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美, 중국과 세계기후협약 관련 협의 개시, 미중 정상간 회동전에 사전조율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개최하는 기후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이 중국과 기후협정을 맺기 위한 방안을 모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3일(현지시각) BBC는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이 다음 주 열릴 기후 정상회담에 앞서 상하이를 방문 중이라고 보도했다.

 

유엔에서 외교적 마찰을 겪은 뒤 양국이 배출량 대폭 감축을 위해 협력하기를 희망한다는 분석이다.

 

미국은 중국이 석탄화력발전소 건설과 해외 석탄벤처 자금조달을 중단하기를 바라고 있다.

 

케리 장관은 기후 위기 대처에 있어서 중국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중국과 몇몇 주요 이슈에 있어서 큰 의견 차이 보였지만, 기후는 별개 사안으로 다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은 4월 22일부터 23일까지 열릴 바이든 대통령의 가후 정상회담을 앞두고 있다. 회담에서 진전을 이루려면 강대국 간의 관계 회복이 꼭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사실상 기후 오염에 큰 영향을 미치는 두 국가간 합의가 없다면 기후 위기를 피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경고했다.

 

영국 싱크탱크 채텀하우스의 한 중국 전문가는 “적어도 양국이 정상회담을 앞두고 이야기를 나누는 점에선 긍정적”이라며 “두 국가가 해결해야 할 큰 문제들이 남아있지만, 이것들은 반드시 해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BBC는 중국이 미국 측에 친환경 기술 지원과 함께 개발도상국의 기후 변화 적응을 위한 보다 많은 자금 지원을 희망한다고 전했다. 또 미국의 배출량 대폭 감축 발표를 원한다고 분석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