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4%, 25.2%’ 올 상반기 중국 상하이 시의 디지털 제품 제조업과 고기술 제조업 판매 수익의 전년동기 대비 증가 폭이다. 중국 기술 산업의 핵심 도시 가운데 하나인 상하이시가 중국 전자 및 고기술 산업의 압도적인 성장세를 대변해주고 있다. 신민완바오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부가가치세 세금계산서 등을 토대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시 산업 발전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상하이시의 다른 산업 발전은 소폭 증가하거나 제자리 걸음을 했으나, 전자, 고기술 제조업은 20% 대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시 당국 발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상하이 제조업체의 판매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했다. 그 중에서도 장비 제조업, 디지털 제품 제조업, 고기술 제조업의 판매 수입은 각각 7.9%, 28.4%, 25.2%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중국 매체들은 “올해 상반기 상하이시의 경제 활력이 지속적으로 강화되었고, 신형 생산력이 끊임없이 육성되며 발전의 질이 꾸준히 향상되었다”고 보도했다. 중국 매체에 보롱장비기술주식회사의 장링롱 회장은 “첨단 기술, 국제적 배치, 정책 혜택 덕분에 회사는 고품질 발전의 고속도로에 진입했다”고 밝혔
‘2,700억 위안’ 한화로 약 51조 9,642억 원 가량이다. 중국이 올 상반기 집행한 국가 전산망 고정자산 투자액이다. 반기 집행 금액으로 역대 최고치다. 중국은 전국 통신망 기반을 활용해 국가 산업을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연계되는 ‘플랫폼 경제’로 전환하고 있다. 전기 통신망 인프라는 이 같은 중국 당국의 계획에 근간이 되는 부분이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국가전망공사(国家电网)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통신망 인프라 구축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2025년 상반기 국가전망은 고정자산 투자를 2,700억 위안(약 51조 9,642억 원) 이상 집행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1.7% 증가한 수치다. 중국 매체들은 “동기간 기준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자료에 따르면 관할 지역 내 시장화 거래 전력량은 24,550억 킬로와트시를 달성했다.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했다. 전체 거래 전력량의 75.3%를 차지했다. 관할 구역 내 풍력·태양광 신재생에너지 신규 계통 연계 용량은 2억 300만 킬로와트로, 전년 동기 대비 108.7% 증가했다. 온라인 사회가 빠르게 구축되면서 각국의 전기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
‘455만 개’ 중국의 올 상반기 현재 5G 기지국 수다. 세계 최대다. 빠르게 온라인 중심의 ‘플랫폼 경제’로 변신하는 중국 산업구조 재편의 핵심 역량이다. 중국의 전기통신 산업 성장세는 이미 포화상태다. 이 포화상태인 전기통신업을 기반으로 여타 산업의 구조 재편이 가속화하고 있는 것이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산업정보화부는 이 같은 내용의 전기 통신산업 기반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중국 5G 기지국 총수는 455만 개에 달했고, 5G 이동전화 가입자는 11억 1,800만 명으로, 사용자 보급률은 79%를 초과했다. 기가급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포트 수는 3,022만 개에 이르렀고, 기가급 광대역 사용자 수는 2억 2,600만 명에 달했다. 산업정보화부 정보통신발전사 사장 셰춘은 “올해 상반기 중국 전기통신 업무 총량은 전년 동기 대비 9.3%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는 “정보통신 산업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운영세를 유지했다”며 “다음 단계로 우리는 네트워크 구축 및 업그레이드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5G 및 기가급 광통신망의 커버리지 심화 및 확대를 강화하며, 5G-A 및 10기가 광통신망의 시범 구축을 가
올 상반기 베이징에서 새로 설립된 기업이 약 15만 개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신설 기업 수는 역대 동기 최고치를 기록했다. 선전, 상하이와 함께 중국 경제를 이끄는 삼두 마차 가운데 하나인 베이징시의 경제가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는 게 중국 매체들의 평가다. 베이징완바오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베이징 시 당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시 경제활동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베이징에서 신설된 기업은 약 15만 개였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약 20%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을 갱신했다. 신설 기업은 대부분이 대부분 민간기업이었다. 베이징의 경영 주체 중 민간기업이 95% 이상을 차지했다. 시 고용의 60% 이상을 흡수하고, GDP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 당국은 민간기업의 발전을 더 잘 지원하기 위해 민간경제 정책 집행을 조율하는 체계를 구축했고, 상반기에만 민간기업이 제기한 문제 1만여 건을 처리했다고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시가 기업 친화 정책으로 기업 활동을 적극 지원했다는 것이다. 시는 외자 기업 유치에도 적극적이었다.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에 외자 연구개발센터 58곳이 새
‘6조 8천억 위안’ 한화로 약 1,310조 2,920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상반기 도매 및 소매업 부가가치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6% 가량 성장한 수치다. 중국 당국의 적극적인 재정정책에 힘입어 도소매업이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에서도 위축되지 않고 성장세를 구가하고 있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도소매업 상반기 현황을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1월부터 6월까지 중국의 도매 및 소매업 부가가치는 6조 8천억 위안(약 1,310조 2,92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9% 증가했으며,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3%였다. 중 당국은 “현대 상업 유통 체계의 개선을 가속화하고 도매 및 소매업의 고품질 발전을 추진해왔다”며 “이 같은 정책이 실질적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1월부터 6월까지 중국 도매업은 상품시장 거래액은 2조 8천억 위안(약 539조 5,320억 원)에 달했고, 그중 공업 소비재와 농산물 시장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3%, 0.1% 증가했다. 소매업을 보면, 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1월부터 6월까지 상품 소매액은 21조 8천
올 상반기까지 중국에서 6600만 명의 소비자들이 총 1억 900만 대의 가전제품을 구형에서 신형으로 교환한 것으로 집계됐다. 소위 ‘이구환신’(구형을 신형으로 교체하는 비용 지원 정책) 정책의 결과다. 중국은 지난해부터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펼쳐왔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짙어지자 이에 대한 대응으로 내수시장을 적극 키우기로 하면서 다양한 재정정책과 함께 저금리 통화 완화정책을 펼쳐왔다. ‘이구환신’은 중국 재정정책의 대표주자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이구환신’ 정책 실행 결과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이 ‘이구환신’ 정책의 지원을 받아 6,600만 명 이상의 소비자가 12대 가전제품을 대상으로 중고 제품 1억 900만 대 이상을 신제품으로 교환한 것으로 집계됐다. 6,900만 명 이상의 소비자가 휴대전화 등 디지털 제품 7,400만 점 이상을 구매했다. 전국 8만 2천 개의 판매 매장이 전기자전거 중고 교환 캠페인에 참여해 총 905만 6천 대의 신차로 교체되었다. 전통 브랜드 상품과 서비스도 소비자들에게 폭넓게 사랑받았다. 중국 매체들은 “중고제품 교환 정책은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었
‘상하이 4만6,805위안, 베이징 4만5,144위안’ 중국 성별 1인당 가처분소득에서 상하이와 베이징이 1, 2위를 기록했다. 경제 수도와 정치 수도가 나란히 중국 고소득 성 순위 1, 2위를 차지한 것이다. 3위는 3만8000위안에 육박한 저장성이었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 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상반기 성별 1인당 가처분소득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상하이 주민의 1인당 가처분소득이 4만6,805위안(약 905만 원)으로 전국 1위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베이징 주민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4만5,144위안(약 873만 원)으로 2위를 기록했다. 두 도시의 주민소득은 임금소득이 견인했다. 올 상반기 동안 베이징 주민의 1인당 임금소득은 29,447위안(약 569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했다. 주민 가처분소득 증가를 3.4%포인트 견인해 기여율은 71.3%였다. 중국 1인 당 가처분소득 3위는 저장성이었다. 저장성은 상반기 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이 37,813위안(약 731만 원)으로 3위를 차지했다. 장쑤성은 같은 기간 가처분소득이 3만 위안(약 580만 원)을 돌파하여 30,706
중국의 올 상반기 1인당 가처분소득이 2만2000위안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명목기준 5% 이상 늘어난 수치다. 특히 베이징과 상하이 1인당 가처분소득이 4만5000위안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화로 약 870만원가량이다. 중국 31개 성 가운데 11개 성이 1인당 가처분 소득 2만위안(약 387만원)을 돌파하는 한 것으로 집계됐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 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상반기 성별 1인당 가처분소득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 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은 2만1,840위안(약 415만 원)이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명목 기준 5.3% 증가한 수치다. 물가 요인을 제외한 실질 증가율은 5.4%였다. 중국 31개 성 가운데 11개 성에서 1인당 가처분소득이 2만 위안을 초과했다. 특히 상하이와 베이징은 4.5만 위안을 넘겼다. 주민 가처분소득이란 주민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소득으로, 최종 소비지출과 저축에 사용할 수 있는 총소득을 의미한다. 가처분소득에는 현금소득뿐만 아니라 현물소득도 포함된다. 수입원에 따라 가처분소득은 네 가지 항목으로 구성되며, 각각 임금소득, 경영순소
‘501만 건’ 중국의 올 상반기말 현재 유효 발명특허 수다. 전년동기 대비 13%가 훌쩍 넘는 두 자릿수 증가세를 시현했다. 중국의 기술 굴기가 가열차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국가지식재산국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중국의 국내 유효특허 현황을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국내 유효 발명특허 수는 501만 건으로 전년 대비 13.2% 증가했고, 인구 1만 명당 고가치 발명특허 수는 15.3건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네이처 인덱스 2025 연구 리더 순위》에 따르면, 중국은 고품질 연구성과에서 세계 1위를 계속 유지하고 있으며, 그 격차는 계속 벌어지고 있다. 《2025년 글로벌 100대 혁신기관》 보고서에서는 중국 기업 6곳이 선정되었고, 텐센트와 화웨이는 나란히 상위 10위에 들었으며, 화웨이는 2015년 이후 연속 선정되고 있다. 이 같은 기술 굴기는 스타트업 증가로 이어졌다. 국가정보센터에 따르면, 산업단지 생산지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며, 2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21.2%, 상반기 전체로는 15.8% 증가했다. 창업형·혁신형 기업의 경영활력 지수는 2분기 각각 38.3%, 28.2% 상승했고, 상반기 기준으
‘127.1%, 53%, 36.2%, 17.7%’ 올 상반기 중 중국에 투자한 외자 전자상거래 서비스업, 화학의약 제조업, 항공우주기기 및 장비 제조업, 의료기기 및 장비 제조업체들의 실제 외자 사용 금액 증가폭이다. 이들 기업의 투자 증가폭은 미국의 강력한 규제에도 불구하고 이뤄진 것이어서 주목된다. 증췐르바오 등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외자기업 투자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제조업 분야에서 실제 사용된 외국 자본은 1,090억 6,000만 위안(약 21조 1,423억 원)에 달했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 분야가 3,058억 7,000만 위안(59조 2,959억 원)이었다. 이어 고기술 산업의 실제 외자 사용 금액은 1,278억 7,000만 위안(약 24조 7,888억 원)에 달했으며, 그 중 전자상거래 서비스업, 화학의약 제조업, 항공우주기기 및 장비 제조업, 의료기기 및 장비 제조업의 실제 외자 사용 금액은 각각 127.1%, 53%, 36.2%, 17.7% 증가했다. 고기술 분야의 중국 투자는 미국이 강력히 규제하고 있는 분야다. 이런 미국의 규제를 뚫고 중국에 적극 투자한 외국 자본 규모가 크게 증가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