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탄생시킨 스마트폰 문화는 사실 정체 단계다. 한 대에 100만 원 이상을 호가하는 제품을 글로벌 사회 청소년부터 노인까지 거의 모두가 하나씩 보유하게 됐기 때문이다. 누구나 스마트폰을 24시간 사용하지만 기술 발달로 거의 고장없이 4~5년을 쓴다. 얼리 어댑터들의 경우 대략 2년 단위로, 빠르게는 1년 단위로 스마트폰을 바꾸기는 하지만 일반인의 경우 4년가량을 쓴 뒤 스마트폰을 교체한다. 한국은 보조금이라는 독특한 제도가 있어 일시불의 부담을 줄이는 방법으로 소비자들의 스마트폰 교체 시기를 앞당기고 있지만 그래도 일반적으로는 4~5년을 쓴 뒤 스마트폰을 교체한다. 특히 기술 발달로 업체마다 업그레이드 되는 부분이 그리 크지 않은 탓도 있다. 말 그대로 스마트폰 제조사들 간의 기술 격차가 극미해졌기 때문이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그나마 성장세를 이어가는 분야가 폴더블폰 분야다. 폴더블폰은 올해 상반기 침체된 중국 휴대전화 시장에서 유일하게 성장세를 유지한 부문으로 꼽힌다. 시장조사기관 CINNO Research와 IDC가 각각 중국내 폴더블폰 판매 순위를 21일 발표했다. CINNO Research가 발표한 올해 상반기 중국내 폴더블폰 시장 점유율 순위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恒大, 에버그란데)가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 파산법원에 파산보호법 15조(챕터 15)에 따른 파산보호 신청을 했다. 중국 네티즌들은 중국 기업이 왜 미국 법원에 파산 신청을 했는지 의아해하면서 국가적 비리가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사실 헝다 그룹은 위기를 겪으면서 글로벌 자금시장에서 조달한 부채를 제 때 갚지 못해 디폴트 상황에 처했다. 중국 내부 피해보다 글로벌 자금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는 분석도 나온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헝다는 청원서에서 홍콩과 케이맨 제도,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에서 진행 중인 구조조정 협상을 인정해 달라고 요청했다. '챕터 15'는 외국계 기업이 다른 나라에서 구조조정을 하는 동안 미국 내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진행하는, 국제적인 지급 불능상태를 다루는 파산 절차다. 이에 대해 헝다는 18일 미국 법원에 제기한 파산보호 신청은 역외 채무 구조조정을 위한 정상적인 절차이며 파산신청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헝다는 자사의 달러 표시 채권은 뉴욕법의 관할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면서 자사는 미국 법원에 현지 법인 '챕터 15'에 의거해 역외 채무 구조조정을 위한 협상 승인을 요청한
18일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에 따르면 올해 1~7월 중국 자동차 판매 상위 10개 업체의 총 판매량은 1304만8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4.5% 성장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끝낸 중국 자동차 시장이 올해 두 자릿수 성장을 할지 주목되는 대목이다. 중국 자동차 시장은 세계 최대 시장이다. 독일 차 메이커를 먹여 살린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아쉬운 게 바로 한국 현대차와 기아의 부진이다. 현재 중국 자동차 시장이 중국 토종 브랜드 위주로 변하고 있지만, 그래도 독일과 일본 차 메이커들은 프리미엄 브랜드로서 수혜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현대차와 기아는 진출 초기 모두가 놀라는 성공을 거뒀지만, 이어진 시장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현재 브랜드 명성이 바닥으로 추락한 상태다. 지난 1~7월 중국 자동차 판매 Top 10 업체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상하이자동차 2위, 이치자동차 3위, 비야디 4위, 창안자동차 5위, 광저우자동차 6위, 둥펑자동차 7위, 베이징자동차 8위, 체리자동차 9위, 지리자동차 10위, 창청자동차 상위 10개 기업 중 비야디(比亞迪·BYD)가 가장 높은 성장률을 나타냈다. 전년 동기 대비 판매량이 87.6% 증가했으며 체리
중국이 미국과 군사적으로 밀착된 대만, 일본은 물론 괌까지 직접 겨냥할 수 있는 극초음속 미사일 전력을 구축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극초음속 미사일은 미국조차도 아직 방어망 구축이 돼 있지 않은 상태로 알려져 있다. 중국이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전 세계 모든 국가들을 대상으로 무방비로 미사일 공격을 감행할 수 있다는 의미다. 현재 일본이 왜 미국은 물론 나토와도 적극적인 군사 협약에 나서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중국의 공격 능력을 나토와 미국의 공격 능력으로 대응해 놓지 않는 한 일본은 중국의 군사위협에 무조건 무릎을 꿇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일단 중국 네티즌들은 자국 군사능력에 반기면서도 "실전 검증이 없다"며 아쉬워하고는 모습이다. 중국 네티즌들은 '국뽕'으로 워낙 유명하지만, 군사적 반응마저 중국 국방부 입장과 크게 달라보이지 않는 게 놀랍다. 17일 중국 온라인 매체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중국인민해방군 로켓부대는 최근 극초음속 중거리탄도미사일 '둥펑-27(东风-27)' 발사 시험에서 약 5000㎞ 떨어진 해상 이동 목표물을 정확히 명중시켰다. 중국 군사 전문가들은 이번 극초음속 미사일 발사 성공은 미국 항공모함이 중국 주변 해역에 도달할 기회가 없다
중국의 개혁개방은 중국 사회를 빠르게 서구화시켰다. 주거 문화가 바뀌면서 생활 풍속도 바뀌기 시작했다. 중국의 수나라 때 완성돼 중국 역사 내내 이어진 1000호 마을 단위 관리, 청나라 주거형태인 사합원 등의 전통은 그 깊은 뿌리 덕에 생활 속에 남아 있지만, 마을 공동 단위의 생산 및 구매 활동은 서구 종합 마트의 도래로 뿌리채 바뀌게 됐다. 그 변화의 선두에 섰던 게 바로 미국의 월마트다. 베이징, 상하이 등 주요 도심의 발전지역 중심에 위치해 한 때 중국 도시화를 상징하는 랜드마크 역할을 하기도 했다. 월마트의 뒤를 바짝 쫓으며 경쟁하던 게 바로 까르푸였다. 두 대형 마트 프랜차이즈는 공정가격 및 할인행사라는 새로운 소비 형태를 중국에 심었다. 하지만 세월이 흘러 이 같은 중국 소비재 유통망에도 변화가 생겼다. 변화를 대표하는 게 바로 중국 토종 브랜드 유통사들의 성장이었다. 까르푸와 월마트 등의 서구 브랜드 유통사들이 여전히 선전하는 가운데 중국 토종 브랜드들이 수위에 랭크되기 시작한 것이다. 중국 소비재 유통망 1위인 영휘마트(永辉超市)는 중국 토종 브랜드다. 수입 브랜드와 토종 브랜드 간의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는 상황이다. 17일 중국 관영 중
AI(인공지능)은 미래의 성공을 위한 필수 자원이다. 성공을 위해서 꼭 필요하다는 의미다. 그런 AI의 기본은 인터넷 빅데이터다. 기계학습을 통해 오류를 수정해 스스로를 완성해 가는 AI가 기계학습을 잘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빅데이터다. 빅데이터는 이용자의 수가 그 질을 결정한다. 글로벌 사회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플랫폼을 가진 나라, 바로 가장 좋은 AI 기술을 확보할 조건을 갖춘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 세계인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플랫폼은 무엇일까? 당연히 구글이다. 유튜브가 바로 뒤를 이었고, 메타로 이름을 바꾼 페이스북이 3위를 기록했다. 지난 7월 기준 글로벌 웹사이트 사용자 방문량 순위가 발표됐다.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중국의 바이두가 6위를 기록한 게 눈에 띈다. 1위, 구글 2위, 유튜브 3위, 메타(페이스북) 4위, 인스타그램 5위, 트위터 6위, 바이두 7위, 위키피디아 8위, 야후 9위, 얀덱스 10위, 왓츠앱 7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이용자가 방문하는 웹사이트는 구글로 총 방문자 수가 853억 명으로 집계됐다. 2위는 유튜브로 방문자 수는 구글의 절반에 못 미치는 341억 명이었다. 이어 메타(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
중국판 '세탁기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은 경쟁 차원에서 환영할 일이라고 반기는 모습이다. 세탁기 전쟁은 국내 시장은 물론 해외 가전 시장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삼성전자와 LG전자 사이에 벌어진 사건이다. 상대방의 가전 제품 전시장을 찾아 안정성을 확인해보겠다며 세탁기 문에 충격을 가해 떨어뜨리자, 당한 회사 측에서 그 행위를 고소한 사건이 바로 세탁기 전쟁이다. 당시 두 회사 사이에 감정이 워낙 악화돼 사건은 사회적으로 관심을 끌었다. 이번에 중국에서는 자동차 회사 사이에서 경쟁사 자동차의 문제점을 공개 저격하고 나서는 사건이 발생했다. 한국에서는 소비자들이 지나친 경쟁에 달갑지 않은 반응이었지만, 중국 소비자들은 사뭇 다른 모습이다. 중국 완성차 업체 창청자동차(GWM, 長城汽車) 왕위안리(王远力) CTO(최고기술책임자)가 중국 전기차 1위 업체 비야디(BYD, 比亞迪)를 겨냥한 글을 15일 SNS에 발표했다. 왕 CTO는 BYD 10개 모델 중 9개 모델의 상압저장탱크(常压油箱)가 고압연료탱크로 전환됐으며 그 시점이 5월 이후라고 밝혔다. 창청자동차는 지난 5월 웨이보에 비야디의 일부 차종이 오염물질 배출 허용 기준을 총족시키지 못
중국 온라인 콘텐츠가 갈수록 세계인의 환영을 받고 있다. 틱톡(중국판 더우인)은 이미 글로벌 세계에서 없으면 안되는 주요한 숏폼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중국에서는 인터넷 콘텐츠를 게임과 비게임 영역으로 구분해 살피고 있다. 게임 영역은 말 그대로 인터넷 컴퓨터 게임을 말하며, 비게임 영역은 그 밖의 인터넷 콘텐츠를 말한다. 게임 영역에서는 텐센트가 가장 앞서간다. 텐센트는 중국에서는 기존 위챗 플랫폼을 활용해 다양한 컨텐츠 사업을 경영하고 있다. 글로벌 성공을 이룬 비게임 플랫폼은 무엇보다 틱톡이다. 바이트댄스(ByteDance)가 모회사인 틱톡은 숏폼을 글로벌 사회에 유행시켜 기존의 동영상 플랫폼 최강자인 유튜브를 위협하고 있다. 유튜브도 숏폼 코너를 만들었는데, 바로 틱톡의 영향이다. 지난 7월 중국 비게임 사업자들의 해외 수입 순위가 최근 조사돼 발표됐다. 역시 중국 최고 글로벌 시장 개척자는 틱톡의 주인인 바이트댄스가 수위를 차지했다. 중국 현지 매체 지통재경망(智通财经网)에 따르면 바이트댄스, 환쥐그룹(欢聚集团), 글로리티(睿琪软件)가 1~3위에 이름을 올렸다. 아이치이는 순위가 한 계단 상승되어 7위에 이름을 올렸다. 온라인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중국에 대해 한국의 많은 이들이 간과하는 게 '무협'이 바로 판타지라는 사실이다. 중국은 사실 판타지의 나라다. 우리가 서구식 요정과 괴물들에 익숙해져 있을 뿐이다. 영화로도 제작된 소설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요정과 괴물들 이외에는 판타지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중국의 산해경은 인류 최초의 판타지 사전이라고 할 수 있다. 동양에 등장하는 거의 모든 괴물들이 총망라돼 있다.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포켓몬 캐릭터들 역시 산해경 속 괴물들에게서 영감을 얻은 것이라고 하니 그 영향력을 짐작할 수 있다. 영국에서 유래한 판타지 문학처럼 동양에도 무협이라는 독특한 문학장르가 있다. 가상의 세계에서 초능력을 연상케하는 무술을 연마한 고수들끼리 벌이는 싸움의 세계를 그려가는 게 바로 무협이다. 이 무협은 중국이 경제적으로 어렵던 시절, 젊은이들에게 희망을 주고, 대리 만족을 주는 역할을 했고, 경제가 발전한 오늘날은 영화 등 다양한 장르로 연결돼 새로운 창작물로 거듭나고 있다. 최근 중국의 전통 신화를 소재로 한 판타지 영화 '봉신제일부 - 조가풍운(封神第一部 - 朝歌風雲)'이 흥행돌풍을 일으키며 지난 13일 기준 박스오피스 20억 위안(약 3670억 원)을
중국은 단일 시장으로서는 세계 최대 시장이다. 게임도 마찬가지다. 한 문화권에, 동일 언어를 쓰는 단일 시장으로 세계 최대 시장이다. 간단히 14억 인구가 하루 1위안을 들여 게임을 즐긴다고 생각하면 된다. 하루 매출만 14억 위안인 게임이 출범하는 것이다. 실제 게임 시장에서 비슷하게 이뤄지고 있다. 세계 최대 게임 시장인 중국에서 가장 많은 인기를 끄는 게임은 무엇있까? 14일 중국 현지 매체 지통재경망(智通财经网)이 7월 중국 게임업체 매출 순위를 발표했다. 발표 자료에 따르면 텐센트와 미하유가 선두 자리를 다투고 있다. 또 산치후동(三七互娱), 뎬뎬후동(点点互动), 커무요시(壳木游戏), 요싱왕루(悠星网络), 넷이즈(网易) 등은 순위가 전달보다 상승했다. 사실 텐센트는 중국 게임산업을 일찌감치 주도해온 기업이다. 위챗으로 한국에도 유명하다. 게임산업의 특성 가운데 하나는 게임 속 등장하는 인물들이 모두 창작물이라는 점이다. 그런 창작 인물들이 인기를 끌면서 생기는 게 저작권 사업 영역이다. 넷플릭스가 드라마만 제공해 돈을 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듯 게임업체 역시 게임 플레이 비용만 받아 매출을 올린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게임 캐릭터를 활용한 부가적인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