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7월말 중국 일반 사회 융자 규모가 전년동기 대비 8.2% 늘었다. 9일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인민은행은 지난 5일 국무원 신문판공실에서 '고품질 발전 추진' 시리즈 주제의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중국 통화량 증가를 적절히 조절해 발전적 인플레이션 관리에 성공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육뢰 부행장은 이날 “올해 들어 인민은행이 당 중앙과 국무원 결정에 부합해 안정적인 통화정책이 유연하게 운영하였으며, 특히 역조정(경기 과열 혹은 침체에 대응한 상대적 조치) 강화했다”고 밝혔다. 시장은 이 같은 발언은 중국 인민은행의 추가적인 금리하락 조치를 예고한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육 부행장은 “정책 시행에 있어 한편으로는 총량 통화정책이 지속적으로 힘을 발휘하였다”고 강조했다. 총량의 증가를 통해 인플레이션을 끌어올리겠다는 의지로 읽히는 것이다. 중국은 그동안 소비 침체로 디플레이션의 우려가 커져왔다. 실제 인민은행은 한 번에 지급준비율을 0.5%포인트 인하하였으며, 농업과 중소기업 지원 재대출 및 재할인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여 은행의 자금 비용을 낮췄다. 또 5년 이상 대출 시장 금리(LPR)를 0.25%포인트 인하하도록
올 상반기 중국 상장 기업들의 80%가 수익을 낸 것으로 분석됐다. 소위 침체 위기를 맞고 있다는 중국 경제에서 기업들이 최대한의 성과를 냈다는 평이 나오고 있다. 다만 하반기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짙어지는 상황에서 중국 기업들의 선방이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최근 공개된 상장 회사들의 2024년 중기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5,000개 이상의 상장 기업 중 약 80%가 이익을 실현했다. 수출 위주의 기술 기업 위주의 수익이 두드러진다는 게 중국 매체들의 분석이다. 중국은 최근 외부의 경제 위기설에 맞서 자국내 경제 안정을 최대한 강조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의 분석 역시 마찬가지다. 중국 기업들의 상반기 호실적은 중국 경제의 ‘안정 속 발전’이라는 정부 목표와 부합한다고 중국 매체들은 분석했다. 중국 매체들은 이 같은 상반기 실적을 평하며,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혁신은 우리 DNA에 깊이 새겨져 있어 항상 위기감과 긴장감을 느끼게 한다."는 전문가 코멘트도 중국 매체들은 덧붙였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첨단 기술 혁신에 집중하고 신기술 분야와 신산업 프로젝트에 대한 '신규 투자'를 확대하는 것이 상장 회사들의 2024년 반기 보고서의
올 상반기 중국 빔 프로젝터 출하량 동기 대비 9.6% 늘었다. 4K 고해상도 시대의 새로운 활력으로 동기 대비 31.2% 증가했다. 빔 프로젝터는 과거 대기업 회의실 등에서나 볼 수 있었지만, 기술이 발달하면서 성능은 높아지고 가격은 내려가 젊은 층에서는 TV대신 사용할 정도다. 밝은 낮에서도 선명하게 화면을 출력하는 기술까지 나오고 있다. 국제 데이터 회사(IDC)가 최근 발표한 '2024년 2분기 중국 프로젝터 시장 추적 보고서'에 따르면, 소비자 신뢰가 여전히 약세를 보이고 상업용 시장의 수요가 침체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터 시장은 여전히 강력한 성장세를 보여주었다. 2024년 상반기 중국 프로젝터 시장 출하량은 256만 8천 대에 달하며, 전년 대비 9.6% 증가했다. 판매액은 67억 7천만 위안(약 1조 3,125억 원)으로 전년 대비 7.6% 감소했으나, 전체 출하량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했다. 스마트 프로젝터 시장(OS 운영 시스템이 탑재된 프로젝터 장비)은 특히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으며, 출하량이 218만 대에 달해 전년 대비 10.3% 증가했다. 이와 같은 성장 추세는 소비자들이 스마트하고 편리한 프로젝터 장비에 대한 수요가 점점
'70%↑, 40%↑' 중국 여름 휴가 여행의 증가폭이다. 전자가 중국으로의 입국 여행 증가폭, 후자가 중국에서 해외로의 출국 여행 증가폭이다. 중국의 여행수지가 얼마나 좋아졌는지 보여주는 숫자들이다. 아쉽게도 한국으로의 여행은 기대보다는 크지 않았다는 게 한국 주 관광지들의 분석이다. 양국간 감정의 골이 깊다는 방증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한국인들이 중국 여행은 대폭 늘었다. 4일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최대 여행사인 씨트립은 최근 《2024 여름 휴가 여행 시장 보고서》(이하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번 여름 국내 여행과 출입국 여행 모두 높은 활기를 유지하며, 관광 시장이 강한 소비 회복력을 보여주었다. 그중에서도 중국으로의 입국 여행 주문이 전년 대비 약 70% 증가했고, 출국 여행 주문은 전년 대비 40% 이상 증가했다. 중국 내륙 여행 열풍이 여름 내내 지속되었으며, 입국 여행객 수는 전년 대비 30배 이상 증가했다. 여름철 중국을 방문한 외국인 중 한국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태국, 일본,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미국, 호주, 베트남, 영국, 필리핀이 뒤를 이었다. 상하이, 베이징, 광저우, 시안, 청두
'약 21억 3,100만 위안' 한화로 약 4,024억 8,197만 원 가량의 액수다. 올 상반기 중국 소형 가전시장의 강자 샤오슝의 영업수익 실적이다. 전년 동기 대비 8.97% 줄었다. 중국 소비시장의 위축 정도를 보여주는 대목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3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샤오슝(小熊) 전자는 최근 반기 실적 보고서를 발표했다. 상반기 회사의 영업 수익은 약 21억 3,100만 위안(약 4,024억 8,197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97% 감소했다. 상장 회사 주주에게 귀속되는 순이익은 약 1억 6,100만 위안( 약 304억 807만 원)이었다. 재무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소폭 성장한 후, 샤오슝 전자는 올해 다시 매출과 순이익이 모두 하락하는 상황에 빠졌다. 1분기에는 매출 11억 9,400만 위안(한화 약 2,255억 원)을 기록하여 전년 동기 대비 4.58% 감소했으며, 순이익은 1억 5,100만 위안(한화 약 285억 1,937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53% 감소했다. 2분기에는 하락세가 멈추지 않고 매출은 9억 3,700만 위안(약 1,769억 7,119만 원)에 불과했고, 순이익은 약 1,000만 위안(약 18억
'13조 5,663억 위안' 한화로 약 2,552조 6,350억 원에 달한다. 올 상반기 중국 예산수입 총액이다. 그런데 전년동기 대비 2.6%나 줄었다. 중국 재정 수입규모가 줄어 들면서 중앙 정부가 갈수록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중앙 정부가 허리띠를 졸라매면, 중국 지방정부는 더욱 긴축을 해야 한다. 안 그래도 지방정부 공무원들은 박봉에 갖은 허드렛 업무를 해야하는데, 허리띠를 더욱 졸라매게 생겼다. 지방 정부 불만도 더욱 고조될 것으로 우려된다. 2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1월부터 7월까지 전국 일반 공공예산 수입은 13조 5,663억 위안(약 2,552조 6,35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 감소했다. 전년도 동기 중소기업의 세금 유예 입금으로 인한 기저 효과 상승, 작년 중반 시행된 감세 정책의 영향 등을 제외하면, 실제로는 약 1.2% 증가한 것이다. 중앙과 지방으로 나누어 보면, 중앙 일반 공공예산 수입은 5조 9,745억 위안(약 1,124조 1,61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4% 감소했고, 지방 일반 공공예산 본지 수입은 7조 5,918억 위안(약 1,428조 4,730억 원)으로 0.6% 증가했다. 동방금성 수석 거시경
중국의 올 7월 부가가치세수가 전년동기 대비 7% 이상 늘었다. 부가가치는 산업과 서비스에서 부가가치가 늘면 붙는 세금이다. 중국의 생산활동이 7% 이상 성장했다는 의미다. 중국 최근 중국 경제에 대한 서방 매체와 분석가들의 침체 우려가 커지자, 이에 대응해 안정적 성장을 강조하는 데이터들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다. 중국 국가세무총국에서 발표한 부가가치세 세금계산서 데이터에 따르면, 7월 경제는 전반적으로 회복세를 이어갔다. 제조업 측면에서, 세수 데이터는 7월에 동부와 서부 지역의 판매 수입이 전년 동월 대비 각각 5% 증가했음을 보여주었다. 성별로 보면, 광둥, 상하이, 저장 등 동부 경제 대성은 빠른 성장세를 보였으며, 전년 동월 대비 각각 5.8%, 5.9%, 7.8% 증가하였다. 또한, 내몽골, 충칭 등 지역도 전년 동월 대비 각각 7.3%, 6.7%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7월에는 산업 기업의 판매 수입이 전년 동월 대비 6% 증가하여 2분기보다 1.7%p 상승하였다. 그 중에서, 주요 상품 가격 상승에 따라 채광업은 전년 동월 대비 9.7% 증가하여 2분기에서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전환되었고, 제조업은 전년 동월 대비 5.7% 증가하였으며, 그중
'4조 8,800억 위안' 한화로 910조 6,080억 원 가량이다. 올 상반기 중국 식자재 소비 규모다. 전년 동기 대비 8% 가까이 늘었다. 중국 사회가 경제력을 갖춘 뒤 먹거리 문화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자재 시장 역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28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물류 및 구매 연합회는 올 상반기 식자재 시장 현황 보고서를 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의 식재료 소비 규모가 꾸준히 증가했으며, 식재료 공급망에서 산지 직거래 비율이 다소 높아졌고, 현지 시장의 활력이 두드러져 식재료 소비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떠올랐다. 중국 물류 및 구매 연합회 식재료 공급망 분회가 추산한 바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의 식재료 소비 규모는 4조 8,800억 위안(약 895조 7,76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86% 증가했다. 그중 소매 식재료 소비 규모는 3조 8,300억 위안(약 714조 7,546억 원), 외식 식재료 소비 규모는 1조 500억 위안(약 195조 9,510억 원)이었다. 또한, 식재료 소비가 사회 소비재 소매 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식재료 소비 규모는 전국 사회 소비재 소매 총액의
차이나유니콤의 올 상반기 영업 수익 1,973억 위안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9% 늘어난 수치다. 27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차이나유니콤은 올 상반기 영업수입 1,973억 위안(약 36조 7,747억원)을 달성, 전년 대비 2.9% 증가했다고 밝혔다. 주요 사업 수입은 1,757억 위안(약 32조 7,487억원)으로 전년 대비 2.7% 증가했으며, 총 이익은 168억 위안(약 3조 1,313억원)으로 전년 대비 10.2% 증가해 8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을 이뤄냈다. 차이나유니콤 올 상반기에 239억 위안(약 4조 4,547억원)의 고정자산 투자를 완료했다. 차이나유니콤에 따르면 네트워크 측면에서는 첫째, 모바일 인터넷의 커버리지를 지속적으로 향상시켰다. 상반기에 5G 중대역 기지국은 131만 개, 저대역 기지국은 78만 개에 달했고, 4G 중대역 기지국은 200만 개를 초과해 네트워크 능력이 꾸준히 강화됐다. 100개 이상의 도시에서 RedCap, 캐리어 집성 등의 5G-A 핵심 기술의 상용 배치를 완료했다. 둘째, 고속 광대역 인터넷 구축을 가속화했다. 기가비트 네트워크의 보급과 질적 향상을 추진했으며, 10GPON 포트의 비율이 79%에
중국의 올 4~7월 간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량이 동기 대비 34.8%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중국 기업들의 기계 장비류 구매 금액도 전년 동기 대비 6.4% 늘었다. 이번 조사는 부가가치세 납부 현황을 통해 파악한 것으로 이미 물건의 인도 끝난 단계의 수치들이다. 26일 중국 관영매체들에 따르면 올 4월부터 7월까지 전국 기업의 기계 장비류 구매 금액이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했다. 특히 각 분야의 장비 교체 실행 계획이 점차 실현되면서 7월에는 전년 동기 대비 8.5% 증가하여 이전보다 가속화되었다. 산업 기업의 장비 교체와 관련해서는, 부가가치세 계산서 데이터에 따르면, 4월부터 7월까지 산업 기업의 기계 장비류 구매 금액이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하여 3월보다 6.4%p 상승했다. 이 중 제조업의 기계 장비류 구매 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하여 3월보다 6.8%p 상승했다. 정보 및 과학기술 산업의 장비 교체와 관련해서는, 데이터에 따르면, 4월부터 7월까지 정보전송 소프트웨어와 정보기술 서비스업, 과학 연구 및 기술 서비스업의 기계 장비류 구매 금액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7.5%와 20.4% 증가하여, 3월보다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