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83억 위안’ 한화로 약 36조 540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중국 이동통신의 대표주자인 차이나모바일의 지난 2024년 경영실적이다. 전년동기 대비 3% 이상 성장한 수치다. 이동통신은 대표적인 캐시카우 산업이다. 이용자들이 납부하는 이용료가 매달 꾸준히 들어오는 게 이동통신 산업의 매력이다. 차이나모바일은 딥시크와 결합해 본격적인 AI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2025년 사업구상도 발표했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차이나모바일이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실적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연간 총매출은 1조 400억 위안(약 210조 2,984억 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3.12% 증가했으며, 총이익은 1,783억 위안(약 36조 540억 원)으로 4.61% 증가했다. 모회사 귀속 순이익은 1,383억 위안(약 27조 9,656억 원)으로 전년 대비 5.01% 증가했다. 이 중 통신 서비스 매출은 8,895억 위안(약 179조 8,657억 원)으로 3.0% 증가했으며, 순이익은 1,384억 위안(약 27조 9,858억 원)으로 5.0% 증가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차이나모바일 최고경영자(CEO) 허뱌오는 오늘 저녁 열린 2024년
중국에서 인기 인플루언서에게 “부정 콘텐츠 신고를 해 계정을 패쇄시키겠다”고 협박, 금품을 갈취하는 사례가 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예로부터 "이 길을 지나려면 통행세를 내라"는 말이 있었는데, 오늘날에는 "돈을 내지 않으면 계정이 차단될 것"이라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부 사람들이 온라인 플랫폼에서 '보호비'를 걷고 있다는 것이다. 펑파이 뉴스 보도에 따르면, 여러 단편 영상 플랫폼에서 '계정 차단 조직'이 등장해 악의적인 신고를 통해 다른 이용자의 계정을 정지시키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계정 차단 조직'의 악의적 신고 방식은 다양했다. '내용 조작'을 통해 상대방과의 채팅 기록을 가져와 코드로 변조한 후, 음란물·폭력·사기 등의 불법 콘텐츠로 위조하기도 했으며, '허위 조작'을 이용해 이미지 편집을 통해 가짜 위반 채팅 기록을 만들거나, 이용자의 프로필, 영상 내용, 댓글 창의 허점을 찾아 신고하는 방식도 있었다. 또한, '조작 가능'한 방식으로 신고 내용의 심각성을 조절해 상대방 계정의 차단 기간을 조종하기도 했다. 이들은 플랫폼의 신고 규정을 잘 알고 있으며, 가짜 위반 내용을 조작해 이용자에게 억지로 '죄를 뒤
“중국 무역은 성장하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최근 올 1~2월 무역 현황을 밝히면 이 같이 목소리를 높였다. 마치 미국이 무슨 짓을 해도 “우리는 발전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중국 당국의 이 같은 태도 환호하고 있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국가통계국은 국무원 신문판공실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2025년 1~2월 국민경제 운영 상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올해 1~2월 화물 수출입 총액이 전년 대비 1.2% 감소했다. 하지만 해관(세관) 추산에 따르면 비가변적 요인을 제외할 경우 수출입이 1.7% 증가했다. 즉 춘제 연휴 등의 계절적 요인을 빼면 실질적인 무역 규모는 상승제를 유지했다는 것이다. 푸링후이 국가통계국 대변인 겸 국민경제 종합통계사 사장은 회의에서 “국제 환경이 복잡하고 변화가 심한 가운데, 대외무역 발전에 대한 관심이 높다”며 “중국 무역은 안정적 성장을 하고 있다”고 단언했다. 그는 “올해 들어 세계 경제 회복이 더딘 가운데, 각국의 무역 제한 조치가 계속 강화되면서 글로벌 무역 및 경제 성장에 대한 도전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외부 환경 속에서, 우리나라의 화
중국 올 1~2월 택배산업이 11% 이상 성장세를 구가하고 있다. 제조업이 공장이라면 택배는 중국의 제조업을 전국 단위로, 글로벌 시장 단위로 확산하는 수송 수단이다. 중국은 ‘세계의 공장’이라는 타이틀에 걸맞는 소비재 생산 능력에 글로벌 배송을 책임지는 택배 산업을 결부시켜 발전시키고 있다. 중국의 소비시장을 글로벌로 확산시키고 있는 것이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국가우정국은 최근 올 1~2월 택배 산업 발전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1~2월 중국 택배 발전지수는 368.6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8% 상승했다. 이 중, 발전 규모 지수, 서비스 품질 지수, 발전 능력 지수, 발전 추세 지수는 각각 519.3, 464.8, 221.4, 70.1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7.6%, 1.2%, 5.4%, 6.2% 상승했다. 중국 매체들은 전반적으로 2025년 들어 택배 산업은 효율적인 운영을 유지하며 시장 규모가 꾸준히 확대되었고, 서비스 품질과 효율성이 지속적으로 개선되었다고 평했다. 또한, 명절 소비 수요를 효과적으로 뒷받침하며 연간 발전 목표 달성을 위한 탄탄한 기반을 마련했다고 분석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의 택배 기
‘35조 위안’ 한화로 약 6,999조 6,500억 원 가량이다. 지난 2024년 중국의 디지털산업 총매출액이다. 전년보다 6% 가까이 성장한 수치다. 중국의 ‘디지털 굴기’가 미국의 강력한 견제에도 조금도 굴하지 않고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중국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최근 중국 당국은 이 같은 내용의 지난 2024년 디지털 산업 발전현황을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4년 한 해 디지털 산업의 핵심 지표 중 90% 이상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 디지털 산업의 총매출은 35조 위안(약 6,999조 6,5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5.5% 증가했다. 6%에 가까운 것으로 중국의 성장 목표를 초과한 수치다. 이 중 제조업과 서비스업 부문은 각각 3.8% 및 8.0% 증가했다. 전체 산업에서의 비중은 각각 59.6%와 40.4%를 차지했다. 또 디지털 산업의 총이익은 2.7조 위안에 달했다. 한화로는 약 539조 9,730억 원에 달한다. 총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3.5% 늘었다. 산업에 직접 종사하는 인원 수는 2,060만 명으로, 전년과 거의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중국의 디지털 산업도 ‘고용없는 증가’의 단계에 진입했을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
지난 2024년말 현재 중국의 5G 기지국 수만 425만 개를 훌쩍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또 5G 가상 사설망은 6만개에 육박하고 있다. 이용중인 사물인터넷 단말기 숫자만 26억 개를 훌쩍 넘어섰다. 중국의 디지털 산업은 중동부 지역이 전체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디지털 산업이 동부 연안을 중심으로 집중돼 있는 것이다. 소위 중국의 연안을 끼고 ‘중국의 디지털 밸트’가 형성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중국 디지털 산업 지역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4년 중국 동부 지역의 디지털 산업 매출은 전년 대비 6.5% 증가하여, 전국 비중의 73.6%를 차지했다. 중부, 서부, 동북 지역의 매출 증가율은 각각 4.2%, 0.8%, 2.5%를 기록했다. 광둥, 장쑤, 베이징, 저장, 상하이, 산둥, 쓰촨, 푸젠, 안후이, 후베이 등 10개 성(省)의 디지털 산업 매출이 전국의 81.5%를 차지했으며, 전국 디지털 산업 매출 증가에 대한 기여율은 99.5%에 달했다. 또한, 정보통신, 인공지능, 신형 디스플레이, 집적회로 등의 디지털 산업 분야에
‘27%’ 중국 1~2월 산업용 로봇 생산량이다. 중국이 세계 최대 로봇 생산국으로 거듭나고 있다. 로봇은 미래 노동력이다. 산업화를 넘어서 IT 혁명의 시대 산업 역량은 바로 로봇이다. 생산 로봇은 지치 않고 일하며, 쉬지 않고 일하며 어떤 불평도 하지 않는다. 그저 전기만 있으면 작업을 이어가는 게 로봇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1~2월 부가가치 생산액 증가가 5.9%를 기록한 가운데 이중 산업용 로봇의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2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집적회로 웨이퍼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19.6% 늘었다. 이는 중국이 자체 인공지능 기반 대형 모델의 전자, 자동차 등 주요 산업 분야에서의 대규모 응용이 가속화되면서 산업 혁신 발전을 촉진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중국 매체들은 “연산력 수요 확대가 관련 산업의 빠른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올해 12월 디지털 제품 제조업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했고, 서버 생산량은 73% 늘어났다. 아울러 중국의 산업이 친환경적으로 발전하는 긍정적인 흐름도 올해 1~2월 산업 경제 관련 데이터에서 확인됐다고 중국 매체들은 분석했다. 실제 통계에 따르면 같은 기간
중국 명청 왕조의 맥을 잇는 고도 베이징이 빠르게 디지털 산업의 중심지로 거듭나고 있어 주목된다. 지난 2024년 한 해 베이징은 8% 가까운 성장세를 구현했는데, 그 엔진이 바로 디지털 산업이었다. 베이징완바오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베이징시 통계국과 국가통계국 베이징 조사대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베이징시 2024년 국민경제 및 사회발전 통계 공보》(이하 《공보》)를 발표했다. 공보에 따르면 지난 명목 가격 기준으로 도시 전체의 디지털 경제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7.7% 증가했다. 신흥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새로운 생산력의 발전 방향을 대표하는 전략적 신흥 산업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5.7% 증가(명목 가격 기준)하여 지역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5.1%로 0.1%p 상승했다. 공보는 “2024년 베이징 경제 운용은 ‘안정, 발전, 우수’라는 세 가지 특징을 보이며, 베이징 경제의 강한 발전 탄력성과 잠재력을 드러냈다”고 평가했다. 공보에 따르면 "안정" 측면에서 2024년 베이징의 경제 규모는 꾸준히 확대되었으며, 연간 지역 총생산(GDP)은 49조 843억 위안(약 9,925조 3,363억 원)으로 불변 가격 기준 전년 대비 5.2% 성장
‘417조 2,900억 위안’ 한화로 약 8경 3,812조 가량의 거액이다. 중국의 올 2월말 현재 사회 융자, 즉 대출 잔액이다. 전년보다 8% 이상 훌쩍 늘어난 수치다. 코로나 이후 전세계적으로 대출 규모가 늘고 있다. 중국 역시 예외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인민은행은 최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2025년 2월 사회융자규모 잔액 통계 보고서를 발표했다. 통계에 따르면, 2025년 2월 말 기준 사회융자규모 잔액은 417조 2,900억 위안(약 8경 3,812조)으로 전년 동기 대비 8.2% 증가했다. 그중 실물 경제에 공급된 위안화 대출 잔액은 258조 3,600억 위안(약 5경 7,314조 원)에 달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7.1% 증가한 것이다. 실물 경제에 공급된 외화 대출 잔액은 1조 2,200억 위안이었다. 한화는 약 245조 370억 원에 달한다. 약 30.9% 감소한 수치다. 또한, 신탁 대출 잔액은 11억 2,500억 위안(약 2,259억 5,625만 원)으로 0.3% 증가했다. 신탁 대출 잔액은 4조 3,300억 위안(약 869조 6,805억 원)으로 7.4% 늘었다. 미할인 은행인수어음 잔액은 2
‘10.6%’ 중국의 지난해 10월부터 올 2월까지 첨단기술 산업의 판매 수익 증가폭이다. 중국의 일반 기업 수익 증가폭이 1%인데 그에 비해 첨단산업의 판매 수익 증가폭은 10배에 이르는 셈이다. 중국 산업 구조가 기본적으로 일반 제조에서 첨단 기술 분야로 급속한 전환을 이루고 있다는 방증이어서 주목된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세무총국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부가가치세 발급 데이터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4년 10월부터 2025년 2월까지 첨단 기술 산업의 판매 수익이 전년 동기 대비 10.6% 증가했다. 이 중 첨단 기술 서비스업과 첨단 기술 제조업의 판매 수익은 각각 11.7%와 9% 증가했다. 같은 기간, 디지털 경제 핵심 산업의 판매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5.6% 증가했으며, 그중 디지털 제품 제조업과 디지털 기술 응용 산업의 판매 수익은 각각 8.4%와 9.5% 증가했다. 아울러 같은 기간 중국의 장비 교체가 안정적으로 추진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재 교체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부가세 발급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10월부터 2025년 2월까지 대규모 장비 교체 정책의 영향을 받아 전국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