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컬럼] 中國의 선거제도

 

 다음 주 21대 국회의원 선거가 있다. 거주지를 옮긴지 얼마 되지 않아 그렇기도 하지만, 출마한 각 당 후보들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 코로나19로 유세도 예전만큼 못하는 것 같고, 특별한 쟁점도 없는 것 같다. 집으로 배송된 선거 공보물을 읽어 보았다. 무엇보다 당의 정책과 후보자 정보 등 크게 두 가지를 알고 싶었지만, 별로 내용이 없었다. 일부 당의 공보물은 예전의 대통령 사진들로 채워져 있어 헛웃음만 나왔다.

 

 중국은 공산주의 무늬를 입힌 자본주의 일당제 독재국가다.  마르크스주의에 의하면 국가는 인민들을 억압하는 집단이다.

 

 이것을 국가 운영체계가 없다면 무질서 상태에 빠지므로 ‘당정’을 통해 통치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일당독재라는 일괄적인 통제수단으로 빠른 성장을 통해 자본주의 단계를 스킵하고 공산주의 사회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는 것이다. 물론 억지에 불과하다.

 

 중국에서는 당정이 국정이며, 당직이 공직이다. 이해하기 어렵지만 인민해방군이 국군이 아닌 공산당군이고, 제1 방송국인 CCTV도 국영이 아닌 공산당영 방송국이다.

 

이런 중국에서 선거라는 제도가 존재할까?

 

 중국은 헌법 제34조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공민으로서 만 18세에 달한 자는 민족, 인종, 성별, 직업, 가정, 출신, 종교, 신앙, 교육정도, 재산상황, 거주기간에 관계없이 누구나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가지다. 다만 법률에 의해 정치적 권리를 박탈당한 자는 제외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중국의 행정조직은 성(省)급 지역 - 현(縣) - 향(鄕)/진(晉)으로 나누어진다. 중국에서 기층조직이라고 할 때는 일반적으로 현(縣)급 이하의 행정조직과 행정조직에는 속하지 않는 농촌의 촌민위원회(村民委員會)와 도시의 사구위원회(社區委員會)가 포함 된다.

 

 이 중에서 현(縣), 향(鄕)/진(晉)과 촌민위원회(村民委員會), 사구위원회(社區委員會) 인민 대표는 직접 선거를 실시한다.

 

 또한 인민대표대회는 전인대(全人大), 성(省)·시(市)·자치구·인민해방군 인대, 현(縣)·시(市) 인대 , 향(鄕)·진(鎭) 인대 등 4단계로 구분되어 있다.

 

 현(縣)급 이상 각급 인민대표대회대표, 각 급 인민정부의 지도자와 현(縣)급 이상 각급 인민법원 원장, 인민검찰원장은 간접선거를 통해 선출한다.

 

 그리고 상급 인민대표대회 역시 한 급 아래인 인민대표대회에서 간접선거로 선출된다.

 

 중국에는 중국공산당이외에 8개의 정당(중국국민당혁명위원회, 중국민주동맹, 대만민주자치동맹, 중국민주건국회, 중국민주촉진회, 중국농공민주당, 중국치공당, 구삼학사)이 있다.

 

그러나 8개 정당을 독립정당으로 볼 수 없고, 단지 중국공산당의 협조기관 형식으로만 역할을 한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일반적인 정당의 목적인 정권획득의 의미가 사라졌고, 공산당 일당에 의한 독재체제가 지속되고, 선거는 형식적인 절차가 된 것이다.

 

 삼권분립과 직접 민주선거를 요구하는 국민들의 목소리는 커지고 있지만, 중국 공산당의 통치 체제는 내부 통제 시스템에 힘입어 견고함을 유지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유튜브, 트위터, 페이스북 등에 대한 접근을 철저하게 통제하고 있다.

 

 "서구식 민주주의를 도입한다면 혼돈과 무질서가 난무할 것이고, 중국의 미덕들이 모두 사라질 것이다"라고 끊임없이 선전한다.

 

 중국은 몇 년 전부터 정치적 실험과 선거법 개정을 통해,  법적으로는 인민 추천을 가능하게 해 공산당이 선정하지 않은 후보도 선거에 출마할 수 있다. 또 각 후보자에게 유세 기회가 주어지고, 무기명 비밀투표도 실시한다.

 

 그러나 정권 차원의 변화가 불가능한 중국의 선거는 민주주의 확대의 시도가 아니라 지방정부를 장악하기 위한 수단이다.

 

 중앙집권적인 당 국가제도를 유지하는 중국에서 지방선거는 공산당의 지배를 강화하는 것이고, 문제 발생 시 책임을 전가할 수 있는 방책이 될 수도 있다.

 

 중국 선거와 정치제도가 민주화되기까지는 앞으로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오승찬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