통해 데이터 공급이 가능하고, 유통이 원활하며, 활용이 효과적이고, 보안이 철저한’ 데이터 환경 조성을 중심으로 경제·사회 발전을 더욱 효과적으로 지원했다”고 밝혔다.

제도 체계 강화 측면에서, 2024년 들어 국가데이터국은 중대 개혁 과제에 집중하면서 데이터 소유권, 유통 거래, 수익 분배, 보안 거버넌스 등을 중심으로 총 21건의 정책 문건을 발표했고, 이를 통해 데이터 기반 제도의 ‘네 기둥과 여덟 보’ 체계를 구축했다고 전했다.

공공 데이터 자원의 개발 및 활용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데이터 자원 생산 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24년에는 전년 대비 2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국가 공공 데이터 자원 등록 플랫폼은 올해 3월 1일 정식으로 개통되었으며, 3월 30일 기준으로 심사를 통과한 등록 데이터는 총 700건에 달했고, 해당 저장 데이터 규모는 239.23TB에 이르렀다고 전했다.

국가 데이터 기반 시설 건설 측면에서, 국가데이터국은 현재 데이터 분야 국가표준 41개 항목의 연구 및 제정 작업을 추진 중이며, 베이징, 상하이 등 18개 도시를 조직해 신뢰 가능한 데이터 공간, 데이터 마켓, 데이터 네트워크, 데이터 컴포넌트, 블록체인, 프라이버시 보호 연산 등 6가지 대표적 기술 노선의 선행 실험을 진행하고 있고, 국가 데이터 기반 시설의 대규모 배치와 체계적 활용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