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독신자 2억 4천만명, 영국프랑스독일 전인구와 맞먹는 미래 거대시장

 

중국인구가 약 14억 명으로 추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 가운데 단신 , 즉 결혼을 하지 않고 혼자 1인 가정으로 사는 인구가 무려 2억 4천만 명에 이른다고 신화사가 오늘 주요뉴스로 보도했다.

 

그리고 이 중국의 독신인구는, 유럽의 영국과 프랑스 그리고 독일 세 나라의 전체인구를 합한 어마어마한 숫자라고 덧붙혔다.

 

신화왕은, 이 숫자가 2017년도 중국통계연감에서 산출한 숫자라고 밝혔다.

 

중국은 10년에 한 번씩 전인구 센서스를 실시하고 있는 관계로 , 4년이 지난 올해 2021년 현재의 독신자 수는, 이 보다 수천 만명이 더 많을 수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신화왕은, 그리고 이 단신으로 사는 인구의 개념은 과거에는 셩난 셩뉘 ( 剩男 剩女 / 결혼하지 않고 독신으로 남아 있는 남자 혹은 여자) 라고 불렸으나, 현대 사회에서는 단신 청년 ( 单身青年) 혹은 독거청년 ( 独居青年) 으로 호칭되고 있다고 덧붙혔다.

 

즉 결혼이 필수라고 생각되어지던 과거에는, 결혼하지 않고 여전히 미혼으로 남아 있다는 의미로, 남아 있는 남,녀로 불리워 졌으나, 현대에 들어 이미 결혼은 선택의 하나로 돼 있는 세태의 변화로 인해 그 용어도 보다 객관적인 어휘와 개념으로 바뀐 것이다.

 

이러한 세태변화에 따 식당의 1인용 테이블이 크게 늘고 있으며, 그리고 그 1인용 식탁도 아예 다인석 공간과 완전히 별개의 가림막을 만들어져 있는 관계로,  주변 사람의 시선이나 관심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해줄 수 있는 장점이 환영받고 있기 때문에 , 식당의 인테리어 패션도 바뀌고 있다고 신화사는 보도했다.

 

이 밖에도 1인용 노래방인 단신손님 전용 KTV 전문점도 등장했고,  1인용 미니 밥솥, 세탁기 등도 매출이 점점 늘어난 지 오래다.

 

신화왕은 아울러 이와 같은 1인 소비의 특징으로서,

 

첫째, 간편한 소비를 중시하고,

 

둘째, 삶의 품격을 높힐 수 있는 품질최고의 소비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셋째, 과시형 소비특성이 있고,

 

넷째, 자신을 즐겁게 하기 위한 독자적인 소비경향이 있으며,

 

다섯째, 소비하는 과정자체를 즐기는 경향이 매우 크다는 점들로 정리했다

 

신화왕은 끝으로 독신들의 이 같은 소비성향의 특징으로 인해, 흔히 과소비로 이어 질 수 있는 경향이 농후한 까닭에, 저축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질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