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군(军)을 움직이는데 가장 해로운 게 주저하는 것이다.”

 

“군을 움직이는데 가장 해로운 게 주저하는 것이다.”

 

용병지해, 유예위대; 삼군지재, 생우호의 (用兵之害, 猶豫爲大; 三軍之宰, 生于狐擬)

 

“군을 움직이는데 가장 해로운 게 주저하는 것이다. 삼군의 멸망은 의심이 그 싹이다.”

 

오자병법 치병제삼에 나오는 글귀다. 중국의 병가는 요즘으로 치면 ‘위기’ 경영의 달인들이다. 국가가 가장 위급한 순간에 병사를 움직여 나라를 구해야 한다. 


본래 위기와 평화의 시기 나라 경영의 원칙은 변하는 법이다.

 

평화의 시기는 새로운 번영의 기회를 만드는 게 중점이고, 위기의 시기는 생존에 방점이 찍힌다. 중국 병가의 가르침은 위기의 시기 사람을 움직이는 법이다.


이런 점에서 중국 병가의 생각은 요즘같은 코로나 19 팬데믹의 위기 속 기업 경영인에게 가장 적절한 조언이다. 

 


오자병법은 중국에서 손자병법 못지않은 대접을 받는 병법이다. 그 가르침이 매섭다.


우선 병을 움직이는 이의 자세에 대해 말했다. “결정을 내렸으면 주저하지 마라” 간단하지만 다음 문장과 호응하여 천하의 절묘한 지도자의 행동 방침이 된다.

 

“왜냐하는 그럼 병들이 지휘관의 능력을 의심하게 된다. 그 의심이 바로 삼군이 몰락하는 불행을 낳는다.”


사실 전쟁에 임해서 가장 큰 힘은 지휘관과 병이 하나처럼 똘똘 뭉친 군대다. 지휘관의 지휘에 일사분란하고 빠르게 움직여 목표를 달성하는 군대다. 


그런데 지휘관이 결정을 해야 할 순간 머뭇거리며 결정을 미루고, 결정을 내리고도 자꾸 반복을 한다면 어느 병사가 따르겠는가? 


두 번째 문장은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우선 병사들의 자세다.

 

병사들은 지휘관을 믿어야 한다. 왜냐면 간단히 지휘관이라는 자리에 아무나 오르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철저한 검증이 있었다.

 

그런 지휘관이 말이 어눌하다고 해서, 생김새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해서 그 능력을 의심하는 일이 있다면 그 군대의 앞날은 빤하다. 전쟁터에서 멸망뿐이다. 


또 다른 의미는 지휘관이 병사들을 관리하는 최고의 가치가 무엇인지 보여준다. 병사들에게 의심을 갖도록 하지 마라는 의미다. 


전쟁터에 나가면 병사들은 당장 총칼에 총칼로 맞서야 한다.

 

한 순간에 목숨이 오가는 일을 하는 것이다.

 

반면 지휘관은 항상 그 뒤에서 그들을 지휘한다. 전쟁에 승리를 하건, 패배를 하건 지휘관이란 직책은 병사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일을 하는 이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지휘관은 병사들에게 유일한 생로다. ‘이 지휘관을 따르면 전쟁에 승리할 수 있다. 살아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많은 병사들이 지휘관을 따르는 것이다. 


코로나 19 팬데믹의 위기 속에 기업 경영자의 역할이 어때야 하는지 잘 보여준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