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조 2,582억 위안’ 한화로 약 822조 7,584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1~4월 중국 소프트웨어 산업의 수입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11% 가량의 성장을 이뤄낸 수치다. 중국의 ‘기술 굴기’가 두 자릿수 성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R&D(연구개발) 투자를 자랑하고 있다. 두 자릿수 기술 굴기 속도가 한동안 이어질 것이라는 의미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공업정보화부는 5월 30일, 2025년 1~4월 소프트웨어 산업의 운영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1~4월 동안 중국 소프트웨어 사업 수입은 4조 2,582억 위안(약 822조 7,584억 원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8% 증가했다. 총이익 증가율이 두 자릿수를 유지했다.같은 기간 소프트웨어업 총이익은 5,075억 위안(약 97조 4,4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2%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은 “중국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업(이하 ‘소프트웨어업’)의 운영 흐름은 양호했으며, 소프트웨어 사업 수입이 안정적으로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중국의 기술굴기는 이제 글로벌 시장을 개척하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같은 기간 소프트웨어 수출은 172.6
중국은 세계 최대 영화시장이다. 인구가 많은 덕이다. 그 많은 인구가 영화를 보고 즐기니, 자연히 세계 최대 시장이 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중국에서 세칭 '너자 2'라는 애니메이션 영화가 관객수 2억 명을 끌어모으며 역대 단일 영화 매출 신기록을 갱신하기도 했다. 2억명이면, 간단히 관람료 1000원이라고 해도 2000억 원의 매출을 올리는 것이다. 중국 영화시장의 크기를 보여주는 예다. 다만 중국은 자국 영화시장 개방을 최소화하고 있다. 특히 시진핑 주석 집권이래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문화를 강조하면서 서구는 물론, 한국의 다양한 대중문화를 최소한으로만 받아들이고 있다. 성과 정치적인 지나친 자유, 드라마 속의 극적인 비윤리적 인간 관계 설정 등을 중국 당국은 문제로 삼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지나친 정치적 자유는 중국 입장에서는 방종과 혼란으로 보여지는 ‘금기’에 속한다는 게 중국 문화 정책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그럼에도 중국 문화 시장은 한국은 물론, 글로벌 문화 사업 관계자 모두가 탐을 내는 시장이다. 그만큼 시장 규모가 크기 때문이다. 사실 중국에서만 성공해도 세계적인 성공이라는 게 대중 문화에서 일반적인 공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럼 그런 중국에서
도시의 매력은 다양하다. 현대화로 삶이 편한 곳이 있고, 또 주변에 산과 강이 있어 자연이 아름다운 곳도 있다. 하지만 우리 모두가 꼽는 대표적 도시는 사람의 향기가 물씬 나는, 역사의 인문학이 살아 숨쉬는 그런 곳들이다.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져 조금은 불편할 수 있지만, 그래서 뭔가 다른, 그런 도시들을 우리는 매력적인 도시라 꼽는다. 물론 그러면서도 삶의 편의성이 제고된다면 더할 나위 없다. 유럽의 런던과 파리, 빈 등 도시들이 그런 도시로 꼽힌다. 유럽 전통의 문화가 숨쉬면서 현대화의 첨단을 이루는 도시들이다. 아시아에서는 베이징, 서울, 도쿄 등을 꼽을 수 있겠다. 역사의 인문학적 향기로 치면 중국 도시들은 어느 곳 하나 빠진다면 그 도시 시민들은 정말 서운할 것이다. 중국에서는 최근 다양한 기준으로 고른 《2025년 신일선 도시 매력 순위》가 발표됐다. 과연 어느 도시가 1위일까? 제일재경(第一财经) 산하 도시 데이터 연구 싱크탱크인 신일선도시연구소(新一线城市研究所)가 발표한 이번 도시 매력 지수 1위는 ‘상하이’가 꼽혔다. 상하이는 청나라 말기 유럽 문명이 들어와 개척한 도시다. 중국의 고유하면서도 근대 유럽의 문화가 교묘하게 뒤섞여 있는 곳이다.
중국 주요 은행들의 핵심 자기자본 비율이 10% 안팎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 자산에서 자기자본이 차지하는 비율이 바로 자기자본비율이다. 은행의 자기자본 비율은 보통 8%~15% 사이면 양호하다고 평가된다. 중국 은행들의 자산 건전성이 부동산 경기 침체 등을 겪고 있지만 여전히 비교적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이 같은 내용을 금융기관 경영지표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분기에는 약 90%에 달하는 표본 기관의 핵심 자기자본 수준이 연초 대비 하락했지만, 전체 자본 수준은 안정세를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국유은행, 주식제은행, 상장 농촌상업은행의 1분기 말 핵심 자기자본비율은 각각 11.7%, 9.9%, 11.9%를 기록했다. 지역 은행은 외부 자본 보충 경로가 상대적으로 단일하며, 상장된 농촌상업은행의 핵심 자기자본비율은 양호한 수준을 유지했지만, 전반적으로 지역 은행들은 자본 보충 측면에서 여전히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밝혔다. 올 1분기 상업은행의 자본 수준이 전반적으로 소폭 하락했으나 절대 수준은 여전히 양호하다고 판단했다. 수익성 저하는 대부분 업계 기관이 공통적으로 직면한 문제이며, 이로 인한 자본 수준
‘386조 2000억 위안’ 한화로 약 7경 3,895조 원 가량이다. 지난 1분기 중국 상업은행의 1분기말 현재 자산 잔액 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5% 가량 늘어난 수치다. 중국 은행자산 규모는 세계 수위다. 차이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최근 『상업은행 2025년 1분기 실적 평점』을 발표했다. 중국 매체들은 “올 1분기 복잡한 경제 상황 속에서 중국 은행업은 분화된 양상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이번 자료에 따르면 특히 지역 은행들은 자산, 수익, 이익 측면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으나, 업계 전반의 순이자마진은 지속적으로 축소됐다.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상업은행의 자산 규모는 386조 2천억 위안(약 7경 3,895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했다. 은행 유형별 자산 증가율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국유은행과 주식제은행은 각각 3.7%와 3.2% 증가한 반면, 도시상업은행과 농촌 금융기관은 각각 9.5%, 5.5% 증가하여 업계 성장을 견인하는 주요 동력으로 작용했다고 밝혔다. 전반적으로 모든 금융기관은 1분기에 전년도 자산 규모 변화 추세를 이어갔으며, 국유은행과 주식제은행은 역사적 평균보다 자산 증가세가 다
올 1분기 중국 불량 채권 비율이 1.5% 가량 늘었다. 중국의 소비 진작을 위해 막대한 재정 정책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그 부실화 진도는 예상 외로 양호한 것이라는 게 전반적인 평가다. 다만 중국 당국은 최근 몇 년간의 부동산 침체로 인한 부실을 최대한 노출시키지 않고 정리하고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번 수치 역시 서구 언론들은 전적으로 믿는 분위기는 아니라고 전해지고 있다. 베이징완바오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1분기 동안 중국 상업은행의 자산 건전성은 안정세를 보였고, 업계 불량채권비율은 1.51% 수준을 유지했다. 은행 유형별로는 모든 상장은행의 불량채권비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2025년 1분기 말 기준 상장 국유은행과 주식제은행의 평균 불량채권비율은 각각 1.23%, 1.25%였고, 도시상업은행과 농촌상업은행은 각각 1.15%, 1.04%로 국유은행 및 주식제은행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고 밝혔다. 충당금 커버리지 비율 측면에서 모든 상장은행이 여전히 규제 기준 이상을 유지했으나, 2024년 말 대비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2025년 1분기 말 기준 중국 상업은행의 충당금 커버리지 비율은 208.13%로, 전년 말 대비
중국이 ‘스마트 +’로 산업을 빠르게 개편하고 있다. 중국의 올 1~4월 스마트 로봇과 스마트 홈 시스템 산업이 전년동기 대비 각각 88%, 16%씩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IT굴기를 바탕으로 IT기술을 산업 전반에 적용, 스마트 산업으로 변신시키는 단계에 진입한 상태다. 차이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이 같은 내용의 관련 산업 동향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상무부의 대규모 데이터를 통한 모니터링 결과, 1월부터 4월까지 디지털 제품의 온라인 판매액이 8.4% 증가했다. 이중 스마트 로봇과 스마트 홈 시스템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7.6%, 16%의 큰 폭의 성장을 기록했다. 중국 당국은 앞서 지난 3월 중공중앙판공청과 국무원판공청이 공동으로 『소비 진작 특별행동방안』을 통해 새로운 산업 성장 동력으로서 ‘인공지능 +’, 즉 ‘스마트ㅓ +’ 방안을 제시했다. 이 방안에서는 ‘인공지능+’ 행동을 전개하고 ‘인공지능+소비’를 촉진하며, 자율주행·스마트 웨어러블·초고화질 영상·뇌-컴퓨터 인터페이스·로봇·적층 제조 등 신기술과 신제품의 개발 및 응용 보급을 가속화하여 고성장 소비의 새로운 트랙을 개척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2024년 제1
‘130개, 14개’ 중국에서 지난 5월 21일 허가된 게임 숫자다. 앞의 숫자가 중국 게임업체들의 게임, 후자가 수입게임 허가건수다. 중국은 올 들어 게임허가 건수를 조금씩 늘려주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국가신문출판서는 최근 130개의 국산 게임과 14개의 수입 게임 판호를 발표했다. 판호를 줬다는 의미는 한국식으로 게임 영업을 허가했다는 것이다. 중국 매체들은 “게임 판호 발급은 안정적인 리듬을 이어가고 있으며, 업계 규제 환경도 지속적으로 최적화되고 있다”고 평했다.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올 5월 기준, 연간 누적 654개의 국산 판호와 44개의 수입 판호가 발급됐다. 중국 매체들은 “이는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한 것”이라며 “업계 공급 측은 뚜렷하게 개선되어 양질의 콘텐츠가 더욱 빠르게 출시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고 분석했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판호 구조 측면에서도 다수 제품이 동시에 모바일 + 클라이언트/콘솔 판호를 취득해 ‘크로스 플랫폼 융합 + 고품질화’라는 공급 방향성을 반영했다. 인공지능의 지속적인 발전도 게임 섹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는 게 중국 매체들의 분석이다. 게임 분야는 인공지
‘129.3억 톤/킬로미터’ 올 4월 중국 항공의 총 운송 회전량이다. 전년보다 무려 14% 가까이 성장한 수치다. 항공물류가 는다는 것은 그만큼 발 빠른 화물과 여객수송이 는다는 것이며, 중국 경제 순환 속도가 그만큼 빨라지고 있다는 의미다. 지구촌 2곳의 전쟁이 끝나지 않고 미국발 글로벌 관세전 전운이 짙어지는 상황에서 중국의 경제는 꾸준한 활력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신화통신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민항국은 이 같은 내용의 4월 항공운수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4월 중국의 항공 운송 규모는 양호한 성장세를 보였으며, 총 운송 회전량은 129.3억 톤킬로미터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13.7% 증가했다. 이 중 국제 노선이 눈에 띄는 성과를 보여 전년 대비 26% 증가했다. 여객 부문에서는 왕성한 여행 수요가 국내 여객 운송 규모의 성장 속도를 안정적으로 끌어올렸으며, 1분기 대비 4.9%포인트 상승했다. 동시에 빠르게 증가한 입국 관광 수요가 국제 노선 여객 운송량을 전년 대비 25.9% 증가시키는 데 기여했다.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넓은 국토에 세계 최대 인구를 가진 나라다. 전반적인 경제 상황은 유럽 전체의 규모와 비견된다. 그만큼
‘857억 위안’ 한화로 약 16조 3,189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1분기 게임시장 실 매출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무려 18% 가량 성장한 수치다. 중국 게임 산업이 갈수록 그 규모를 키우고 있다. 한국 게임업체들이 중국 시장 개방에 목을 매는 이유가 여기 있는 것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중국음수협 게임공위(GPC)는 이 같은 내용의 게임산업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중국 게임 시장의 실제 매출은 857억 위안(약 16조 3,18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99% 증가했다. 호재 소식에 힘입어 게임 ETF(516010)는 3% 이상 상승했다. 게임 회사들의 실적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했으며, 섹터의 밸류에이션 중심도 회복될 가능성이 생겼다. GPC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중국 게임 시장의 실제 매출은 857억 위안(약 16조 3,18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99% 증가했다. 1분기 기준으로, 세기화통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한 81억 위안(약 1조 5,424억 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유족네트워크는 귀속 순이익이 2,470만 위안(약 47억 386만 원)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