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감염사태가 안정을 찾는 모습이다. 하지만 신규 확진자와 사망자가 아직 각각 2천여명과 100여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방심하기는 아직 시기상조다. 이미 중국 민심은 크게 동요하고 있다. 이에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직접 방역을 진두지휘하고 나섰다. 당국도 춘제(春節·중국의 설) 이후 대규모 이동 통제를 강화하며 사태 수습에 나서고 있다. 17일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16일 하루 중국 전역의 코로나19 확진자는 2천48명이 늘었다. 사망자도 105명 증가했다. 지금까지 누적 확진자는 7만548명, 사망자는 1천770명에 달한다. 중국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13일 5천90명을 기록한 이래 16일까지 사흘째 2천명 선으로 떨어져 유지되고 있다. 코로나 발병지 우한(武漢)이 있는 후베이(湖北)성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13일째 신규 확진자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3일 890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계속 줄어 15일 166명, 16일 115명을 기록하고 있다. 후베이성의 신규 확진자는 1천933명, 사망자는 100명 늘었다. 이 지역에서는 지금까지 5만8천182명의 확진자가 나왔고, 사망자는
“그런다고 달라지나?” 중국 윈난(雲南)성이 신종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모든 공공장소 출입할 때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스캔하도록 의무화했다. 그러나 아직 전국민 스마트폰을 소유하지 못하고 있는 중국에서 “스마트폰이 없으면 공공장소 출입도 못하냐”는 반발이 제기되고 있다. 14일 중국 언론에 따르면 위난성은 지난 12일부터 위챗(微信·웨이신)의 미니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앱)을 활용해 공공장소 입구에 붙은 QR코드를 스캔한 뒤 출입하도록 의무화했다. 출입자 신원을 관리해 만약에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감염 경로를 바로 추적하겠다는 의도다. 대상이 되는 공공장소는 공항, 철도역, 지하철, 버스 터미널, 쇼핑몰, 슈퍼마켓, 아파트, 병원과 약국 등이다. 의무사항이다 보니 지키지 않으면 공공장소 출입이 금지된다. 강제로 출입하는 경우 법적으로 처벌키로 했다. 하지만 중국 네티즌은 “스마트폰이 없으면 공공장소도 출입하지 못하느냐”고 반발하고 나섰다. 중국의 경우 스마트폰 보급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지만 아직 스마트폰을 소유하지 못한 이들이 적지 않다. 소위 농촌에서 도시로 올라와 일하는 이들은 수입이 적어 핸드폰을 가지고 있지만 스마트폰이 아닌 경우가 왕왕 있다
코로나에 울었던 국내 식품업계가 영화 ‘기생충’ 덕에 웃었다. 영화 ‘기생충’이 아카데미 4관왕을 달성하면서 영화 속 ‘짜파구리’가 새롭게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이다. 13일 편의점 GS25에 따르면 아카데미상 시상식 직후인 10~11일 '짜파구리' 재료인 '너구리'와 '짜파게티' 봉지면 매출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62% 급증했다. 전월대비로는 22.5%, 전주대비로는 16.7% 늘었다. 관련 제품 컵라면 매출 역시 전년 동기 대비 34% 크게 늘었다. 짜파구리는 영화 속에서 짜파게티와 너구리를 섞어서 끓인 요리를 말한다. 영화가 인기를 끌면서 비슷한 요리가 온라인을 타고 급속히 퍼졌다. 미국의 아카데미상 시상식이 열렸던 10일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는 트위터에 짜파구리 사진을 올렸다. 사진과 함께 대사는 "짜파구리를 먹으며 오스카 시상식 관전 파티를 즐기고 있다"고 밝혔다. 해리스 대사 뿐이 아니다. 국내외 유명 인플루언서들 사이에서도 짜파구리 인증샷 릴레이가 펼쳐졌다. '기생충'의 투자 배급을 맡은 CJ ENM과 같은 그룹사인 CJ프레시웨이는 시상식 이튿날인 11일 CJ ENM 구내식당에서 짜파구리 특식을 제공했다. 짜파구리 특식은 CJ그룹 전 계열사
‘코로나도 경제도 잡아라’ 신종 코로나 감염증 대응에 ‘전국 봉쇄’라는 강력 대응으로 나선 중국이 봉쇄조치로 쇠약해지고 있는 경제 진작에도 안간힘이다. 하지만 서로 다른 방향의 두 마리 토끼를 잡기는 힘겨워 보인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12일 로이터와 AP, 신화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중국은 춘제(春節·설) 연휴를 마치고 이번 주부터 공식적인 경제활동 재개를 선언했다. 하지만 봉쇄조치로 인구 이동이 제한되면서 공장가동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현재 중국은 우한 등 주요 도시를 원천봉쇄하고 있다. 현재 전국적으로 6000만 명이 격리 상태에 놓인 것으로 추산된다. 문제는 이들이 격리가 되면서 전자산업, 자동차 산업 등 주요 산업의 공장이 제대로 돌지 않는다는 점이다. 더욱 문제는 국제 벨류체인에서 중국의 위치다. 중국은 각 선진국에 부품 공급을 하는 공장 역을 맡고 있다. 중국 공장이 돌지 않으면 세계 각국의 주요 공장도 자연스럽게 제대로 돌지 못한다. 당장 우한만해도 전자와 자동차 부품의 주요 공장들이 밀집한 곳이다. 중국 정부도 이 같은 사실을 모르지 않는다. 막대한 자금을 투입해 어떻게든 공장을 가동시키려 노력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신
올 제92회 아카데미를 휩쓴 ‘기생충’이 북미에서 역주행을 하고 있다. 기생충은 아카데미 작품상을 포함한 4관왕을 차지했다. 10일 버라이어티를 비롯한 외신 등에 따르면 '기생충' 북미 배급사 네온은 상영관 수를 현재 1천60개에서 이번 주말 2천개 이상으로 늘릴 예정이다. 현재까지 '기생충'은 북미에서만 3천553만 달러(421억원)의 티켓 수입을 올렸다. 역대 비영어 영화 가운데 6번째로 많은 수익이다. 통상 아카데미 작품상을 받으면 북미 박스오피스 매출은 20% 안팎으로 치솟는다. 지난해 '그린북'은 작품상 수상 이후 매출이 18%(1천500만달러)가량 증가했다. 이에 일부 전문가들은 '기생충’이 최종 4천500만∼5천만 달러(592억원)의 티켓 수입을 올릴 것으로 내다봤다. 기생충은 이미 DVD로 출시된 상태다. 미국뿐이 아니다. 영국에서 지난 7일 개봉한 기생충은 첫 주말에 비영어권 영화로는 역대 최고의 오프닝 성적을 올렸다. 약 140만 파운드(21억4천만원)의 판매 수입을 냈다. 이에 영국 배급사 커존은 상영관을 400곳 이상으로 늘릴 예정이다. 현재 상영관은 136곳이다. (박정연기자·서울=연합뉴스/해동주말 제휴사)
“우리는 바이러스가 아니다.” 중국인들이 이렇게 외쳤다. 네델란드에서다. 중국 우한이 신종 코로나 발원지로 지목되자 전세계에서 중국인들에 대한 편견이 생긴 탓이다. 특히 백색인종, 미국 유럽계 인종들의 대 중국인 편견이 심하다. 중국 환구망은 10일 “중국인은 바이러스가 아니다”는 청원이 네델란드에서 제기됐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번 청원은 지난 6일자 현지의 한 라디오방송의 방송 탓이다. 방송에서 신종 코로나 관련 언급을 하면서 중국인을 비하하는 노래는 튼 것이 계기가 됐다. 이 방송 진행자는 방송에서 신종코로나는 "더러운 중국인들" 때문에 발생했으며 "감염되기 싫으면 중국 음식을 먹지 말라"는 가사의 노래를 불렀다. 청원이 제기되자 전날까지 1만7천명이 서명했다. 청원에 공감한 이들은 "우리는 아시아인에 대한 어떤 인종차별주의도 거부한다"며 방송의 사과를 요구했다. 인종 차별현상은 네델란드만의 일이 아니다. 유럽 등지에서도 중국인과 다른 아시아인에 대한 혐오와 차별이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나타나고 있다. (박정연기자·베이징=연합뉴스/해동주말 제휴사)
신종 코로나가 중국 극장가에 1조2000억 원에 달하는 수익이 사라지도록 했다. 감염 우려가 커지자 중국 영화관들이 최고 대목인 춘제(春節·중국 설) 연휴에 모두 문을 닫은 탓이다. 대략 기존 매출의 10% 가량이 거품처럼 꺼진 것으로 추산된다. 7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춘제 연휴 기간 중국 각지에서 거의 모든 영화관이 영화표 판매를 중단했다. 중국 춘제는 지난달 24일 이후 7일간이었다. 이 같은 조치는 신종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한 것이다. 중국 영화관들은 춘제 전에 폐관을 해 춘제 기간에도 개관을 하지 않았다. 중국 영화산업은 미국에 버금가는 규모로 최근 성장했다. 중국은 2010년 이후 스크린 수에서 미국을 앞서고 있다. 입장권 판매규모도 지난 10년간 6배로 늘었다. 중국의 영화 입장권 매출은 2010년 97억위안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의 경우 589억위안(85억달러)에 달했다. 이는 전년 대비 4.1% 는 수치다. 중국은 대작 영화수익이 많아 미국 영화 제작사들에게 있어 최고의 시장이다. 지난해 미국에서만 대작 영화 36%를 수입했다. 이에 미국 영화시장 조사 회사인 아티잔 게이트웨이의 랜스 포 최고경영자(CEO)는 대략 손실을 10억 달러로 추산했
신종 코로나가 만연한 중국에서 아파트 주민 관리가 거의 감옥 수준이다. 원천적으로 주민의 외출을 봉쇄하고 이틀에 1명만 외출하도록 하고 있다. 현재 중국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망자가 500명에 육박했다. 이에 진원지 후베이(湖北)성 밖에서도 여러 도시가 이 같은 아파트 '봉쇄식' 관리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5일 환구망 등에 따르면 하얼빈(哈爾濱)시는 확진 환자와 의심 환자가 발생한 아파트와 마을에 표지판을 내걸고 있다. ‘여기 확진자 발생’이라는 표지판이 걸리면 사실상 이웃과의 교류가 절로 단절된다. 시는 표지판을 내거는 동시에 철저히 사람과 차량의 출입을 금지한다. 출입은 매 가구에서 이틀에 1명만 허락된다. 택배와 음식 배달은 무접촉 배송 방식으로 시행된다. 출입자 체온 측정은 필수다. 앞서 후베이성 황강(黃岡)과 저장(浙江)성 원저우(溫州)시도 하얼빈시와 같은 ‘봉쇄식 아파트 관리제’를 도입했고 이어 장쑤(江蘇)성 난징(南京)시와 저장(浙江)성 항저우(杭州)시 역시 속속 같은 제도를 도입하고 나섰다. 또 저장성의 닝보(寧波)와 자싱(嘉興), 장시(江西)성의 난퉁(南通)시와 도자기 산지 징더전(景德鎭), 광둥(廣東)성 주하이(珠海) 등도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 확산에 공연계가 직격탄을 맞았다. 감염 공포 탓에 공연 자체가 취소되고 예매 취소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정상가의 50%가 넘는 염가 표들이 난무하고 있다. 4일 공연계에 따르면 정상가 13만원인 뮤지컬 '빅 피쉬'의 R석(30매)은 이날 현재 5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빅 피쉬는 오는 8일 예술의전당에서 공연된다. 무려 62% 싼 ‘폭탄세일’인 것이다. 현재 예술의 전당 사이트에서는 지난달 31일부터 이 가격의 판매 안내를 하고 있다. 공연기획사와 예술의전당 측은 이번 세일이 신종코로나 탓은 아니라는 입장이지만 정상가에 잘 팔리는 공연이 폭탄 세일을 할 일은 없는 것이다. 폭탄세일 공연은 이 뿐만이 아니다.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의 실내악 공연도 반값에 나왔다. 이 연주회는 오는 13일 예술의 전당에서 진행된다. 문화 소비자들이 기존 구매했던 표를 취소하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오는 14~15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예정된 서울시향의 '부활' 공연은 이미 완판됐었지만, 최근 예매됐던 표들의 취소가 잇따르고 있다. 이미 40석 가까이 취소가 진행됐다. 이 공연은 오스코 벤스케 음악감독의 취임 공연이어서 화제를 모았던 것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위협 속에서도 북한 당국이 틈을 놓치지 않고 선전에 몰두하고 있다. 대외선전매체 '우리민족끼리'는 3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의료기관 현지지도 현황을 정리한 '인민보건 발전을 위한 길에서'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다. 매체는 기사에서 "인민들이 사회주의 보건 제도의 혜택 속에 행복한 삶을 마음껏 누리게 하시려는 경애하는 원수님의 사랑과 은정은 끝이 없다"고 말했다. 매체에 따르면 앞서 김 위원장은 묘향산의료기구공장(2019년 10월), 평양제약공장(2018년 1월), 평양치과위생용품공장(2017년 6월) 등을 돌아보며 현지 지도를 했다. 김 위원장은 각 의료기관의 혁신을 강조했다. 조선중앙통신도 지난달 29일 최근 리모델링 중인 시설을 소개하는 '영도자의 세심한 지도 속에 강화되는 조선의 보건 부문'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다. 통신은 "경애하는 최고 영도자 김정은 동지의 세심한 지도 속에 최근 옥류아동병원과 류경치과병원, 정성제약종합공장, 대동강주사기 공장을 비롯하여 많은 병원, 제약 및 의료기구공장들이 새로 일떠서거나 개건 현대화되었다"고 전했다. 묘향산의료기구공장은 완공을 눈앞에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줬다. 내각 기관지 민주조선도 지난달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