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유니버설 스튜디오가 9월 1일부터의 시범 운영을 마치고 20일 정식 개장했다. 미국(할리우드, 올랜도), 일본(오사카), 싱가포르에 이은 세계 다섯 번째 유니버설 스튜디오다. 개장일 입장권은 지난 14일 0시부터 온라인 예매를 시작했다. 입장권 가격은 이용 조건에 따라 418∼748위안(약 7만5천∼13만5천원)으로 책정됐다. 추석 연휴기간 입장권은 예매 시작 30분도 되지 않아 매진됐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베이징 유니버설 스튜디오가 추석 연휴기간 최고 인기 여행지로 떠오르면서 암표 매매가 극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입장권 구매부터 입장객 현장 체크까지 모두 실명제로 운영하고 있지만 정식 입장권보다 10배가량 비싼 암표까지 등장했다. 베이징 유니버설 스튜디오는 쿵푸팬더, 트랜스포머, 쥬라기월드, 해리포터 등 영화와 할리우드를 테마로 한 7개 테마 구역으로 구성됐다. 그 중 쿵푸팬더, 트랜스포터 테마 구역은 세계 5개 유니버설 스튜디오 중 최초다. 특히 쿵푸팬더 테마 구역은 실제 영화 속 배경과 등장인물들을 고스란히 재현한 중국풍 마을과 캐릭터를 선보여 눈길을 끈다. 또 할리우드 거리를 테마로 조성된 ‘할리우드 블러바드’에는 장예모
중국 정부가 소득 분배를 강조한 ‘공동부유(共同富裕)’를 국정 기조로 공식화한 이후 지방 정부들이 최저임금 인상에 경쟁하듯 나서고 있다. 중국 온라인 매체 펑파이(澎湃)는 17일 최근 중국의 15개 성(省)급 정부가 노동자 최저임금을 인상했다고 보도했다. 펑파이에 따르면 중국에서 임금 수준이 가장 높은 상하이는 110위안(약 2만원) 오른 2천590위안(약 47만3천원), 베이징은 120위안(약 2만2천원) 오른 2천320위안(약 42만3천원)으로 월 노동자 최저임금을 책정했다. 인상 폭이 가장 큰 후베이성은 1천500위안(약 27만4천원)에서 1천800위안(약 32만8천원)으로 일시에 20%가 올랐다. 펑파이는 또한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공동부유 사회 건설을 촉진하기 위한 행동 요강을 제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의 공동부유 촉진 기본 제도는 총 3단계 분배로 이뤄진다. 1차는 생산활동을 통한 소득과 이윤의 분배, 2차는 정부의 세금 및 사회보장제도를 이용한 분배, 3차는 고소득 계층과 기업의 기부 등을 통한 분배다. 중국 정부는 지난 8월 17일 중앙재경위원회 제10차 회의에서 공동부유 사회 구현을 전면화한 이후 다방면에 걸쳐 정책 드라이
애플이 아이폰13 모델의 중국 시장 판매가를 낮춰 중국 소비자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애플은 14일 공개된 아이폰13 시리즈 가격을 지난해의 아이폰12 시리즈보다 300∼800위안(약 5만4천∼14만5천원) 싼 가격에 선보였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에서 아이폰13은 모델에 따라 아이폰13 미니(5.4형 화면) 5천199위안(약 94만원), 아이폰13(6.1형 화면) 5천999위안(약 108만원), 아이폰13 프로(6.1형 화면) 7천999위안(약 144만원)으로 출시됐다. 애플은 화웨이(華爲), 샤오미(小米) 등 중국 브랜드와의 경쟁에서 확고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시장의 예상의 깨고 아이폰13 판매가를 낮췄다는 평가다. 애플이 5G 스마트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공격적인 가격 전략을 선택했다는 분석이다. 세계적인 반도체 공급 부족과 가격 상승으로 인해 아이폰13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예상보다 가격이 내려간 아이폰13 시리즈에 중국 소비자들은 즉각 호응하고 나섰다. 17일 IT 매체 폰아레나에 따르면 중국 온라인 쇼핑몰 징둥닷컴의 아이폰13 사전 예약자는 200만 명을 돌파했다. 지난해 아이폰12의 사전 예
8월 중국 실물 경제 회복세가 눈에 띄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8월 산업생산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5.3%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7월 증가율 6.4%는 물론 시장 전망치 5.8%를 밑도는 것으로 올해 상반기(1~6월) 평균 15.9% 대비 3분의 1 수준이다. 지난해 7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여전히 성장세는 유지했지만 상승 추세는 급격히 꺽였다. 8월 소매판매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5% 증가했다. 이는 7월 증가율 8.5%에서 대폭 하락한 것으로 시장 전망치 7.0%를 크게 밑돌았다. 중국 소매판매 지표는 지난해 기저효과로 인해 올해 상반기 내내 두 자릿수 증가율을 유지해왔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8월 생산·소비 둔화 원인으로 코로나19 델타변이 확산과 잇단 자연재해를 꼽았다. 코로나19 재확산을 막기 위해 지방 정부들이 여름 휴가기간에 봉쇄에 나서면서 관광 도시 중심으로 서비스 산업이 큰 타격을 받았다. 또한 각지에서 태풍, 홍수로 인한 공급 차질 등으로 기업 활동에 어려움이 컸다는 분석이다. 중국의 생산과 소비 둔화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국가통계국은 원자재 가격 상승과 반도체 부족 사태 등 대내외 환경 악화
훙멍(鴻蒙·Harmony)은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華爲)가 개발한 운영체계(OS)의 이름이다. 지난 6월 2일 화웨이 스마트폰에 탑재해 선보인 최신 버전이 ‘훙멍2’. 화웨이는 13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신제품 발표회에서 세계 ‘훙멍2’ 사용자가 1억 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위청둥(余承東) 화웨이 소비 부문 CEO는 “첫 선을 보인 6월 2일부터 9월 12일까지 ‘훙멍2’로 업그레이드를 마친 고객이 1억 명을 돌파했다”며 “‘훙멍2’는 사물 인터넷 시대에 여러 기기를 쉽게 연결할 수 있는 컨트롤 시스템의 기초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훙멍2’는 미중 디지털 기술 패권 갈등의 소용돌이 속에서 탄생했다. 현재 세계 운영체계 시장은 애플의 iOS와 구글의 안드로이드가 99%를 점유한다. 화웨이 역시 이전에는 구글 안드로이드 기반의 운영체계를 함께 사용했다. 하지만 지난해 가을부터 본격화된 미국의 제재로 인해 반도체 등 핵심 부품은 물론 구글 모바일 서비스(GMS)까지 구입이 불가능해지자 결국 독자 생태계 구축에 나섰다. 그 결과물이 스마트폰, 스마트TV, 태블릿PC, 프린터, 웨어러블 기기, 자율주행 자동차 등 여러 기기를 연결하고 통합적으로 사용하는 OS
중국수출입상품교역회(캔톤 페어·Canton Fair)는 중국 최대 규모의 무역 박람회다. 1957년 이래로 매년 봄, 가을에 광둥성 광저우에서 개최된다. 중국에서 가장 오래되고 전시 규모가 큰 무역 이벤트로 꼽힌다. 제130회 중국수출입상품교역회(캔톤 페어 2021 가을)가 10월 15일부터 11월 4일까지 개최된다. 지난해와 올 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온라인으로만 개최됐지만 이번 가을 박람회는 오프라인, 온라인 전시회가 동시에 진행된다. 온라인 박람회는 VR 전시홀, VR 전시 부스, 글로벌 VR 교역 상담회 등으로 구성된다. 기존 박람회 참가 바이어는 ‘캔톤 페어 2021 가을’ 웹사이트(www.cantonfair.net) 로그인을 통해, 신규 바이어는 웹사이트에서 신청서 제출 후 참여가 가능하다. 16개 카테고리, 50개 전시 섹션에 총 240만 개 이상의 제품들이 소개된다. 오프라인 박람회는 총 3단계로 나눠 광저우 파저우 섬에 위치한 ‘캔톤 페어 콤플렉스(광저우 국제컨벤션전시센터)’에서 열릴 예정이다. 약 118만㎡ 전시 공간에 6만여 개 부스가 설치된다. 10월 15~19일 열리는 1단계 박람회에는 전기, 전자, 건축, 기계, 화학 관련
중국 정부가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의 여파로 경기 급랭 우려가 커지자 전략비축유 방출을 결정했다. 9일 중국 국가양식·물자비축국은 온라인 공고를 통해 비축 원유를 경매 방식으로 민간에 매각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쟁 등 국가적 비상 상황에 대비한 비축유를 시장에 푸는 사상 첫 사례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원자재 인플에이션 억제를 위해 전략비축유를 향후 단계적으로 방출할 예정이다. 중국 국가양식·물자비축국도 "원유 정련 일체화 기업에 비축유를 공급해 원재료 가격 상승 압력을 완화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방출 규모를 공개하지는 않았다. 중국 정부는 이전에도 물가 안정을 위해 구리, 알루미늄 등 비축 원자재를 민간에 공개적으로 방출한 바 있다. 하지만 전략비축유 방출을 공표한 적은 없었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정부가 과거에도 비축유를 시장에 공급한 적이 있지만 공개적으로 비축유 방출을 선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전했다. 그만큼 이번 발표가 매우 이례적이라는 것이다. 중국의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9.5%로 2008년 이후 13년 만에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이는 산업 전반에 큰 부담 요인으로 작용해
세계 최대 온라인 게임 시장인 중국에서 신규 게임 허가가 중단된다. 중국은 앞서 최악의 셧다운제를 도입한 바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9일 “중국 당국이 텐센트, 넷이즈 등 자국의 대형 게임 업체들에게 미성년자 게임 제한 규정을 철저히 준수하도록 요구하면서 당분간 신규 게임 판호(版號·중국 내 게임 서비스 허가) 발급 중단을 통보했다”고 전했다. 신규 게임 판호 발급 중단 기간은 확정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 조치로 중국 게임 업계는 물론 한국, 일본 등 중국 온라인 게임 시장에서 경쟁하는 해외 업체들도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9개월 동안 판호 발급이 중단됐던 2018년에도 게임 업체들은 신작 발표를 통한 각종 수익 사업이 불가능해져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이번 판호 발급 중단 조치는 중국 정부기관이 감독 대상 업체를 불러 문제점을 지적하고 시정을 요구하는 자리인 웨탄(約談·예약면담)에서 공개됐다. 인민일보 등 중국 현지 매체에 따르면 공산당 중앙선전부, 국가신문출판서 등 4개 기관은 지난 8일 주요 게임업체, 게임 계정 거래 플랫폼, 게임 방송 플랫폼 등을 상대로 웨탄을 가졌다. 웨탄에서 당국은 게임, 플랫폼 업체들에게 “맹목적
중국의 월간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이 13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9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8월 PPI는 전년 동월 대비 9.5% 상승했다. 이는 2008년 8월 10.1%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으로 시장 전망치인 9.0%를 상회했다. PPI 상승률은 특히 원자재 부문에서 두드려졌다. 중국 경제가 에너지 소비의 3분의2가량을 의존하는 석탄 채굴이 57.1% 상승률로 최고 기록을 세웠다. 석유·천연가스 채굴(41.3%), 석유·석탄 가공(35.3%), 흑색금속 채굴(46.1%) 등의 PPI 상승률도 높게 나타났다. 원자잿값의 급격한 상승 추세는 생산자들이 비용 부담을 소비자와 수입업자에게 전가하는데 어려움과 한계를 보이면서 경기 하방 압력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중국 정부가 고강도 부양책을 쓰면서 코로나19 팬데믹의 충격에서 서서히 벗어나는 듯했지만 올 봄부터 시작된 원자잿값 급등의 여파로 기업들의 경영난이 가중돼 경제 회복 동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생산자물가지수(PPI)와 소비자물가(CPI)와의 격차 또한 계속 확대되고 있다. 8월 CPI는 전년 동월 대비 0.8% 올라 7월 1.0%보
알리페이(즈푸바오·支付寶)가 중국 본토와 마카오 간 송금 수단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8일 중국 최대 전자결제 플랫폼 알리페이가 중국과 마카오 간 송금에 이용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이로써 알리페이는 중국 본포와 마카오를 연결하는 최초의 전자결제 플랫폼이 됐다. 송금이 더욱 편리해지면서 중국 광둥성, 홍콩, 마카오를 하나의 경제권으로 묶는 '웨강아오 대만구(Greater Bay Area)' 프로젝트가 한층 탄력을 받게 됐다. 웨강아오 대만구 프로젝트는 광저우, 선전(深천<土+川>), 주하이, 둥관, 후이저우, 포산, 중산, 장먼, 자오칭 등 광둥성 9개 주요 도시와 홍콩, 마카오를 연결하는 거대 경제권을 조성하는 것이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이 주도하는 역점사업이다. '웨'는 광둥성, '강(港)'은 홍콩, '아오(澳)'는 마카오를 각각 뜻한다. 중국은 웨강아오 대만구 프로젝트를 통해 '개혁·개방'의 시발점이자 경제성장의 원동력인 주장(珠江)삼각주 지역을 미국의 샌프란시스코 주변 지역과 일본의 도쿄도를 능가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메갈로폴리스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베네티아 리 알리페이 홍콩/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