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쑥쑥 크는 중국 영화산업...전년대비 5.4% 증가

중국영화 시장 점유율 64%…스크린 9900개 증가

 중국 영화산업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019년 영화 수입이 642억6600만위안을 기록하면서 전년도에 비해 5.4% 성장했다. 스크린 수도 9900여개 늘어났고 중국산 영화 시장점유율도 64%에 달했다.

 

 신화통신은 지난달 31일 중국영화국이 발표한 데이터를 인용해 "중국 영화시장 규모는 2019년 기준 642억6600만위안으로 전년 5.4% 증가했다”며 “특히 국산 영화 수입은 411억7500만위안으로 전년보다 8.65%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신화통신은 "중국 국산영화 시장점유율은 64.07%, 도시의 영화 관람인 수는 17억2700만명이며 신규 스크린 증가 수는 9908개에 달해  전국의 총 스크린은 6만9787개”라고 전했다.

 

 전년 중국 영화시장을 살펴보면 극 영화 850편, 애니메이션 51편, 과학교육 영화 74편, 다큐멘터리 47편, 특수 영화 15편 등 총 1037편이 생산됐다.  박스오피스 상위 10개 영화 중 국산 영화는 8개를 차지했다. 박스오피스 억위안대를 넘은 영화는 88편에 달했는데,  그 중에 중국산이 47편을 차지했다.

 

국가영화국 관계자는 "2020년에는 시진핑 총서기의 영화사업 추진에 대한 중요한 지시와 정신을 따라 갈 것"이라며 "전면적인 샤오캉(小康)사회의 건설에 중점을 두고, 주선율(主旋律)과 에너지가 더 강한 작품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다양한 장르의 우수한 국산 영화를 더 많이 출시하고, 중국 영화의 질 높은 발전을 추진하여 인민의 정신문화를 더욱 만족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함께 신화통신은 2020년에 중국 영화시장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영화시장이 될 것으로전망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