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고령화가 갈수록 속도를 내는 가운데 정작 의료 분쟁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의료 분쟁이 줄어든다는 것은 그만큼 의료 사고가 줄었다는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어 주목된다. 중국의 의료 서비스는 최근 사회 고령화 영향 속에 급속히 발전하는 추세다. 21일 중국 의법학회(医法汇)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법원(1심, 2심, 재심)의 의료손해배상 책임분쟁 판결은 총 2219건(집행 1건, 기타 13건 포함)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5074건 대비 56% 감소한 수치다. 중국의 의료손해배상 책임분쟁 사건은 2017년 1만 2734건, 2018년 1만 2249건, 2019년 1만 8112건, 2020년 1만 8670건, 2021년 1만 746건으로 매년 급격히 감소해왔다. 감소 이유에 대해 의법학회에서는 두 가지 측면으로 설명하고 있다. 첫째, 분쟁사건의 조정 및 화해 비율이 올라갔기 때문이다. 최고인민법원이 지난달 14일 개최한 전국 고급법원 원장 회의에서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법원에서 소를 제기하기 전 조정 및 화해로 마무리된 사건이 1204만 건으로 민사 및 행정 사건 전체의 40.3%를 차지했다. 거의 절반에 가까운
중국의 '항공산업 굴기'가 본격화하고 있다. 중국의 첫 자체 생산 제트 여객기 'C919(COMAC919)'의 제조사인 중국상용항공기(COMAC)가 티베트항공(西藏航空)과 항공기 주문 조인식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항공기는 자동차, 선박 등과 함께 사람, 물자의 3대 이동 수단 가운데 하나다. 기술면에서는 3대 이동 수단 가운데 가장 첨단에 있다. 중국은 조선산업에서 세계 1위인 한국에 도전장을 낸 지 오래다. 자동차 산업에서는 지난 2023년세계 최대 규모의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이미 자동차 수출 1위 자리를 차지했다. 항공 산업은 아직 뒤처져 있는 상태다. 하지만 지난해 상업 비행기 제조에서 성공한 뒤 이제 빠르게 글로벌 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COMAC은 이번 티베트항공과의 주문 계약에 따라 C919 프로토타입 항공기 40대와 ARJ-21 프로토타입 항공기 10대 등 총 50대의 항공기를 제작해 납품하게 된다. COMAC은 이번 계약은 중국에서 생산되는 대형 항공기 프로토타입에 대한 최초의 주문일 뿐만 아니라 중국의 민간 대형 항공기 제조 기술이 시짱자치구(티베트)와 같은 고(高)고도 환경에도 공식 적용된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춘제(春节, 설) 연휴 기간 중국 각 성의 명승지는 인산인해를 이뤘다. 14억 인구를 자랑하는 중국에서는 명절 연휴마다 흔히 보는 모습이다. 2020년부터 중국에서는 코로나19 봉쇄 탓에 3년여간 지역간 이동이 금지됐었다. 자연히 명승지에도 찬 바람만 불었다. 그런데 이제 지난해부터 봉쇄가 풀렸고, 올 들어서는 완전히 코로나19 이전을 회복한 모습이다. 그럼 올 춘제 명절 연휴 어느 곳에 가장 많은 사람들이 몰렸을까? 각 성(省)의 관광객 유치 실적이 공개됐다. 19일 중국 현지 매체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이날까지 데이터를 공개한 20개 성 가운데 광둥성이 가장 많은 관광객을 유치한 것으로 집계됐다. 광둥성 문화여유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8일간의 춘제 연휴 기간 동안 광둥성내 관광객은 총 7606만 9000명으로 전년 대비 68.4% 증가했다. 관광 수입은 693.6억 위안(약 12조 83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60.8% 증가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관광객 수 20.2% 증가, 관광수입 40.2% 증가한 수치다. 광둥성에 이어 쓰촨성은 관광객 6047만 8200명으로 2위를 차지했고 윈난성, 장쑤성, 허난성이 각각 관
'1841만 3300대' 2023년 중국 중고차 판매량이다. 지난해 한국내 자동차 신규등록 대수 174만 9000대의 10배가 넘는 규모다. 중국 자동차 시장은 세계 최대 규모다. 중고 자동차 시장 역시 그 규모가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한국이 애써 무시하고자 하지만, 중국 시장을 포기하고 한국 자동차가 성장하는 데 그만큼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15일 중국 현지 매체 IT즈자(之家)가 중국승용차시장정보연합회(乘联会) 자료를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중고차 누적 거래량은 1841만 3300대로 전년 대비 14.88% 증가했으며 거래액은 1조 1795억 위안(약 218조 원)에 달했다. 차종별 거래량을 살펴보면 일반 승용차가 1089만 6700대(전년 대비 14.42% 증가), SUV 237만 8400대(16.8% 증가), MPV 114만 1400대(17.77% 증가), 크로스오버 36만 700대(2.85%)로 집계됐다. 또 중고 신에너지차는 76만 3000대로 전년 대비 42% 증가했다. 중고 상용차 거래량은 일반 화물차가 149만 7200대(전년 대비 15.53% 증가), 버스가 107만 2600대(3.11% 증가)로 조사됐다. 지난해 중국에
올해 춘제(春節, 설) 연휴 기간에 중국 남부 휴양지 하이난성이 방문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인산인해, 사람이 산을 이루고, 사람이 바다를 이룬다는 말이다. 사실 중국에 가서 보지 않으면 무슨 말인지 모른다. 중국 유명 관광지에 사람들이 한 번 몰리면 산이 완전히 사람으로 덮여, 사람들 머리만 보인다. 또 바닷가가 온통 사람들로 가득차 역시 사람들 머리만 보인다. 사람이 바다요, 산이라는 말이 사실로 다가오는 것이다. 15일 중국 CCTV뉴스(央视新闻)에 따르면 춘제 연휴가 시작된 지난 10일부터 14일까지 하이난을 찾은 철도 승객은 약 282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6%(121만 명) 증가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에 비해서도 32.9%(70만 명) 증가한 수치다. 특히 세계 최대 면세점이 위치한 하이커우의 기차역들은 플랫폼마다 출발하고 도착하는 승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루며 철도 운송 승객 수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하이난 철도국은 설 연휴 기간 내내 방문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자 하이커우역, 싼야역 등 하이난의 주요 역마다 상주 직원을 대폭 늘려 안내와 안전 관리 등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 교통부는 1월 26일부터 3월 5일
'12조 3258억 위안' 한화로 약 2272조 원이다. 중국의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 업종의 4만 개에 육박하는 기업들의 지난 2023년 이익 총액이다. 중국의 IT 업종 성장이 여전히 드세다. IT 업종은 글로벌 산업 생태계에서 업스트림 지위를 누리고 있다. 1차 농수산목축업, 2차 제조업, 3차 서비스업에 이은 4차 산업으로 불린다. 중국은 물론 세계 주요 산업국들이 산업 발전의 파일럿으로 삼고 있는 업종이다. 중국이 발빠르게 글로벌 산업 생태계의 헤드를 선점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信部)가 최근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업(이하 소프트웨어 산업)'의 규모이상 기업은 3만 8000개를 넘어섰다. 또 소프트웨어 산업의 연간 매출액은 12조 3258억 위안(약 2272조 원)으로 전년 대비 13.4% 성장했으며, 연간 이익은 전년 대비 13.6% 증가한 1조 4591억 위안(약 269조 원)으로 집계됐다. 부문별 매출액을 살펴보면 정보기술 서비스 부문은 8조 1226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4.7%, 클라우드 서비스 및 빅데이터 서비스 부문은 1조 247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5.4% 증가했
'3.4%' 지난 2023년 중국 IT(전자정보) 산업의 전년 대비 성장률이다. 중국 정부가 반도체 자립 목표를 내세우며 기업들을 적극 지원했지만 미국의 강력한 제재가 먹힌 것으로 보인다. 성장률이 중국 경제 성장 목표치 대비 1%포인트 이상 낮다. 중국 최대 통신장비 기업 화웨이의 성장이 없었으면 이나마도 어려웠을 수 있어 보인다는 게 전반적인 시장의 평가다. 중국은 과연 미국의 제재를 극복하고 IT 산업의 굴기를 이룰 수 있을 것인가? 중국의 미래가 달린 문제다.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信部)가 지난해 전자정보 제조업 운영 현황 보고서를 12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전자정보 제조 생산은 회복세로 돌아섰으며 수출 하락폭도 줄어들었다. 중국측 보고서여서 그마나 회복세라는 평가가 붙었다는 게 글로벌 시장 분석가들의 지적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중국의 규모이상 전자정보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3.4% 증가했다. 성장률은 공업보다 1.2%p 낮지만 첨단기술 제조업보다 0.7%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용 스마트폰 시장이 확대된 것이 유효했다. 중국 당국의 노력이 결실을 본 셈이다. 지난해 휴대폰은 전년 대비 6.9% 증가한
중국 본토 증시에서 거래되는 A주(China A-Shares) 상장사 2808개 기업의 2023년도 실적 잠정치가 최근 공개됐다. 중국 시장조사기관 Wind의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8일 기준 상하이, 선전 증권거래소의 A주 2808개 상장사 중 617개 사는 전년 대비 실적 향상, 20개 사는 실적 유지, 373개사는 흑자전환, 158개사는 다소 성장이라고 밝혔다. A주 상장사 가운데 40%가 넘는 1168개 기업이 ‘희소식’을 알려온 것이다. A주 상장사들의 전년 대비 성장폭을 살펴보면 54.99%에 달하는 1544곳의 회사가 2023년 순이익이 플러스 성장을 기록할 것이라고 답하였다. 특히 709개 사는 순이익이 전년 대비 100%를 넘어설 것으로 조사됐다. 순이익이 전년 대비 10배에 달할 것이라고 밝힌 기업도 34개에 달했다. 리장주식회사(丽江股份), 후이성환보(惠城环保), 간넝주식회사(赣能股份) 등이 순이익 증가폭 순위 1~3위를 차지했다. 순위별로 순이익 추정치를 살펴보면 리장주식회사가 2억 1500만 위안(약 397억 원)~2억 4000만 위안(약 443억 원), 후이성환보가 1억 3600만 위안(약 251억 원)~1억 5600만 위안(약 288
오를 것인가? 가라앉을 것인가? 중국 경제 그것이 문제로다. 말 그대로 햄릿 경제다. 중국 경제의 현재 모습이다. 침체와 회복의 길목에서 아직도 헤매고 있다. 2년을 그렇게 허비하고 있다. 많은 개선을 의미하는 지표들이 나오고 있지만, 지난 2023년 지방 정부 발표 지표들이 상승과 하락의 방향을 바꾸는 정도의 수치 오류가 있었음이 증명되면서 중국 정부 발표 수치들에 대한 신뢰도는 더욱 바닥으로 떨어진 상태다. 침체 우려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중국 경제에 대한 실망도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 8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0.8% 하락했다. 전년 동월 대비 CPI 하락폭(-0.8%)은 2009년 8월(-1.2%)과 9월(-0.8%) 이후 14년만에 가장 많이 떨어진 것이다. 중국 CPI는 지난해 7월 전년 동월 대비 0.3% 하락하며 2년 5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8월 0.1% 상승하며 반등했으나 10월부터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1월 비식품 물가는 0.4% 상승했으나 식품 물가가 5.9%나 떨어져 하락세를 주도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돼지고기(-17.3%) 가격이 급락한 가운데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제(春節, 설) 연휴가 다가오면서 중국내 항공권 주문이 폭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최대의 여행그룹인 중국인들이 움직이기 시작한 것이다. 중국인들은 글로벌 여행산업의 최대 고객이다. 그 수가 워낙 많기도 하지만, 중국인들의 소비 규모가 남다르기 때문이다. 실제 중국인들은 여행을 하면서 주변사람들의 돈을 모아, 쇼핑을 대신해준다. 어린 학생들은 이 과정에서 스스로 여행경비를 벌기도 한다. 자연히 현지를 찾으면서 각종 명품에 대한 소비를 하게 된다. 여행을 떠나면서 위탁받은 물품을 구매하는 것이다. 이제 이런 중국 관광객들이 설을 맞아 대대적인 이동을 시작한 것이다. 7일 중국 항공정보 앱 '항반관자(航班管家, Flight Manager)'에 따르면 지난 5일 기준으로 중국 국내 항공권 예약은 지난해 대비 130%, 2019년 대비 201% 증가했다. 항공권 운임 측면에서 살펴보면 올해 춘제 연휴기간 중국 국내 항공권(이코노미 클래스)의 평균 가격은 910위안(약 16만 7000원)으로 작년보다 7%, 2019년 대비 2.7% 상승했다. 또 올해 춘제 연휴기간 인기 항공 여행지로는 베이징(北京), 청두(成都), 상하이(上海), 항저우(杭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