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무역은 세계 경제 발전의 중요한 추세이자 중국 경제 발전을 위한 새로운 핵심 분야로 꼽힌다. 광둥성 인민정부가 최근 '선전 첸하이(前海) 디지털 베이 지역 건설을 위한 3개년 행동 계획 발표에 관한 통지'를 공개했다. 광둥성은 이번 통지에서 ‘첸하이 선전-홍콩 현대 서비스 산업 협력구(Qianhai Shenzhen-Hong Kong Modern Service Industry Cooperation Zone)’의 협력 플랫폼을 활용하여 시범 사업을 구현하고 디지털화를 통해 광둥, 홍콩, 마카오 간 경제 개발과 공공 서비스, 사회 거버넌스의 심층적 통합을 이룰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선전 첸하이는 디지털 경제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해 정보산업과 디지털화 부문에서 탄탄한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차세대 네트워크 인프라를 육성하고 국제 전자상거래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국제 무역을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및 디지털 부가가치 서비스를 키워나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평가된다. 올해 상반기 기준 117개의 주요 국제 전자상거래 기업이 첸하이에 거점을 두고 있다. 지난해 기준 첸하이의 국제 전자상거래 수출입액은 382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78.
'메가시티 개발: 도전과 미래(超大城市发展:挑战与未来)'를 주제로 한 제6차 대도시권 개발계획 국제자문회의(第六届大都市规划国际咨询会)가 4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렸다. 메가시티는 한국 서울도 언급되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메가시티가 정치적 표어지만, 중국을 비롯한 글로벌 사회에서 '메가시티'는 하나의 새로운 트렌드다. 메가시티는 최근 '흐르는 도시'라는 개념에서 새롭게 정립되고 있다. '흐르는 도시'라는 개념은 도시가 구역별로 새롭게 스스로의 존재가치를 재정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구 도심인 익선동이 구도심의 옛 정치를 담은 새로운 카페골목으로 성장하는 식이다. 한국에서는 카페 등 먹자골목 위주로 변화가 추구되고 있지만, 중국은 경제 흐름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조정해 새로운 도심 산업 구조를 만들어간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미 옛 공장을 미술공간, 스타트업 클러스터로 만드는 데 중국 당국이 성공적인 모델을 만들어 낸 바 있다. 중국 자연자원부와 상하이시 인민정부가 개최한 이번 '제6차 대도시권 개발계획 국제자문회의'는 상하이를 비롯한 메트로폴리탄 권역의 혁신적인 발전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추진력을 불어넣는다는 취지로 마련됐다. 공청 상하이시 시장은
'111% 증가' 중국 한 자동차 기업의 올 11월 전년 동기 대비 판매 증가량이다. 대수로는 '21만 2076대' 판매를 기록했다. 중국 자동차 시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중국은 아직 나라 전체의 자동차 수가 가계당 1대 꼴이 안된다. 도심은 이미 가구당 1대 꼴을 갖추고 있지만, 대도시 이외 지역으로 가면 아직 자동차 판매 여지가 많다는 의미다. 도심은 이미 세컨 차에 대한 수요가 생기면서 고급화하고 있다. 중국은 지역간 거리가 멀어 자동차가 필수인 나라다. 지역 수요도 커지고 있지만, 도심의 고급화 수요도 커지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주목되는 것은 이 같은 중국 자동차 시장을 중국 브랜드들이 석권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아직 고급 차량은 유럽 브랜드들이 석권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실적이 이 같은 상황을 잘 보여준다. 실적은 중국 자동차 업체인 체리그룹의 차량 판매 실적이다. 중국의 자동차 기업 체리그룹이 월간 판매량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1월 체리그룹의 자동차 판매량은 21만 2076대로 전년 동월 대비 111% 증가했다. 올해 들어 두 번째로 20만 대를 돌파하여 월간 판매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이다. 체리그룹은 올해 1
이제 커피도 중국산이 대세다? 중국 커피산업이 급성장하면서 나오는 말이다. 물론 아직은 물음표가 붙는다. 하지만 중국 윈난성의 커피 판매가 급증하면서 조만간 실질적인 평가가 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중국 윈난성에서 생산되는 커피의 판매 증가율이 전년 대비 50%를 돌파했다. 본래 윈난성은 중국 서남 지역 차의 고장이다. 기후 조건이 커피재배에도 적합해 최근에는 커피 재배에 더 적극적이다. 커피는 차의 한 종류로 중국에서 인식되면서 그 소비가 다른 차종류 소비 증가세에 비해 가파른 상황이다. 윈난성에서 차 재배로 성공 사례를 만들면서 중국 내 다른 지역에서도 차 재배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는 상황이다. 조만간 글 머리에 언급한 '커피도 중국산이 대세'라는 시대가 머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지난 28일 중국 윈난성 바오산에서 열린 '국제 스페셜티 커피 산업 발전 컨퍼런스'에서 JD마트(京东超市)이 중국내 커피 판매 동향에 대한 데이터를 발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3선 이하 도시의 커피 소비량이 크게 증가했다. 특히 윈난에서 생산되는 커피의 판매량과 사용자가 각각 50%와 60% 증가했다. 중국 전체 지역의 연간 커피 소비량은 전년 대비
26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2023 글로벌 데이터 에코시스템 컨퍼런스-상하이 데이터 교환 연차 컨퍼런스'에서 '2023년 중국 데이터 거래 시장 조사 및 분석 보고서'가 발표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중국 데이터 거래 산업 시장 규모는 876억 8000만 위안(약 15조 9400억 원 )으로 전 세계 데이터 거래 산업 시장의 13.4%, 아시아 데이터 거래 산업 시장의 66.5%를 차지한다. 리우레홍 중국 국가데이터국장은 '2023 글로벌 데이터 에코시스템 컨퍼런스' 개막식에서 "새로운 생산 요소인 데이터는 무형, 비소모성이며 거의 무료로 무한히 복사할 수 있어 전통적인 재산권, 유통, 거버넌스 및 기타 시스템에 새로운 도전을 제기한다"며 "국가데이터국은 제조업, 무역 유통, 운송 물류, 금융 서비스, 의료 건강 등 여러 핵심 분야에서 데이터를 활용해 산업의 고품질화를 촉질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디지털경제 발전 추진, 국가 빅데이터 전략 시행, 데이터 관련 기초 제도 수립, 데이터 인프라 건설 등의 업무를 총괄하는 국가데이터국을 지난 10월 공식 출범시켰다.
글로벌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의 창업자 마윈이 다시 사업을 시작했다. 마윈은 중국 당국의 견제를 받은 뒤 알리바바 총수 직을 내려 놓은 뒤 칩거 상태였다. 그럼 어떤 사업을 시작한 것일까? 종목이 의외다. 바로 식품 산업이다. 중국 국가기업신용정보공시시스템 웹사이트에 따르면 마윈이 99.9% 지분을 소유한 투자회사가 전액 출자한 '항저우 마지아키친(馬家廚房) 식품 유한공사(Hangzhou Majia Kitchen Food Co., Ltd.)'가 지난 22일 설립을 마쳤다. 마지아키친의 등록 자본금은 1000만 위안이며 사업 범위에는 포장식품 판매, 물품 수출입, 식용농산물 도매, 생필품 도매, 호텔경영, 기술서비스 등이 포함됐다. 중국에서도 마윈의 식품회사 창업이 의외라는 반응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식품 산업을 미래 가장 중요한 산업 가운데 하나로 꼽는다. 글로벌 사회 노령화가 지속하면서 건강을 위한 섭생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노령화와 1인 가구 증가가 맞물리면서 노인 한 명의 하루 식생활을 공동으로 책임질 필요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한국에서도 건강 검진까지 병행하며 노인들의 식생활을 책임지는 사업들이 속속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중국 최대의 대외 무역 규모를 가진 도시인 상하이의 올해 10개월간 수출입 증가율이 중국 전체 평균을 크게 앞섰다. 20일 상하이 세관에 따르면 지난 10월까지 상하이의 수출입 총액은 3조 5100억 위안으로 2022년 같은 기간에 비해 1.9% 증가했다. 이 중 수출은 1조 4400억 위안으로 2.3% 증가했고, 수입은 2조700억 위안으로 1.6% 증가했다. 무역적자는 6278억6000만 위안으로 0.1% 감소했다. 해관총서(세관)가 발표한 중국 전국 데이터를 비교해 보면 올해 10월까지 상하이의 수출입 증가율은 전국 수준(0.03%)보다 약 1.9%포인트 높았고, 수출입 증가율도 1.9%포인트 높았다. 상하이의 무역구조 중 일반무역은 약 60%를 차지했으며 보세물류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역 대상국 측면에서는 유럽과의 무역이 계속 성장세를 유지했고, 호주 및 기타 국가와의 무역도 크게 증가했다. 첫 10개월 동안 상하이의 최대 무역 상대국인 유럽연합(EU)에 대한 수출입액은 7111억5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해 같은 기간 수출입 총액의 20.2%를 차지했다. 호주, 스위스, 싱가포르, 영국 등 국가로의 수출입
20일 중국 IT 전문 조사기관 Syntun(星圖數据)에 따르면 '2023년 솽스이 행사(10월 31일 20시~11월 11일 24시)' 기간에 주요 온라인 플랫폼의 매출액 합계는 1조1746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다. 티몰, 징둥, 핀둬둬 등 종합형 온라인 쇼핑몰의 매출 합계가 2022년 솽스이 기간 대비 1.1% 감소한 데 반해, 틱톡 등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의 매출액은 18.6%의 높은 신장세를 기록했다. 또 위드 코로나 도입 이후 일상 회복에 따라 음식배달 플랫폼 어러머(饿了么) 등 신소매 플랫폼의 매출은 8.3% 증가한 236억 위안을 기록했다. 반면 지역 내 주민들이 SNS를 통해 단체 소비하는 동네 공동구매(社區團購)는 8.1% 감소한 124억 위안으로 집계됐다. 행사 기간 판매 실적이 가장 많은 품목은 예년과 비슷한 가전, 스마트폰, 의류, 화장품, 신발·가방, 사무용품, 식품, 가구·건축자재, 영유아용품 및 스포츠·아웃도어용품 등으로 나타났다. 이 중 화장품 매출 실적은 시장의 기대치를 빗겨갔다. Syutun의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솽스이 행사기간 전체 온라인 플랫폼상 기초 화장품 매출액은 582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
2024년 상반기에 샤오미 전기차가 출시된다. 한국으로 치면 삼성이나 LG전자가 전기차를 생산하는 격이다. 사실 전기차는 완벽한 전자제품이다. 내연기관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것과 달리 전기차는 배터리에서 나오는 전기가 전동기를 굴려 가동되는 식이다. 동력부터 작동되는 모든 게 배터리 전기로 이뤄진다. 핵심은 배터리다. 한국의 삼성전자, LG전자 누구라도 마음만 먹으면 세계 최상급의 전기차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다만 한국의 두 회사는 배터리를 만들어 글로벌 차량 회사들에게 파는 게 더 이익이라 본 것이다. 하지만 샤오미의 시도는 이들 회사의 향후 전략 선택에 중요한 참고가 될 수밖에 없다. 중국 샤오미 그룹이 올해 3분기 재무 보고서를 20일 발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샤오미 그룹의 3분기 매출은 708억 90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0.6% 증가했다. 3분기 순이익은 48억 7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흑자로 전환했다. 또 조정 순이익은 59억 9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2.9% 증가했다. 주요 사업인 휴대폰 부문에서 샤오미는 3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에서 3위를 차지했으며, 시장 점유율은 14.1%로 전년 동기 대비 0.5% 증가
중국 인민은행이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 하락) 우려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시장 공시 이자율(LPR)을 동결했다. 인민은행은 20일 홈페이지를 통해 LPR 1년 만기는 연 3.45%, 5년 만기는 연 4.20%로 종전과 같이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금융업계 전문가들에 따르면 MLF(중기대출제도) 금리가 변동이 없다는 점을 배경으로 지난 20일에도 변동 없이 유지된 LPR은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민은행은 지난 8월 21일 LPR 1년 만기를 2개월 만에 0.1% 포인트 인하하고 5년 만기는 동결하는 조치를 발표한 이후 9월부터 3개월 연속으로 같은 수치를 유지했다. LPR은 명목상으로는 시중은행 우량 고객 대상 대출금리의 평균치이지만, 인민은행이 각종 정책 수단을 통해 결정하는 것이어서 사실상의 기준금리로 볼 수 있다. 1년 만기는 일반대출, 5년 만기는 주택담보대출의 기준으로 알려져 있다. 1년 만기 LPR 3.45%는 인민은행이 LPR을 홈페이지에 고시하기 시작한 2019년 8월 4.25% 이래로 4년 만에 가장 낮은 금리다. 5년 만기 LPR 4.2% 역시 2019년 8월 4.85%에서 지속해 낮아져 지난 6월 이후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