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조 6000억 위안' 한화로 약 2310조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출범 2년째인 지난해 중국의 협정국내 수출입 교류액이다. RCEP는 지난 2021년 한중일 3개국과 아세안 11개국, 호주뉴질랜드 등 15개국의 참여로 출범했다. 지난 1일로 공식 발효 2주년을 맞았다. 중국 해관총서(세관)이 지난 12일 국무원 신문판공실 기자회견에서 RCEP 발효 이후 권역내 무역통계 자료를 발표했다. 이날 뤼다량(呂大良) 해관총서 대변인 겸 통계분석사(司) 사장(국장)은 “지난해 중국의 RCEP 회원국에 대한 수출입 총액은 협정 발효 전인 2021년 대비 5.3% 증가한 12조 6000억 위안(약 2310조 원)에 달했다”고 밝혔다. 뤄 대변인은 RCEP 출범으로 권역내 무역 비용을 대폭 절감하였으며 산업망과 공급망이 더욱 원활해져 회원국간 통상 교류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중국의 RCEP 회원국에 대한 수출액은 6조 4100억 위안(약 1175조 원)으로 중국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21년 대비 1.1%p 증가한 27%를 기록했다. 특히 리튬 배터리, 자동차 부품, 디스플레이 패널 모듈의 수출이 뚜렷한 성장세를 보
'41.76조 위안' 한화로 약 7634조 원이다. 2023년 중국의 수출입 총액이다. 어머어마한 금액이지만 아쉽게도 증가폭은 아주 미미하다. 거의 제자리 걸음이다. 중국 국무원신문판공실이 2023년 연간 수출입 상황에 대한 발표회를 12일 개최했다. 이날 중국중앙TV(CCTV)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수출입 총액은 41.76조 위안(약 7634조 원)으로 전년 대비 0.2% 증가했다. 그 중 수출은 23.77조 위안으로 0.6% 증가했고 수입은 17.99조 위안으로 0.3% 감소했다. 지난해 중국 수출입 동향을 살펴보면 첫째, 대외 무역이 전반적으로 안정적으로 운영되었으며 특히 4분기에 개선 추세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중국의 수출입 규모는 분기마다 증가했는데 분기별 증가분은 1분기 9.69조 위안이었으며 2분기, 3분기, 4분기에는 10조 위안 이상이었다. 특히 4분기에는 매달 증가했는데 전년 동월 대비 각각 0.8%, 1.3%, 2.8% 증가했으며 12월에는 증가분이 3.81조 위안에 달했다. 이는 월간 규모로 사상 최대치다. 둘째, 민간 기업들의 역할이 강화되었다. 2023년 수출입 기록이 있는 중국의 사업체는 처음으로 60만 개를 돌파했다. 그 중 민
한국 면세점 업종이 갈수록 부진하다. 바로 중국인 여행객이 줄어든 탓이다. 2017년 사드(THAAD,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사태 이후 줄어든 중국인 여행객은 코로나19 위기를 경험하면서 완전히 발길을 끊는 모습이다. 그럼 그 많던 중국 여행객들은 어디로 갔을까? 중국 면세점 사업체들이 성장하는 것을 보면 그 답을 알 수 있다. 중국 최대 면세점 운영 그룹인 중국중면(中國中免, China Duty Free Group)이 2023년 실적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중면은 지난해 영업수입(매출)이 675억 7600만 위안(약 12조 35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4.15% 증가했다. 상장기업 주주에게 귀속되는 순이익은 67억 17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33.52% 증가를 기록했다. 그 중 4분기 매출은 167억 39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1%, 2021년 동기 대비 -7.9%, 모회사 순이익은 15억 1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5.6%, 2021년 동기 대비 29.8% 증가했다. 중국중면은 지난해 하이난 지역 면세점 쇼핑객이 150만 5000명으로 전년 대비 74.4% 증가하면서 실적 상향을 주도했다고 밝혔다
중국 자동차 시장이 지난 2023년 한 해 두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갔다. 중국은 현재 세계 최대 자동차 소비시장이다. 차랑 생산도 급증해 2023년 중국은 일본을 제치고 자동차 수출 1위국에 등극했다. 중국의 자동차 굴기가 갈수록 빛을 내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중국 자동차 시장은 아직도 성장 가능성이 크다. 선진국에 비해 아직 자동차 보유율이 낮은 편이다. 2021년 기준 미국, 일본 등이 인구 1명당 1대 꼴에 근접하고, 한국은 2명당 1대꼴인데 반해 중국은 아직도 10명당 1대 꼴의 자동차 보유율을 보이고 있다. 중국승용차시장정보연합회(乘联会, CPCA)가 2023년 12월 중국 승용차 시장 판매 동향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중국 승용차 시장의 소매 판매량은 총 235.3만 대로 전년 동월 대비 8.5%, 전월 대비 13.1% 각각 증가했다. 12월 소매 판매 상위 10개 업체는 비야디(BYD), FAW폭스바겐, 상하이폭스바겐, 지리자동차, 창안자동차, 체리자동차, 둥펑닛산, 상하이GM우링, FAW토요타, 광치토요타 등이다. 비야디는 12월 소매 판매량이 30만 대를 기록해 중국 승용차 판매 1위 기업에 올랐다. 5위의
'359억 위안' 한화로 약 6조 5991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중국 국무원 직속 중앙기업인 중국국영철도그룹(中国国家铁路集团有限公司, China Railway)이 세운 2024년 운영 수익 목표액이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철도망을 구축하고 있다. 중국 전역이 철도로 연결돼 있다. 중국 철도 구축은 중국 내부에만 그치지 않는다. 파키스탄 등 주변국의 철도 인프라에 투자를 하고, 그렇게 건축된 철도망을 자신들의 철도망과 이어서 유럽까지 철마가 쉬지 않고 달리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소위 '일대일로' 구상이다. 뱃길로 한달 걸리던 유럽향 물류를 '일대일로' 구상으로 절반가량 줄였다. 중국의 이같은 물류망은 중국 소비재 산업이 글로벌 최고의 가치사슬을 갖도록 만들었다. 미국, 유럽 등의 각국이 중국의 가성비 최고인 소비재에 종속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 결과 중국의 소비재가 없으면 각국의 인플레이션이 치솟는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중국의 경제가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이다. 9일 중국철도그룹이 올해 주요 사업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철도그룹은 올해 주요 사업 목표로 승객 38억 5500만 명 운송, 화물 39억3
'3조 2380억 달러' 한화로 약 4267조 원에 달하는 돈이다. 중국이 지난 2023년 12월말 현재 보유하고 있는 외환 보유액의 달러 가치액이다. 외환보유의 달러가치액이라는 표현은 중국이 외환을 달러로만 보유하고 있지 않아 나온 것이다. 중국은 미국 국채를 세계 어느나라보다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나라이기는 하지만, 달러가 기본인 외환보다는 금 등 보다 안정적인 자산으로 보유 외환 자산들의 다각화를 추구해왔다. 실제 중국은 지난 한 해 세계에게 금을 가장 많이 사들인 나라로 꼽히고 있다. 중국의 판단대로 글로벌 금값은 꾸준히 올라 8일 현재 순금 한 돈(3.75g)은 팔 때 약 32만 원에 달하고 있다. 7일 중국 국가외환관리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2월말 현재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3조 2380억 달러(약 4267조 원 )로 11월말보다 662억 달러(2.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국의 금 보유량은 7187만 온스로 14개월 연속 증가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에만 29만 온스가 증가했다. 국가외환관리국은 지난해 12월 주요국의 통화정책, 기대 등 요인의 영향으로 미국 달러지수(DXY)가 하락하고 글로벌 금융자산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
'22조 6400억 위안' 한화로 약 4158조 원이다. 2023년 3분기 현재 중국 신탁업체들의 누적 자산 규모다. 신탁은 투자자의 돈을 받아 투자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한 뒤 이를 나누는 금융업이다. 흔히 은행, 보험, 증권과 함께 금융산업을 구성하는 4대 기둥으로 불린다. 중국은 개혁개방과 함께 서구식 금융시스템을 도입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다만 신탁업은 상대적으로 발전이 늦었는데, 이는 남을 쉽게 믿지 못하는 중국 부자들의 속성이 반영된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이에 중국 신탁업은 오랜동안 부실을 벗어나지 못했다. 하지만 중국 당국의 새로운 자산 관리 규정 시행 이후 중국 신탁업체들의 자산 규모는 2022년 2분기부터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이 플러스로 전환되었으며 6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을 유지하고 있어 주목된다. 5일 중국신탁업협회가 발표한 '2023년 3분기 중국 신탁업 발전 평가'에 따르면 3분기말 기준 신탁업체들의 보유 자산 규모는 22조 6400억 위안(약 4158조 원 )으로 전년 동기 대비 7.45%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2023년 3분기말 기준 집합 자금 신탁 잔액과 관리 재산 신탁 잔액은 각각 12.48조
'1조 5668억 위안' 한화로 약 287조 7000억 원이다. 지난 2023년 1~11월 중국 인터넷 및 관련 서비스 산업 누적 매출액이다. 전년 동기 대비 6%이상 늘어난 수치다. 중국 인터넷 산업은 인터넷 플랫폼 분야에서만 두각을 나타내는 정도가 아니다. '세계의 공장'으로 유명한 제조업과 맞물려 글로벌 소비재 산업의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 정도로 독보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중국 공업신식화부가 '2023년 1~11월 중국 인터넷 및 관련 서비스 산업 운영 현황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지난해 1~11월 규모이상 인터넷 및 관련 서비스 산업 매출은 1조 5668억 위안(약 287조 7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6.1% 증가했으며, 총 이익은 1189억 위안(약 21조 8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5% 증가했다. 중국의 인터넷 발전도 이미 성숙기에 들어선 모양새다. 2% 성장에 그치고 있는 것이다. 다만 인터넷 서비스와 기존 소비재 제조산업의 시너지를 통한 새로운 영역의 발전이 돋보이고 있는 것이다. 서비스 부문별로 살펴보면 2023년 1월부터 11월까지 정보 서비스(뉴스 정보, 검색, 소셜 네트워킹, 게임, 뮤직 비디오 등
한국이든 중국이든 전통사회 많은 문제의 원인은 '가부장제도'였다. 하지만 근대화 과정에서 여권은 급속히 신장됐다. 한국의 경우 오히려 남성은 군대를 가는 등의 국가 의무가 있지만, 여성은 그러한 의무도 없으면서 남성과 동등한 권한을 누린다는 반발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중국의 상황도 갈수록 한국과 비슷해지는 모습이다. 고등교육을 받는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최근 들어 균형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처럼 여성들이 사회 곳곳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현상이 조만간 나타날 것이라는 신호인 것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최근 발표한 '중국부녀발전강요(中国妇女发展纲要) 2021-2030'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대학 이상 고등교육을 받고 있는 여성은 2903만 3000명으로 2021년 대비 122만 5000명이 증가해 전체의 50.0%를 차지했다. 대학 학부생과 전문대생 중 여학생은 1831만 2000명과 531만 4000명으로 각각 50.0%와 56.9%를 차지했다. 또 여성 대학원생은 187만 1000명으로 전체 대학원생의 51.2%를 차지했다. 반면 취업 인구 성비에서는 여전히 남성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부녀발전강요 2021-2030'에 따르면 중국의 전
올해 신년 연휴(2023년 12월 30일∼2024년 1월 1일) 동안 중국인들의 여행 수요가 전년 대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산업 침체를 겪고 있는 한국의 입장에서 참으로 아쉬운 소식이다. 여행을 원하는 중국 관광객들이 늘고 있는데, 정작 한국을 찾은 이들은 기대 이하이기 때문이다. 크루즈 관광이 재개됐지만, 방한 규모나 소비 수준을 과거 호황시절에 비할 바가 아니라는 게 여행업계에서 전해지는 소식이다. 2일 중국 문화여유부 발표에 따르면 연휴 3일간 중국내 여행 인원은 1억 3500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5.3%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도 9.4% 증가한 수치다. 관광 수입은 797억 3000만 위안(약 14조 62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0.7%, 2019년 대비 5.6% 증가했다. 중국 온라인 여행 플랫폼 퉁청(同程) 데이터에 따르면 신년 연휴 동안 퉁청의 호텔숙박, 항공권, 기차표, 관광지 입장권, 차량 이용 등의 예약량이 모두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그 중 관광지 입장권 예약량은 전년 동기 대비 302% 증가했다. 새해 연휴 기간 중국인들의 해외 여행도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것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