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올해 1월 주택 판매량이 급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 부동산 경기 침체 추세가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악화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 경제에는 빨간불이 들어온 셈이어서 주목된다. 중국 가계 자산의 80%는 부동산 자산이다. 부동산 자산 가치가 떨어지면, 가계는 자연히 소비를 보수적으로 할 수밖에 없다. 2023년 중국 경제를 이만큼이라고 이끌어온 3대 마차, 즉 수출, 소비, 투자 등이 모두 흔들리는 모양새다. 중국 부동산 시장조사기관인 CRIC 보고서에 따르면 100대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1월 주택 판매량은 2350억 6000만 위안(약 43조 4300억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34.2%, 전월 대비 47.9% 감소했다. 무엇보다 감소폭이 시장에 충격을 주고 있다. 실제 1월 주택판매량은 시장 전망치인 10%보다 3~4배 이상 더 떨어진 것이다. CRIC는 1월 주택 판매량 급락은 현재 침체냐 회복이냐의 갈림길에 서 있는 중국 경제와 주택 구매자들의 약해진 심리를 반영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최근 부동산 규제 당국이 개발업체들의 자금 조달 요구를 반영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지만 시장 신뢰도와 기대감이 회복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예상
중국 동부지역 허브공항이자 상하이의 관문인 푸둥공항에서 온라인 차량호출 서비스가 전면 금지된다. 온라인 차량호출 서비스는 모바일 앱을 통해 택시 등 차량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승객 입장에서는 택시를 이용하기 위해 공항 택시 승차장에서 줄을 설 필요도 없고, 차량 운행자 입장에서는 손님을 태우기 위해 장시간을 기다릴 필요가 없으며 원하는 시간대와 장소로의 운행을 선택할 수도 있다. 지난달 29일 상하이시 도로운수관리국은 '푸둥공항 온라인 차량호출 서비스 운영에 대한 통지'(이하 통지)를 발표했다. 통지에 따르면 푸둥공항의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위해, 특히 춘제(春節, 설) 연휴 기간 푸둥공항에서 온라인 차량호출 서비스가 엄격히 금지된다. 이번 통지 발표 이후 온라인 차량호출 플랫폼 업체인 디디추싱(滴滴出行), 가오더띠투(高德地圖), 메이투완(美團) 등은 더 이상 푸둥공항에서는 예약을 받지 않고 있다. 통지와 관련 없는 상하이 훙차오(虹橋)공항, 훙차오역, 상하이역에서는 예약이 가능하다. 온라인 차량호출 서비스 기사들은 이번 통지에 대해 우려스럽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온라인 차량호출이 금지된 틈을 불법 택시가 푸둥공항에서 더 활개칠 수 있다는 것이다.
자동차 판매량은 제조업체에서 출하 후 판매업체를 거쳐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된 총량을 말한다. 판매량 관련 통계를 통해 자동차 제조업체는 시장의 수요와 판매 현황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어 더욱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세울 수 있다. 지난 2023년 중국 자동차 판매량이 6% 이상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자동차 시장 성장세가 그 위세를 소폭 줄었지만, 성장 추세는 여전히 강하게 유지하는 모양새다. 중국 자동차 시장은 이미 세계 최대 규모다. 이 시장을 기반으로 중국 자동차 브랜들이 성장해 이제는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이미 전기차 부문에서는 가성비로 세계 소비자들의 수요를 이끌어내고 있다. 이에 지난해 중국은 일본을 제치고 세계 최대 자동차 수출국으로 자리잡았다. 중국 가이스자동차연구원(盖世汽车研究院)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내 승용차 판매량은 매월 꾸준한 추세로 증가했다. 1, 7월에만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하였고, 나머지 월에는 모두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해 전년 대비 6.2% 증가한 누적 판매량 2110만 대를 기록했다. 그 가운데 신에너지차(전기차, 하이브리드차, 수소차)는 724만 대로 전년 대비 판매량이 38.4% 증가했다. 지난해
지난 2021년 중국 푸단대학(複旦大學)에서 발생한 살인사건의 판결이 중국 온라인에서 화제가 됐다. 당시 사건은 중국의 최상급으로 꼽히는 대학의 연구진이 저지른 사건이어서 주목을 받았다. 무엇보다 연구에 대한 압박이 어느 정도인지가 중국 네티즌들의 관심을 끌었다. 1일 중국 현지 매체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이날 오전 상하이시 제2중급인민법원(上海市第二中级人民法院)은 피고인 장원화(姜文華)에게 살인죄로 사형 및 집행유예 2년 판결을 내리며 정치적 권리를 종신 박탈하고 감형은 제한한다고 선고했다. 장원화는 푸단대 수리과학부의 초빙 청년 연구진으로 재직하던 중 업무가 잘 풀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분노에 가득차 왕(王)모 푸단대 당위원회 서기를 살해했다. 장 씨는 2021년 6월 7일 미리 흉기를 준비해 푸단대로 들어갔고 칼로 왕모 서기를 수십 차례 찔러 그 자리에서 사망케 했다. 이후 장 씨는 다른 사람에게 신고하라고 알렸고 현장에 출동한 공안에 체포됐다. 상하이시 제2중급인민법원은 피고인 장 씨에게 고의살인죄가 성립된다고 보았다. 사전에 범죄를 모의하였으며 잔인하고 무도한 벙법으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였으므로 법에 의거하여 엄중히 처벌하기로 했지만, 재발성 우울장애
'디지털 리터러시'는 국가의 잠재성장 동력인 인재육성에 가장 중요한 포인트다. 정보통신(IT) 사회를 이끌기 위해서는 노동력의 질이 문제인데, 무엇보다 디지털 친화적(IT 기기와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느냐가 그 질을 좌우하는 관건이기 때문이다. 중국 당국이 주목하는 것은 바로 이 부분이다. 교육과정에 디지털 인재 육성을 위한 과정을 넣고 수시로 점검하고 있다. 글로벌 사회에서 중국의 디지털 교육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매번 체크하는 것이다. 지난달 31일 중국 상하이에서 막을 내린 '2024 글로벌 디지털 교육 대회(2024世界数字教育大会)'에서 세계 각국의 디지털 교육 발전 순위가 발표됐다.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미국 2위 핀란드 3위 한국 4위 싱가포르 5위 프랑스 6위 독일 7위 영국 8위 호주 9위 중국 10위 에스토니아 글로벌 디지털 교육 발전 지수는 중국교육과학연구원(中国教育科学研究院)이 실증 데이터 기반 패러다임을 혁신적으로 적용해 다양한 국가의 디지털 교육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종합 지수이다. 올해 순위에서 중국은 전년도 24위에서 9계단 오른 15위를 차지했다. 중국교육과학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중국은 국가
열차 안에서 떼를 쓰며 우는 어린 아이, 아무리 예쁘게 봐주려고 해도 아이의 태도는 주변 승객에게는 소음일 수밖에 없다. 보호자가 당황하는 게 당연하고 주변 승객들의 못마땅한 눈초리가 쏠리는 것도 당연하다. 공공장소에서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말썽꾸러기 아이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 최근 중국의 한 누리꾼이 그와 관련해 SNS에 올린 글이 화제가 됐다. 아이처럼 소리 지르고, 고함을 쳐서 아이에게 자신의 행동이 얼마나 남에게 피해를 주는지 '눈에는 눈, 이에는 이'의 방법으로 교육시켰다는 사례를 전한 것이다. 상황은 이렇다. 글을 올린 해당 누리꾼은 열차 객실 맞은편에 앉은 어린 아이가 계속 시끄럽게 소란을 피우자 아이의 부모에게 말려달라고 말했지만 아무런 소용이 없었다.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해당 누리꾼은 그야말로 ‘난리굿'을 피웠다. 해당 누리꾼이 큰 소리로 노래를 부르고 비명을 질러대고 웃다가 울다가 하는 등의 행동을 이어가자 아이와 부모는 소스라치게 놀라며 객실을 옮겼다고 한다. 이번 사례에 대해 중국 네티즌의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찬성하는 측은 "속이 다 시원하다"며 현장에 있었다면 글을 업로드한 누리꾼을 적극 지지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반대하
중국 최대의 경제 지역은? 역시 광둥성이었다. 베이징의 방점은 정치도시, 상하이의 방점은 금융 중심 도시에 있고 광둥성은 중국에게 '세계의 공장'이라는 타이틀을 만들어 준 도시다. 중국은 지역 개발에서 지역 특색이 자연스럽게 발현되도록 했다. 광둥성은 아시아 최대의 교역항인 홍콩이 인근에 있어 이를 중심으로 광저우, 선전 등지에 제조업 중심의 공업단지를 중국 당국이 심혈을 기울여 개발했다. 광둥성은 현 시진핑 주석의 부친인 시중쉰이 덩샤오핑의 지지를 등에 업고 중국 개혁개방을 이끌어 낸 곳으로도 유명하다. 광둥성에 이어 중국 경제 규모 2위 자리는 장쑤성이 차지했다. 산둥성은 최근 중국 당국의 동북 3성 지역 개발에 힘입어 경제규모 3위를 차지했다. 중국 31개 성급 지역들이 양회(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앞두고 지난해 경제 성적표를 하나 둘 발표하고 있다. 지난 30일까지 발표된 지난해 중국 성급 지역 GDP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광둥성 2위 장쑤성 3위 산동성 4위 저장성 5위 쓰촨성 6위 허난성 7위 후베이성 8위 푸젠성 9위 후난성 10위 상하이 광둥(广东), 장쑤(江苏), 산동(山东), 저장(浙江) 등이 1~
중국 쑤저우시가 주택 구매 제한을 전편 철폐하여 주택 구매 시 면적 및 개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는 소식이 온라인에서 화제가 됐다. 중국 당국이 부동산 경기 부양을 위해 통제에서 지역별 부양으로 정책을 선회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중국 경제는 부동산 경기가 식으면서 침체에 대한 우려도 깊어지고 있다. 일단 네티즌들은 반기면서도 시장의 동향을 살피는 모습이다. 부동산이라는 게 개별 가계 입장에서는 워낙 투자 규모가 큰 탓이다. 시장 방향성이 결정되기 전에 쉽사리 투자를 했다가 손해를 보면 감당하기 어렵다. 30일 중국 현지 매체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쑤저우시는 신축 및 구축을 막론하고 더 이상 주택 구매 자격 심사를 하지 않지만 신축 부동산 매매는 2년 제한제를 그대로 유지한다. 30일 쑤저우시 주택도시농촌개발국은 "오늘부터 개수 제한 심사가 없으며 주맥 구매 자격도 따로 따지지 않는다"고 밝혔다. 쑤저우시는 지난해 9월 이미 구매 제한 규제를 완화했다. 120㎡ 이하의 부동산을 구매한 경우 타지 호적 보유자도 쑤저우 호적 보유자와 같은 대우를 하며 사회 보험과 개인 소득세를 납부하지 않아도 된다. 농촌에서 쑤저우시로 진입한 농민공, 청년, 신규 취업자 등이 부동
중국 도시 가운데 과학 기술 혁신 순위가 가장 높은 도시는? 상하이? 선전? 항저우? 광저우? 모두가 훌륭한 후보들이다. 하지만 1위는 베이징으로 꼽혔다. 베이징은 중국판 MIT로 불리는 칭화대가 있고, 특정 분야의 기술만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연구 대학들이 적지 않다. 이들의 힘이 모여 기술 혁신의 베이징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서우두(首都) 과학기술발전 전략연구원(CISTDS)'이 지난 28일 '2023년 중국 도시 과학 기술 혁신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지난해 중국 도시 과학 기술 혁신 순위에서 허페이시는 처음으로 Top 10에 진입했다. 1위 베이징(北京) 2위 선전(深圳) 3위 상하이(上海) 4위 쑤저우(蘇州) 5위 항저우(杭州) 6위 난징(南京) 7위 광저우(廣州) 8위 톈진(天津) 9위 우한(武漢) 10위 허페이(合肥) CISTDS는 ‘중국 도시 과학 기술 혁신 발전 지수 및 지표 체계’를 만들어 지급 이상 도시 288개의 과학 기술 혁신 수준을 평가했다. 이는 중국 도시 혁신의 새로운 모습을 그려낸 것으로 평가받는다. 해당 지표는 3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1단계는 자원 혁신, 환경 혁신, 서비스 혁신, 혁신 실적 등 4개의 세부 항목으로 이루
동일한 항공편의 동일한 클래스 좌석을 각기 다른 3개의 플랫폼에서 구매하였더니 가격이 모두 다르고, 심지어 차이가 930위안(약 17만 원)이라면? 고객입장에서 황당하기 그지 없는 일이다. 바로 항공권 유통의 문제다. 최근 중국 인민일보 위챗 공식 계정에 소개된 중국 한 누리꾼의 사연에 네티즌들의 관심이 폭주하고 있다. 해당 누리꾼이 온라인에 자신의 항공편 구매 경험을 공유하며 ‘빅데이터 차별(특정한 알고리즘으로 소비자에게 상이한 가격을 제시하는 것)’ 문제가 다시금 논란이 되었다. 3개 플랫폼 중 가장 높은 요금을 제시한 플랫폼은 대리업체의 가격 착오이거나 일부 계정에서 지나치게 많은 쿠폰을 적용한 경우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중국 네티즌들은 판매 주도권을 거머쥔 온라인 플랫폼들이 정보량이 적은 소비자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차별’을 서슴지 않고 있다고 비난하고 있다. 베이징소비자협회(北京市消費者協會)가 최근 발표한 소비자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61.21%가 빅데이터 차별 문제가 각기 다른 유저가 누리는 할인이나 쿠폰 등에서 발생한다고 답하였고 45.76%는 플랫폼을 여러 번 검색하고 나면 가격이 자동으로 올라가 있다고 답했다. 또 36.92%의 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