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미국과 계속되는 갈등 국면에서 이슬람 국가들을 대상으로 교류와 협력 강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중국 외교부는 23일 왕이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전날 파키스탄 수도 이슬라마바드에서 열린 이슬람협력기구(OIC) 외무장관 회의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OIC 외무장관 회의는 사우디아라비아, 인도네시아 등 57개 국가로 구성된 이슬람 최대 국제기구로 중국 외교부장이 참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왕 외교부장은 축사에서 "중화문명과 이슬람문명은 근대 이후 불공정한 대우를 받았지만 지금은 손을 잡고 부흥의 길을 걷고 있다"며 "중국과 이슬람은 서로의 유구한 문명에서 지혜를 얻어 문명차별을 저지하고 문명충돌을 반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중국은 이슬람 국가들과 협력·발전·안전·문명의 동반자가 되고자 한다"며 "유엔 헌장의 취지와 원칙을 지키며 민족 부흥을 추구하는 진정한 다자주의의 길을 함께 가기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해서는 "두 나라가 평화회담을 통해 전쟁을 멈추기를 희망하며 우크라이나의 위기가 다른 지역과 국가의 권익에 영향을 주는 것을 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사태를 계기로 중국과 러시아의 경제 협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최근 보도에서 "미국 등 서방의 대러 금융제재와 첨단기술 수출 제한 결정으로 러시아와 중국간 경제 시스템 연결이 가속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SCMP는 특히 러시아 일부 은행들의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퇴출로 러시아와 중국 금융기관들이 위안화 결제·정산 시스템인 CIPS(Cross-border Interbank Payment System)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SWIFT 결제망 배제는 원유, 천연가스, 곡물 등 러시아의 주요 수출품 거래에 막대한 차질로 이어질 것이 분명하다. 이미 두 차례 핵개발 문제와 관련해 SWIFT에서 배제된 이란의 경우, 원유 수출액이 절반가량 급감해 심각한 경제난을 겪은 바 있다. SCMP에 따르면 러시아는 서방의 고강도 압박에 대비해 이미 중국과의 전방위적인 경제 협력 강화에 힘을 쏟아왔다. 지난 4일 베이징동계올림픽 개막을 계기로 이루어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중도 서방 제재에 대비해 중국과의 경협 강화 틀을 마련하기 위한 성격이 강했다, 푸틴 대통령의 방중에 맞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이 고조되는 가운데 장쥔(張軍) 유엔 주재 중국 대사가 국제사회에 '올림픽 휴전 결의' 준수를 촉구했다. 27일 인민일보에 따르면 장 대사는 지난 25일(현지시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공개 변론회 석상에서 베이징 동계올림픽·패럴림픽 기간을 포함하는 1월 28일부터 3월 20일까지 일체의 전쟁을 중단하자고 밝혔다. 장 대사는 "작년 12월 유엔 총회가 '베이징동계올림픽 휴전 결의'를 통과시킬 때 173개국이 공동 제안을 한 것은 충돌 당사자들의 휴전을 바라는 국제사회의 정치적 공감대를 보여준 것"이라며 "휴전을 실현하는 것이 정치적 해결의 첫걸음"이라고 말했다. 장 대사는 이어 "중국은 세계 각국과 충돌의 당사자들이 베이징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대화로 이견을 해소하고 동주공제(同舟共濟, 같은 배를 타고 물을 건넌다)의 결의를 보여줄 것을 강력히 호소한다"고 강조했다. ‘올림픽 휴전’은 전쟁에 시달리던 고대 그리스 도시국가들이 올림픽에 참가하거나 대회를 관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리스어로 '성스러운 휴전'을 의미하는 에케케이리아(Ekecheiria)를 제정한 것에서 유래됐다. 지난달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베이징동계올림픽
영국 의회가 중국 로비스트 활동 의혹에 발칵 뒤집혔다. BBC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영국 비밀첩보기관인 MI5는 최근 영국에서 장기간 머물며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는 크리스틴 리(중국명 리전쥐)가 중국 공산당을 위해 영국 의회 의원들에게 후원을 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MI5가 특정인을 거론하며 경고를 한 것은 대단히 이례적인 일이다. 보도에 따르면 크리스틴 리가 영국 의원들에게 준 후원금은 홍콩에서 나오는 데 그 자금 출처가 영국과 관련이 없고 불투명하다. MI5는 “크리스틴 리의 후원을 받은 의원들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메일로 안내를 했다. 영국 보수당은 13일 하원 질의를 통해 해당 메일이 MI5에 의해 해당 의원들에게 발송됐음을 확인했다. 영국 의회 관계자는 “이는 대단히 엄중한 일”이라며 “크리스틴 리의 추방과 함께 정부가 해당 사항에 대해 좀 더 상세히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 영국 국방장관인 토비아스 엘우드 역시 “이는 예견됐던 중국의 회색지대 간섭”이라며 “이 같은 일이 발생했다는 점에서 정부가 더욱 긴장하고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BBC는 MI5의 드문 행동은 “장기간의 조사를 걸쳐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른 것으로 보
미중 갈등이 외교적 제한선을 설정하는 모양새다. 미중이 만나 갈등의 상한선, 돌발적 충돌을 방지하자는 데 합의했다. 또 정상화를 위한 노력도 병행키로 했다. 일단 정상화는 미국의 억제 의도와 중국의 성장 의도가 너무 분명해 답을 찾기는 어려워 보인다.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양제츠 중국 공산당 외교담당 정치국원이 6일(현지시간) 스위시 취리히에서 고위급 회담을 진행했다. 지난 3월 알래스카 회담 이후 반년 만에 만남이다. 미중 양측은 약 6시간의 회담에서 ‘연말 전 화상 정상회담 개최 등 서로 충돌을 피하고 관계 정상화를 위해 노력한다’는데 합의했다. 일단 '갈등의 외교적 상한선'을 긋는데는 합의를 한 셈이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7일 "회담에서 미중 양측은 전면적이고 솔직하며 깊이 있게 의견을 나눴으며, 양국 관계를 올바른 궤도로 되돌려 놓기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양 정치국원은 "중국과 미국의 대립은 양국과 세계에 심각한 해를 입힌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둘 사이 이견이 너무 분명하다. 신화통신은 “미국이 중국의 대내외 정책과 전략을 정확하게 알고 '윈윈' 필요성을 잘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이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미국 정부가 중국의 굴기에 맞서 글로벌 공급망 재구성을 목표로 한 무역정책 기본 구상을 내놨다. 일단 중국이 미 제품을 더 구매하도록 하는 압박의 기본은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4일(현지시간) 캐서린 타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연설에서 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 반년 넘게 준비해온 대중 무역 정책의 방향을 제시했다. 타이 대표는 지난해 1월 중국이 트럼프 행정부와 체결한 1단계 무역 합의에 따른 미국 상품 구매 확대 의무부터 이행할 것을 촉구하면서 고율 관세를 비롯한 대중 무역 압박 정책의 기본 틀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또 중국과 2단계 무역 합의에 나서는 대신 유럽, 일본, 호주 등 핵심 동맹과 협력해 중국의 변화를 밖에서 압박해나갈 것이라고 천명했다. 트럼프와 달라진 대목이다. 동맹과의 공동 압박에 나서겠다는 의미다. 앞서 트럼프는 미국의 힘을 과신해 동맹을 무시하면서 중국을 압박했다. 미국 우선주의가 아니라 미국 독단주의를 내세웠다. 국제 사회 외교 질서가 혼란해지면서 미국 스스로가 약해지는 우를 범했다. 하지만 바이든 행정부는 다른 방향으로 가겠다는 것이다. 아쉽게
중국 정부가 일대일로 개발에 매년 약 100조 원을 썼다는 분석이 나왔다. 일대일로는 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잇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경제권을 구축하겠다는 중국 정부의 야심찬 계획이다. 2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미국 윌리엄 앤 메리 대학교의 '에이드데이터'(AidData) 연구소 보고서를 인용, 이 같이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이 일대일로 프로젝트를 시작한 2013년 이후 5년간 매년 평균 854억 달러(약 100조 원)의 개발금융을 지출했다고 보도했다. 개발금융(Development Finance)은 개발도상국의 인프라 구축 및 산업 발전을 위한 장기 조달 자금을 의미한다. 중국의 개발금융 지출 규모는 같은 기간 미국의 370억 달러(약 44조 원)보다 두 배 이상 컸다. SCMP는 "10년 전만해도 양국 개발금융 규모가 비슷했지만 일대일로 프로젝트 이후 그 차이가 대폭 확대됐다"고 밝혔다. ‘에이드데이터’ 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일대일로 참여국 중 40여 개국이 국내총생산(GDP)의 10% 이상에 해당하는 부채를 중국 정부에 지고 있다. 중국과 관계가 돈독한 라오스의 경우 대중국 국가부채 비율이 GDP의 30%에 달한다. 보
국제해사기구(IMO)에 따르면 1990년 이후 건조된 선박 기준으로 중국의 해양탐사선은 64척이다. 섬나라인 일본의 3배, 미국의 1.5배에 달한다. 중국이 해양탐사선 건조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는 이유는 하나다. 남중국해를 비롯한 전 세계 바다에서의 적극적인 탐사 활동을 통한 해양권익의 극대화다. 6일 중국의 최신 해양탐사선 스옌(實驗) 6호가 남중국해를 향해 첫 출항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6일 광저우를 출발한 스옌 6호가 광둥성 주장(珠江) 어귀와 남중국해 북부에서 중요한 과학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건조 비용 5억 위안(약 850억원)이 투입된 스옌 6호는 배수량 3천990t, 최대 승무원 정원 60명 규모로 두 달 동안 바다에서 해양물리학, 해양화학, 지진, 지구물리학 관련 연구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중국 당국은 "남중국해 과학탐사 선단의 주력인 스옌 6호가 중국의 해양주권을 수호하고 석유, 천연가스, 광물 등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SCMP는 "2012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집권 이래 중국이 '중화민족 부흥 달성' 노력의 일환으로 해양 연구에 막대한 투자를 해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탈레반 문제로 중국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미국이 철수를 했는데, 왜 중국이 고민을 할까? 아프가니스탄의 지정학적 위치 때문이다. 중국 동북부와 가깝다. 중국 동북부는 신장(新疆) 위구르자치구다. 분리독립을 주장하는 '동투르키스탄 이슬람 운동'(ETIM)이 활동하는 곳이다. 아프가니스탄의 정권을 장악한 탈레반과 성격이 비슷하다. 탈레반은 이슬람 무장 게릴라 운동이다. 탈레반이 ETIM의 활동을 지원할 가능성이 크다. ETIM가 테러 활동을 시작하면 전 중국이 혼란에 빠진다. 여기에 위구르 지역에는 전통 불교인 라마교의 분리독립 주장도 강하다. 그동안 중국은 문화, 경제 등 모든 분야에서 철저한 중국화를 진행해 서구에게 인권탄압국이라는 오명을 들어왔다. 탈레반의 자신들의 무장 게릴라 방식을 ETIM에 전하면 이 위구르 지역 상황이 완전히 성격을 달리하게 된다. 중국이 두려워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여기에 아프가니스탄은 지정학적으로 파키스탄과 타지키스탄 사이에 있다. 이들 중앙아시아 지역은 중국이 유럽과 중동으로 바로 가는 철로 개발 사업 '일대일로' 사업이 진행되는 곳이다. 특히 아프가니스탄에는 적지 않은 희토류가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경제적으로도
중국이 백신 외교를 지속하고 있다. 최근 국제 화상회의를 통해 올 한 해 국제사회 총 20억 회분의 백신 제공을 약속했다. 6일 중국 외교부 홈페이지에 따르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은 전날 화상으로 진행된 '코로나19 백신 협력에 관한 국제포럼' 제1차 회의 서면 연설에서 이 같이 약속했다. 시 주석은 회의에서 "올 한해 중국은 전세계에 20억 회분(1월부터 이미 지원한 분량 포함)의 백신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중국은 개발도상국에 백신을 분배하기 위해 코백스(COVAX·코로나19 백신 공동 구매·개도국 백신 지원 프로젝트)에 1억 달러(1천143억 원)를 기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중국이 주최했다. 진행은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맡았다. 시 주석의 연설은 서면으로 전해졌고 왕이 부장이 대독했다. 중국은 시노백(Sinovac·科興中維), 시노팜(중국의약그룹) 등 자국 2개 제약사에서 독자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을 현재까지 자국 내에서 15억 회분 이상 접종했다고 밝히고 있다. 백신 외교에도 적극 나서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아프리카와 동남아, 남미 등의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에 7억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