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삼항(三航) 굴기’에 나서고 있다. 삼항은 우주, 항공, 항해를 말한다. 말 그대로 바다를 건너고 하늘을 날며 우주를 비행하는 분야로, 인류의 미래 먹거리 산업이다. 중국은 이미 이 분야의 원천기술로는 미국과 경쟁하는 유일한 나라가 되고 있다. 우주 분야, 특히 달 탐사 분야에서는 이미 미국을 능가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국가통계국 공업사 통계사인 위웨이닝은 최근 기자회견을 갖고 2025년 1~5월 산업기업 이윤 데이터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5월 동안 철도·선박·항공우주 산업의 이윤을 전년 동기 대비 56.0% 증가했다. 중국의 이른바 항공우주, 항공, 항해 등 ‘삼항(三航)’ 산업이 빠르게 발전한 덕이라는 게 중국 매체들의 분석이다. 중국 매체들은 “’하늘을 날고 바다를 누비는’ 산업 활력이 고품질 발전을 여실히 보여주었다”고 밝혔다. 삼항 가운데도 중국산 대형 여객기의 상업 운항 2주년을 맞았다. 중국은 지난 2023년 5월 C919상업용 대형 여객기를 제작 상업화에 성공했다. 중국이 국제 감향성 기준에 맞춰 제작한 첫 상업용 여객기다. 보잉 737, 유럽 에어버스의 ‘A320’과 동급으로 알려져 있다
‘8조 749억 위안’ 한화로 약 1,548조 2,813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1~5월 간 소비재 소매 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6% 이상 성장했다. 중국은 연초부터 소비진작책을 꾸준히 펼치고 있다.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을 내수 진작을 통해 극복하자는 취지다. 은행을 통한 통화정책도 적극 완화하고 있다. 중국의 물가는 바닥을 기고 있는 형국인데, 중국 당국이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펼칠 수 있는 충분한 여건을 마련해주고 있는 것이다. 중권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1~5월 중국의 제한 이상 단위 소비재 소매 총액은 8조 749억 위안(약 1,548조 2,81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하였다. 이 중 제한 이상 단위의 의류, 신발·모자, 편직·방직류 상품 소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하였고, 실물 상품 중 온라인 의류류 상품 소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1.2% 늘었다. 특히 최신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우리나라 섬유 산업의 생산, 소비, 수출 등 주요 경제 운영 지표가 증가세를 기록하였다. 중국 매체들은 “중국 소비재 산업이 전반적인 성과는 당초 예상보다 양호하였다”고 평가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 5월 간
중국의 6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상승세를 이어갔다. 중국 경제의 활황 상승을 예고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국가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서비스업조사센터와 중국물류구매연합회 조사 내용을 공개했다. 공개 자료에 따르면 6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비제조업 업무활동지수, 종합 PMI 생산지수는 각각 49.7%, 50.5%, 50.7%를 기록해 전월보다 각각 0.2, 0.2, 0.3%포인트 상승했다. 세 지수 모두 반등세를 보이며 우리나라의 경기 수준이 전반적으로 확장 국면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통계국 서비스업조사센터의 고급통계사 자오칭허는 “중국 경제의 전반적인 상승 국면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중국 매체들은 PMI의 지속적인 반등에 의미를 부여했다. 실제 중국의 6월 제조업 PMI는 49.7%로 상승했고, 조사 대상 21개 업종 중 11개가 확장 구간에 들어섰다. 전월 대비 4개 업종이 추가된 수치다. 생산지수와 신규주문지수 역시 각각 51.0%, 50.2%로 전월 대비 0.3%포인트와 0.4%포인트 상승했다. 해 제조업 생산활동이 가속되고 시장 수요도 개선되었다. 업종별로 보면, 식품 및 주류·
‘2조 7,204억 3,000만 위안’ 한화로 약 136조 4,422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1~5월 규모 이상 산업의 총 이익 규모다. 저년동기대 1% 이상의 성장을 기록한 것이다. 사실 글로벌 사회 중동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 2개의 전쟁과 미국발 ‘무역전’ 전운 속에 이뤄낸 성과여서 주목된다.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사회 대부분 기업들의 수익이 뒷걸음치는 상황에서 나온 결과다. 현재 글로벌 사회 기업들은 매출은 늘어도 수익규모는 줄어드는 ‘불황형 성장’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1월부터 5월까지 규모 이상 산업 기업의 총이익은 2조 7,204억 3,000만 위안을 기록했다. 이는 1~4월 간에 비해 6,034억 1,000만 위안 증가한 수치다. 중국 매체들은 “산업 기업의 매출총이익과 영업수익도 꾸준히 증가세를 유지했다“라며 “글로벌 불확실성이 짙어지는 상황에서도 중국 경제는 꾸준하고 안정적인 성장세를 구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자료에 따르면, 이와 동시에 1월부터 5월까지 규모 이상 산업 기업의 매출총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하여 전체 규모 이상 산업 기업 이익 증가율을 3.0%포인트 끌어올렸다. 기영
‘5.2%’ 중국의 올 2분기 GDP성장율 예측치다. 중국 경제가 분기별로 5% 대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이 같은 추세라면 당국의 올 성장 목표 5%안팎을 무난히 달성할 전망이다. 이 같은 성적은 글로벌 2개 전쟁과 미국발 ‘관세전’의 먹구름이 짙은 가운데 거둔 것이어서 주목된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경제 성장에 대한 시장 컨센서스는 5.2% 가량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앞서 1분기 5.4%의 성장을 구현했었다. 6월 성장은 1분기에 비해 0.2% 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하지만 전쟁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위축과 미국발 ‘관세전’으로 인한 글로벌 무역량 급감속에 이룬 성적이어서 “대단히 선방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향후 시장에서는 단기적으로 신규 정책 발표보다는 기존 정책의 지속적인 이행이 더 주목받고 있으며, 이는 거시경제 경기 수준을 지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고 전했다. 중국 증권사 동방금성의 수석 거시분석가 왕칭은 “7월 제조업 PMI 지수는 약 49.7%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다만 중국 경제는 분명 기대가 개선되고 있으나, 여전히 다수의 외부 환경 충격에 직면해 있어 안정 성장 정책을 쉽게 완화
자유무역을 중심으로 발전한 베이징의 경제구역은 다싱구에 있다. 현재 다싱 자유무역구에는 7800여 기업들이 활동 중이다. 이들 기업의 등록 자본금만 무려 1300억 위안을 훌쩍 넘겼다. 한화로 약 24조7299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베이징완바오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베이징시 당국은 시내 각 주요 경제구역의 지난 5년간 발전 성과 보고서를 발표했다. 자료에 다르면 지난 5년간 베이징 자유무역시험구는 7대 권역을 중심으로 제도 혁신을 시도했다. 자료에서 다싱구는 전국 유일하게 두 개의 자유무역시험구 정책을 동시에 적용받는 지역(허베이 자유무역 다싱공항 권역, 베이징 자유무역 고급산업 권역)으로, 이중 자유무역 권역에서 총 7,800개 이상의 시장주체를 유치했고 등록자본은 1,300억 위안을 초과했으며, 외국기업은 360개 이상 입주했다. 다싱공항 종합보세구는 베이징 세관 관할 구역에서 가장 다양한 형태의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모델을 운영하며, 2024년 보세 수출입 규모는 35.5억 위안(약 6,753억 1,650만 원)으로 전년 대비 3배 성장했다. 데이터 국경 간 이동 시범사업에서도 전국 최초로 외국기업 데이터 수출 ‘그린채널’과 자유무역 구역 ‘부정
‘32.6조 위안’ 한화로 약 6,202조 1,500억 원 가량이다. 올 1~5월 중국의 규모 이상 중소기업의 영업수익 총액이다. 이들 중국의 규모이상 중소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동기 대비 약 8% 가량 증가한 수치다. 중국은 그동안 국영 대기업 중심의 발전에서 중소기업 중심의 발전 동력을 확보하려 노력하고 있다. 중국 당국의 정책 지원의 결실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중소기업 경영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5월 동안 31개 제조업 대분류 업종 중 28개 업종이 성장세를 유지했다고 한다. 판매 상황을 보면, 같은 기간 중국의 규모 이상 산업 중소기업의 영업수익은 32.6조 위안에 달했다. 이익도 증가세를 유지했다. 특히 컴퓨터 및 통신 전자 장비, 전기 기계 등 장비 제조업 중소기업의 이익이 빠르게 증가했다고 한다. 중국 매체들은 올해 1~5월 동안 중국의 중소기업 경제 운영이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했다고 평했다. 규모 이상 산업 중소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8.0% 증가했다. 동시에 중소기업의 전반적인 수출 추세도 강세를 유지했다. 올해 5월 중소기업
‘제3회 중국국제공급망엑스포(China International Supply Chain Expo, CISCE)’가 20일 베이징에서 막을 내렸다. 엑스포 기간 중, ‘녹색농업’을 주제로 한 특별 행사가 열렸다. 참석자들은 이번 행사를 통해 중국이 농업 발전 방식을 적극적으로 전환하고, 녹색농업 산업망 구축을 가속화하며 글로벌 친환경 농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고 평가했다. 카를로스 와트슨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중국 주재 대표는 “중국은 혁신, 가치 창출, 녹색 기술 분야의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으며, 관련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 덕분에 첨단 기술 영역에서 선도적인 위치에 올랐다”고 말했다. 엑스포의 6대 핵심 산업망 중 하나인 ‘녹색농업망’ 전시구역은 ‘논밭에서 식탁까지’를 주제로 구성됐다. 이번 전시에는 전통적인 농업 선도 기업뿐 아니라 선별 장비, 검사 기기, 스마트 포장 등 농업 공급망의 세분화된 분야에 특화된 전문 기업들도 대거 참여해 이목을 끌었다. 많은 기업이 농업의 현대화와 지능화를 실현한 최신 사례들을 집중적으로 선보였다. 황둬둬(黃多多) 얌 차이나(百胜中国·Yum China) 공급망 최고책임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