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획컬럼] 중국의 여론정치 (2) - 당 중앙만 몰랐던 문화대혁명의 여론 형성 과정

 

당 중앙만 몰랐던 문화대혁명의 여론 형성 과정

 이 사건은 당대 무소불위의 마오쩌둥이라도 당내 여론이 형성되지 않으면 쉽게 전횡을 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오쩌둥은 아내 장칭 등을 이용해 자신의 말을 잘 듣지 않는 당중앙을 우회해 상하이 문회보에서 작은 사건을 일으키고 그 것으로 중앙을 공격하도록 한다. 나중에 마오쩌둥 본인이 중앙 공격의 선봉장이 된다.

 

 1965년 11월 중국 전역을 10여 년 휩쓴 '무산계급 문화대혁명'의 불씨가 타오른다. 불길은 중난하이가 아니라 저 멀리 상하이에서 시작됐다.

 

 상하이上海에서의 이 같은 움직임을 류샤오치刘少奇나 저우언라이周恩来 등 당대 중난하이中南海 지도자들은 알아채지 못했다. 중난하이와 먼 곳에서 은밀하게 진행된 탓도 있지만, 무엇보다 지도자들이 정신없이 바빴다. 당시 중국은 대약진운동의 실패 이후 나라살림이 피폐해질 대로 피폐해진 상태였다. 류샤오치, 저우언라이, 천이 등 당대 중국 지도자들은 모든 역량을 경제 회복에 집중했다. 자연히 나라살림을 책임진 총리 저우언라이는 그중에서도 가장 바쁠 수밖에 없었다. 무엇보다 가뭄 등 자연재해가 지속돼 저우언라이를 괴롭혔다. 전국 주요 피해지역의 가뭄대책 현황을 점검하느라 아예 베이징北京을 비우는 날이 더 많았다.

 

농촌일 이 마음에 걸려 자리를 비우니, 문제가 있으면 언제든 펑전에게 내게 전화를 하도록 하시오, 그럼 내 언제든 다시 베이징으로 달려오겠소

 

 당시 저우언라이가 류샤오치 등 당 중앙 지도자들에게 남긴 말이다. 류샤오치는 당시 국가 주석이었고, 펑전彭镇은 베이징시 시장이었다. 저우언라이는 펑전을 대단히 신뢰했다. 류샤오치와 천이陈毅 등 지도자들이 해외 순방이라도 나선 상태에서 저우언라이가 베이징을 비우는 때는 당 중앙의 국방과 외교 업무를 펑전에게 일임하도록 했을 정도다. 펑전도 "총리가 계시면 우리들이 좀 편해지죠."라고 저우언라이의 신뢰에 화답했다.

 

 이런 중앙의 분위기 속에 1965년 11월 운명의 사건이 터진다. 중국 공산당 역사의 최악의 사건인 '문화대혁명'의 도화선에 불이 붙은 것이다. 불길은 중난하이와 거리가 먼 상하이, 정치와는 거리가 먼 문화계에서 타올랐다. 11월 10일 자 상하이 원후이바오文汇报에 문예극 비판 평론이 게재됐다. 엄청난 내용이었지만, 당 중앙에는 사전에 어떤 보고도 이뤄지지 않았다.

 

 평론의 제목은 '신편 역사극 '해서파관'을 평한다'였다. 글을 쓴 이는 훗날 '사인방' 중 한 명인 야오원위안姚文元이었다. 야오원위안은 당시 상하이에서 매서운 글 솜씨로 소문난 인물이었다. 과감하고 집요하게 문제를 파고든다는 평을 받고 있었다.

 

 그가 비판한 해서파관은 당대 베이징시 부시장이자 저명한 역사학자인 우한吴晗이 쓴 역사극이다. 요즘으로 치면 실명제보 수준이다. 급이 야오원위안이 비판할 수 있는 급이 아닌데, 이뤄진 것이다.

 

 해서는 명나라 때 청렴하기로 유명했던 관원이다. 평생 청렴하고 불의를 보고 참지 않았다. 해서가 부임을 하면, 지방 관료들은 모두 사직해 숨고, 지방 백성들은 거리에 나와 환영했다고 한다. 직접 농사를 져 스스로 숙식을 해결하고 평생 남긴 것이 옷 한 벌과 책뿐이었다고 사료는 전한다.

해서파관은 해서가 백성을 위해 황제에게 선정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다 파면된 이야기다. 해서파관은 이런 해서의 품격을 본받자는 취지로 쓰인 것이다.

 

 본래 '해서를 알려 본받도록 하자'라는 생각은 마오쩌둥毛泽东의 머리에서 나왔다. 마오가 직접 우한에게 '해서가 황제를 욕하다'라는 글을 쓰게 했고 이에 당시 중국 각 지역에서 해서와 관련된 문예활동이 빈번해졌던 것이다. 이런 우한의 글을 비판하다니?

 

 야오원위안은 평론은 소문 그대로 매섭고 집요했다. 먼저 해서파관에서 해서가 역사적 인물이라기 보다 우한에 의해 고결한 품격으로 덧칠해진 가짜 해서라고 지적한다. 즉 우한이 전하는 인물 해서에는 숨겨진 의도가 있다는 것이다. 이런 전제를 한 야오원위안은 이어 극 내용과 관련 해서가 봉건시대 관료로서 당대 소작인을 위해 일을 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한다. 당시 농민이 늙어 노동력을 상실하면 배분 받았던 토지를 반납하는 '퇴전'제도가 있는데, 해서는 이 제도를 엄격히 시행하도록 했다. 이 제도가 지주에게 타격을 준 것은 사실이지만, 역시 빈농을 위한 것은 아니었다고 꼬집는다.

 

 야오원위안은 이어 '해서파관'은 해서가 파면되는 과정에 다른 정치적 함의가 있어 문제라고 지적한다. 우한은 '해서가 백성의 억울함을 대신했다'라고 높이 칭찬했는데, 이는 1950년 대약진 운동 실패 이후 우파 기회주의자들이 좌파 무산계급 독재를 공격할 때 쓴 수법이라고 야오원위안이 묘하게 연결을 한 것이다.

 

 

“해서파관은 향기를 내는 꽃이 아니다. 독을 뿜는 독초다.”

 

 바로 야오원위안의 결론이다. 당시는 극좌의 마오쩌둥의 1인 천하 시대였다. 마오쩌둥은 무산계급을 대신해 독재를 하던 인물이다. 그 시대에 "무산계급 독재에 반한다."라는 말은 "반역"과 같은 뜻이었다. 야오원위안의 비판은 한마디로 "해서파관을 쓴 우한은 우파 기회주의로 무산계급 독재에 반하는 독초"라는 비판이었다.

 

 당시 중국은 이미 수차례 숙청바람이 불었었다. 야오원위안의 글을 읽는 모든 사람의 간담이 서늘해지는 게 당연했다. 글이 발표되자, 당장 학계에서는 반대의 목소리가 높았다. 중난하이의 당 중앙 지도자들 역시 깜짝 놀랐다. 그러나 아직 이 일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이는 드물었다. 저우언라이 역시 마찬가지였다.

 

 

‘저 적을 놀라게 하라’

 

 중국 공산당의 여론 정책에서 보여주는 전술이다. 또 언제든 꼬리 자르기가 편하도록 베이징이 아니라 상하이가 시발점이었다. 지식인들의 이 같은 반대의 목소리가 높아졌지만 그 반대의 극좌적 여론도 급성장 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