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억 2000만 위안’ 한화로 약 1조 6003억 원에 달한다. 중국의 올 설 연휴, 춘제(春節) 연휴 기간 동안 영화 업계가 올린 매출액이다. 역대 최대치다. 중국 영화산업은 최근 잠시 성장세 주춤거렸으나, 이번 춘제 연휴를 통해 완전히 새로운 성장가도를 달리는 모양새다. 4일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영화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춘제 영화 매출 현황을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2025년 2월 3일 오후 3시 30분 기준(현지시각) 올해 춘제 시즌 박스오피스는 80억 2000만 위안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설 연휴 기간 개봉한 6편의 신작 영화가 흥행을 이끌면서 박스오피스 매출 상승을 견인했다. 춘제 시즌 박스오피스 1위는 애니메이션 영화 '나타지마동요해'(哪吒之魔童鬧海)가 차지했다. 이 영화는 38억 500만 위안(약 7592억 4979만 원)의 흥행 수익을 올리며 중국 애니메이션 시장의 거대한 잠재력을 입증했다. 그 뒤를 이어 미스터리 범죄 영화 '차이나타운 탐정 1900'(唐探1900)이 19억 8800만 위안(약 3966억 600만 원)을 벌어들이며 2위를 기록했다. 고전 판타지 영화 '봉신 제2부:
‘80조 위안’ 한화로 1경 5,898조 4,000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중국 당국이 2030년까지 추구하는 디지털 경제 규모다. 5년내 이룰 수 있다는 게 중국 당국의 자신감이다. 중국 당국이 본격적인 디지털 경제 육성에 나섰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공업정보화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등 중국의 연관부처들은 회의를 열고, 디지털경제 육성 방안을 논의했다. 보도에 따르면 회의에서 각 부처가 정책 전개를 가속화하고 데이터와 현실의 통합을 더욱 촉진하며 데이터 산업을 발전 확대하고 디지털 경제의 발전 동력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업계 연구에 따르면 디지털-리얼 통합 시스템의 지속적인 개선 등으로 오는 2030년까지 중국의 디지털 경제 규모는 80조 위안을 초과할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각 부처에서 지방자치단체에 이르기까지 데이터 통합과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이 적극 추진되고 있다. 데이터 통합과 제조업 디지털 전환은 디지털 경제의 발전을 위한 핵심 키워드다. 중국 당국은 최근 산업정보화 전국회의를 개최했다. 회의는 올 2025년 업무과제 발표에서 정보화와 산업화의 심층적인 통합을 촉진키로 했다. 지정 규모 이상의 공업 기업과 전문화 및 특별 신형 중소기
올 한 해 중국 증시는 변동성 장세가 주를 이룰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함께 중국 경제 전망에 불확실성이 커졌지만, 이에 대응하는 중국 정부의 다양한 정책의 실효성이 시장의 변동성을 좌우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중화권 매체들은 글로벌 투자은행들의 분석을 토대로 이 같은 전망을 내놨다. 변동성 장세의 핵심요인은 ‘정책의 투명성과 실제 이행, 이에 따른 시장성과’라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일단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대체적으로 올 2025년 중국 주식시장 전망에 낙관적인 입장이다. SCMP는 최근 모건스탠리, UBS 그룹 AG, JP모건 자산운용의 말을 인용해 중국 주식시장이 새해에 더 큰 변동성에 직면할 것이라 예측했다. SCMP에 따르면 이들 투자 은행 관계자들은 디플레이션 압력, 부동산 시장의 침체, 미국의 새로운 관세 부과 가능성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중국이 보다 명확하고 지속 가능한 정책 조치를 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중국 증시에 가장 긍정적인 곳은 골드만삭스였다. 골드만삭스는 중국의 주식 시장 벤치마크 지수가 2025년에 최소 13%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점진적인
‘7조 5,238억 위안’ 한화로 약 1,495조 2,047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지난 2024년 한 해 수출입 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15% 가까이 늘었다. ‘세계의 공장’이란 이름에 부합하는 수치다. 최근 중국 시장이 커지면서 수입액 역시 증가세다. 다만 지난해 중국 소비가 부진하면서 수입액은 찔끔 늘어나는 데 그쳤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2024년 수출입 통계를 공개했다. 중국 해관은 통관액 기준 수출입 통계를 발표하고 있다. 발표에 따르면 지난 2024년 한 해 동안 중국의 서비스 무역액은 다시 한 번 역대 최대치 기록을 갱신했다. 연간 서비스 무역 총수출입액은 7조 5,238억 위안이었다. 전년 대비 14.4% 증가했다. 이 중 수출은 3조 1,755억 위안(약 631조 671억 원)으로 18.2% 늘었고 수입은 4조 3,482억 위안(약 864조 1,177억 원)으로 11.8% 증가했다. 서비스 무역 적자는 1조 1,726억 위안(약 233조 307억 원)으로 전년 대비 314억 위안(약 6조 2,401억 원) 감소했다. 지난해 중국 무역은 지식집약형 서비스 거래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특징을 보
‘1438억 5000만 달러’ 한화로 207조 8,200억 9,500만 원 가량이다. 지난 2024년 중국의 대외 비금융분야 직접 투자총액이다. 전년대비 10% 이상 급증한 수치다.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 진척에 따라 투자액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올해 브릭스 남미국을 연결하는 글로벌 공급망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중국의 대외 비금융 직접투자액은 올해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대외 투자 현황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지난 2024년 중국의 대외 비금융 분야 직접투자는 1438억 5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0.5%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은 “대외 투자가 안정적으로 성장했다”고 평했다. 지난 2024년 중국의 아세안 지역에 대한 투자는 전년 대비 12.6% 증가했다. 주요 투자 대상국은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등이었다. 산업별로는 주로 임대 및 비즈니스 서비스업, 제조업, 도소매업으로의 투자가 이루어졌다. 대외 건설 계약 사업 규모는 꾸준히 확대되었다. 2024년 중국의 대외 건설 계약 사업은 1659억 70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해 전년 대비 3.1% 늘었다. 신규
‘-2.3%’ 지난해 12월 중국 산업생산자물가지수(PPI)의 전월대비 수치다. 무려 2%이상 하락한 것이다.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0.1% 상승하며 겨우 제자리에 머물렀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마자 바로 전해진 수치다. 중국의 PPI의 하락세는 27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두 분기 이상 하락이면 사실상 침체, 디플레이션이다. 암울하기만 하다. 새해 벽두 전해진 중국 경제의 우울한 소식이다. 2025년 중국 경제성장 목표 5% 달성에도 빨간 불이 들어왔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물가 현황지수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12월 CPI는 전년 동기 대비 0.1% 올라 보합세를 보였다. 그러나 PPI는 전년 동월 대비 2.3% 하락했다. PPI가 하락한 것은 27개월째다.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전국 CPI는 소폭 반등의 보합세였다. 식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 0.4% 상승하며 전월보다 0.1%포인트 상승하며 소폭 반등했다. 그러나 12월 전국 PPI는 전월 대비 0.1%, 전년 동월 대비 2.3% 하락했다. 다만 전년 동월 대비 하락폭은 전월보다 0.2%포인트
‘과학 혁신, 기술 혁신’ 중국 당국이 몽매이며 추구하는 발전 전략이다. 미중 갈등이 격화한 것도 중국의 ‘기술 굴기’ 추구 탓이 크다. 중국이 기술 굴기를 통해 글로벌 산업생태계의 변혁을 초래하고 있다는 게 미국의 지적이다. 중국은 글로벌 공장인데, 그 공장이 단순히 생산을 넘어 설계는 물론이고, 그 직전의 새로운 글로벌 생활형태의 변화를 가져오는 기술까지 개발하고 나선다면, 미국이 설 땅이 없다는 게 미국의 우려다. 중국이 패권을 추구하지 않는다지만, 미국 입장에서 그저 생산을 통한 부의 창조에 만족하지 않고, 새로운 부의 형태까지 창조하겠다는 것은 분명히 미국에 대한 패권 도전이라는 것이다. 사실 글로벌 생활의 근본적인 변화는 그동안 글로벌 사회에서 미국이 주로 해왔던 일이다. 유럽 기업들이 가끔 나오기도 했지만, 대부분 결국 시장은 미국 기업들 위주로 재편됐다. 오늘날 글로벌 IT생활이 대표적인 사례다. 그래서 미국은 중국의 ‘기술 굴기’를 최대한 억제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각 도시별 ‘기술 혁신지수’까지 만들며 국가 기술 혁신에 적극 나서고 있다. 중국 평가 결과, 지난 ‘2025년 과학기술 혁신 발전’ 최고 도시는 베이징으로 꼽혔다. 2위는 선전
‘17만6000명’ 유엔난민기구(UNHCR)가 밝힌 지난 2024년 한 해 동안 해외 망명을 신청한 중국인 숫자다. 역대 최고치를 갱신했다. 시진핑 주석 집권이래 약 100만 명이상의 중국인들이 해외 망명을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망명허가를 얻으려는 중국인들의 노력도 갈수록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자유아시아방송 중국어서비스 등 중화권 매체들에 따르면 국제인권단체 세이프가드 디펜더(Safeguard Defender)는 최근 유엔난민고등판무관실이 발표한 통계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지난 2024년 망명을 신청한 중국 시민의 수가 17만6,239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UNHCR가 통계를 낸 이래 최대 숫자다. 팬데믹 이전인 지난 2019년 10만4,259명에서 169% 증가한 수치이다. 또 이는 2012년 시진핑(習近平) 집권 당시의 1만2362명에 비해 1426% 급증한 수치다. 해가 갈수록 많은 중국인들이 중국을 떠나 해외거주를 희망하고 있는 것이다. 세이프가드 디펜더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취임한 이후 점점 더 많은 중국인들이 외국에 망명을 신청하기 위해 극단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밝혔다. 단체에 따르면
‘134조 9,084억 위안’ 한로로 약 2경 6,761조 원 가량이다. 지난 2024년 GDP 총액이다. 중국 GDP 총액이 130조 위안은 돌파한 것은 역대 처음이다. 전년동기 대비 5% 안팎의 성장을 했다. 정확히 중국 당국의 목표치에 부합하는 숫자다. 이에 서방 언론 일각에서는 수치 조작, 분식회계의 의혹제기도 나온다. 그럼에도 세계 2대, 최대 경제체를 향해 나아가는 중국 규모에서 놀라운 성장이다. 한국 2024년 성장률을 2%에 그치고 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2024년 GDP 수치를 공했다. 발표에 따르면 2024년 국내총생산(GDP)은 잠정 계산 기준으로 134조 9,084억 위안에 달했다. 불변 가격으로 계산했을 때 전년 대비 5.0% 성장했다. 외부 압박이 증가하고 내부적인 어려움이 많아진 상황에서도 2024년 중국 경제 규모는 새로운 도약을 이루었다. 중국 GDP 총액은 세계에서 두 번째 큰 규모다. 제1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9조1,414억 위안(약 1,813조 3,795억 원)으로 전년 대비 3.5% 증가했다. 제2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49조 2,087억 위안(약 9,761조 5,298억 원)으로 5.3
‘10조 280억 위안’ 한화로 약 1,993조 7,669억 원 가량이다. 지난 2024년 중국의 전국 부동산 개발 투자액이다. 금액에서 전년보다 10% 이상 줄어든 수치다. 중국의 부동산 하강 국면이 좀처럼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최근 지난 2024년 전국 부동산 시장 기본 현황을 발표하였다.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전국 부동산 개발 투자액은 10조 280억 위안(약 1,993조 7,66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6% 감소하였다. 이 중 주택 투자는 7조 6,040억 위안(약 1,511조 8,272억 원)으로 10.5% 감소하였다. 부동산은 중국 국민들의 자산 80%를 차지한다. 부동산 가격 하락은 중국 국민 자산규모의 하락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적지 않은 중국 전문가들은 현재의 중국 소비 부진 역시 부동산 시장 침체에 따른 가계 자산 평가가치 하락 압박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는 상황이다. 2024년, 부동산 개발 기업의 주택 건설 면적은 73억 3,247만㎡로 전년 대비 12.7% 감소하였다. 이 중 주택 건설 면적은 51억 3,330만㎡로 13.1%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