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IT회사 22개 ‘세계 테크놀로지100’에 올라

화웨이 622억달러로 7위…위챗, QQ, 타오바오도 톱10 진입

화웨이 등 중국 22개 IT회사가 세계 100대 테크놀로지 브랜드에 올랐다.

중국 업체들의 실력도 그만큼 늘고 있다는 의미여서 주목된다.

 

 

영국 브랜드 평가기관인 브랜드 파이낸스(Brand Finance)가 발표한 '2019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100대 테크놀로지 브랜드' 순위에서 아마존의 브랜드 가치가 1879억달러로 1위에 올랐다고 중국 언론들이 3일 보도했다.

 

아마존과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등 미국 기업이 그 뒤를 이었다. 중국 브랜드는 화웨이와 위챗, QQ, 타오바오가 7~10위에 이름을 올렸다. 삼성전자는 6위를 기록했다.

 

미중 무역전쟁으로 큰 위기를 겪고 있는 화웨이의 브랜드 가치가 622억7800만달러를 기록해 전년보다 63.7% 증가했다.

 

위챗은 처음으로 TOP 10에 진입하면서 브랜드 가치는 지난해보다 126% 상승한 507억달러를 기록했다. 브랜드 파이낸스는 “위챗 브랜드 부가가치는 디지털 생태계가 커지고 해외시장으로 확장하는 것과 연관이 있다”고 밝혔다. 이에 비해 QQ는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지만 세계 9위의 성적을 거뒀다.

 

타오바오(466억2800만달러)가 세계 10위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나머지 중국 브랜드로는 티몰(12위), 바이두(21위), 알리바바(25위), 메이디(27위), 넷이즈(29위), 징동(32위), TSMC(36위), 하이캉웨이시(42위), 유쿠(48위), 거리(49위), 하이얼(55위), 샤오미(59위), 레노버(60위), 씨트립(69위), 아이치이(73위), 웨이보(83위), 중싱(91위), 징둥팡(93위) 순이었다.

 

비록 중국의 테크놀로지 브랜드가 뛰어난 활약을 보이고 있지만, 미국은 여전히 고가치 테크놀로지 브랜드의 큰손이다. 전 세계 100개 상위 브랜드의 총 가치는 18,030억 달러로, 이 중 미국 브랜드 가치가 11,390억 달러로 6할을 차지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