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회 중국영화 화표(華表)상이 27일 산둥성 칭다오에서 발표됐다. 올해 시상식에서는 '제20조'를 비롯한 10편의 작품이 우수 영화상을 수상했다. 개인상 부문에서는 궈판(郭帆) 감독이 영화 '유랑지구2'로 우수 감독상을, 둥룬녠(董潤年)과 잉뤄자(應萝佳) 작가가 '송년회는 계속 진행해야 한다'로 우수 각본상을 수상했다. 또한 장이(張譯)는 '3대대'로 우수 남우주연상을, 후이잉훙(惠英紅)은 '사랑합니다'로 우수 여우주연상을 각각 차지했다. 한편, 2025년 춘절(설) 연휴 이후 국내외 시장에서 두드러진 흥행 성과를 거둔 '너자2'는 국가영화국으로부터 특별 기여 영화 증서를 받았다. 화표상은 국가영화국이 주관하는 중국 최고 권위의 공식 영화상으로, 작품성과 사회적 기여를 함께 평가해 시상하는 것이 특징이다.
중국의 밀 생산량이 안정적 성장세를 구현했다. 이에 따라 중국의 식품 가격 지수 역시 소폭 하락세를 기록했다. 중국의 물가는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여, 경기 침체 우려를 키우고 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농업농촌부는 이 같은 내용의 농산물 가격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1분기 전국 농산물 생산자 가격 종합 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6% 하락했다. 부문별로 보면, 농업 제품 가격은 4.2% 하락했고, 임업 제품은 6.0% 상승했다. 가축 및 그 제품은 0.3% 상승했고, 수산물 가격은 1.0% 하락했다. 품목별로는, 밀·벼·옥수수·대두·감자류 가격이 각각 3.7%, 5.4%, 9.8%, 4.6%, 0.3% 하락했으며, 생돼지 가격은 7.6% 상승했다. 생소·생양·가금류·계란 가격은 각각 14.0%, 7.1%, 5.3%, 2.8% 하락했다. 면화(씨면)는 9.8% 하락했고, 당료는 0.2% 상승했다. 채소는 6.6% 하락했고, 과일은 8.2% 상승했다. 3월 말 기준, 주요 농산물의 재래시장 가격은 전반적으로 소폭 상승세를 보였다. 인디카 벼, 자포니카 벼, 밀 가격이 전월 대비 상승했고, 옥수수 가격은 2개월 연속 상승했으며, 대두 가격은 하락세
중국이 자국식 현대화 모델로 ‘5위1체(五位一體)’ 전략을 앞세우며 체계적 국가 발전 구도를 강조하고 있다. 중국 중앙방송총국(CMG)은 15일 “중국식 현대화는 경제 성장뿐 아니라 정치·문화·사회·생태 전반의 균형 발전을 지향한다”며 관련 구상을 집중 조명했다. ‘5위1체’는 경제 건설, 정치 제도, 문화 육성, 사회 보장, 생태 환경 보호 등 다섯 영역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체제를 뜻한다. 시진핑 국가주석이 2012년 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처음 제시한 이후 중국식 거버넌스 모델의 핵심 기조로 자리 잡아 왔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산업 고도화와 디지털 경제 확대를 통해 고품질 성장을 추구하는 한편 법치 강화를 통한 정치 안정, 전통 문화 계승을 통한 사회적 통합, 연금 및 의료보험 등 사회안전망 확대, 생태 레드라인 설정 등 환경 보전 정책을 병행하고 있다. 중국 당국은 이를 통해 “서구식 개인주의·자본 주도형 모델과는 다른 길을 걷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CMG는 “5위1체는 중국 전통사상인 민본주의(‘백성이 나라의 근본이다’라는 유교적 통치 이념)와 조화·절제의 철학에 기반한 구조”라며 “중국은 자국 문화에 뿌리를 둔 지속가능한 현대화를
중국 당국이 수출 성장에 강한 자신감을 내비쳤다고 중국 매체들이 전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해관총서 부서장 왕링쥔은 최근 기자회견에서 “세계 경제 성장 동력이 부족하고 보호무역주의가 심화되며 지정학적 긴장이 여전한 가운데, 중국의 대외무역 수출입 규모는 안정적인 성장을 실현했고, 발전의 질도 점진적으로 향상되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한 근거로 왕은 “1분기 중국의 수출 규모는 6조 위안을 돌파하며 6.9%의 빠른 성장을 실현했고, 압박 속에서도 강한 회복력을 보여주었다”고 해관총서 대변인 겸 통계분석사 사장 뤼다량이 분석했다. 그는 회복력은 수요, 혁신, 경쟁력 등의 측면에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국제 시장 수요 측면에서는, 1분기 전 세계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평균이 49.9%로 전 분기 및 전년 동기 대비 모두 높았다. 특히 아시아와 아프리카는 3월 제조업이 확장 국면에 있었다. 해관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위 지역 수출은 각각 7.8%, 12.5% 증가해 전체 평균보다 높았다. 1분기 중국은 170여 개국 및 지역에 대해 수출을 증가시켰다. 국내 산업 혁신 측면에서는, 중국 제조업의 고급화·지능화·친환경 전환 동력이 강했다. 선박 및 해양
‘1조 100억 위안’ 한화로 약 199조 2,730억 원 가량이다. 올 1분기 중국 상하이시의 수출입 총액이다. 큰 수치지만 전년동기 대비 3% 가량 감소했다. 미국발 관세전 발발이 조금씩 영향을 미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상하이 세관은 25일 통계 데이터를 발표했으며, 올해 1분기 상하이시의 수출입 총액은 1조 100억 위안(약 199조 2,73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 중 수출은 4622.4억 위안(약 91조 1,99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6% 증가했으며, 매월 수출이 모두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1분기 동안 상하이시 민영기업의 수출입 규모가 확대되고 증가 속도도 선도하여, 상하이시 대외무역 발전의 중요한 엔진 역할을 했다. 민영기업의 수출입은 3772.2억 위안(약 74조 4,25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1% 증가했으며, 이는 시 전체 수출입 총액의 37.5%를 차지해 비중이 7.1%포인트 상승했다. 외자기업과 국유기업의 수출입은 각각 5,171억 위안(약 102조 238억 원), 1108.4억 위안(약 21조 8,68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3%
‘등교 거부 클리닉’이 중국에서 호황을 누려 주목된다. 등교거부 클리닉은 중국 심리 치료센터에서 개설한 치료 과정이다. 대상은 개학을 앞두고 학교에 가기 싫다고 떼를 쓰는 아이들이다. 이 아이들의 심리를 안정시켜 학업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심리 치료 과정이 ‘등교 거부 클리닉’이다. 중국 당 기관지인 광밍르바오는 최근 중국 사회에 ‘등교 거부’ 아동을 대상으로 심리 치료를 하는 ‘등교거부 클리닉’이 인기를 끄는 현상을 조망하고, 아동에게 지나치게 압박으로 작용하는 교육 과정에 대한 사회적인 자성을 촉구했다. 광밍르바오는 “'학업 혐오증', '등교 거부', '수업 회피'는 들어봤지만, ‘등교 거부 클리닉’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 있는가?”라며 중국 사회 ‘등교 거부 클리닉’에 대한 소개를 했다. 기사에 따르면 올해 청명절 연휴가 끝난 첫날, 베이징 아동병원 예약 시스템에서 ‘등교 거부 클리닉’의 일주일 진료 예약이 모두 마감됐다. 보도에 따르면, 베이징 아동병원은 중국에서 가장 먼저 아동 심리 진료를 시작한 3차 병원 중 하나로, 2024년 6월 기존의 아동 심신의학과를 기반으로 ‘등교 거부 클리닉’을 별도로 개설했다. 이 클리닉은 10개월간 운영되
‘약 3조 4천억 위안’ 한화로 약 672조 3,160억 원 가량이다. 올 1분기 중국의 일정 규모 이상 문화 기업의 영업수익 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6% 이상 증가한 수치다. 중국의 문화산업은 두 자릿수의 급성장기를 지났지만, 안정적인 성장세를 구가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평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을 올 1분기 문화산업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규모 이상 문화 기업의 영업수입은 약 3조 4천억 위안(약 672조 3,160억 원)에 달했다. 1분기 전국 규모 이상 문화 및 관련 산업 기업(이하 "문화 기업")의 영업수입은 3조 3,939억 위안(약 671조 1,09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했고, 이는 2024년 연간 증가율보다 0.2%p 빠른 수준이었다. 분야별로 보면, 문화 핵심 분야의 영업수입은 2조 3,120억 위안(약 457조 1,74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 증가했으며, 이는 2024년 연간 증가율보다 0.8%p 빠른 수준이었다. 그중에서도 뉴스 정보 서비스, 창의 디자인 서비스, 콘텐츠 창작 및 제작 등 3개 주요 업종의 영업수입 증가율이 두드러졌으며, 각각 전년
‘1조 5093.6억 위안’ 한화로 약 294조 1,138억 8,960만 원 가량이다. 올 1분기 중국의 규모이상 산업 기업의 이익 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1%미만의 성장세를 보였다. 하지만 글로벌 무역환경이 갈수록 악화하는 과정에서 나름 선방을 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이다. 다만 미국발 관세전의 폭풍이 아직 몰아치기도 전에 나온 실적이라는 점에서 우려를 낳고 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1분기 산업 기업 경영 실적을 발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1~3월 전국 규모 이상 산업 기업이 실현한 이익 총액은 1조 5093.6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0.8% 증가했다. 중국 매체에 국가통계국 공업사 통계사 위웨이닝(于卫宁)은, 1분기 동안 각 지역과 부처가 중앙당과 국무원의 결정과 배치를 성실히 이행하고, 거시 정책 “조합 펀치”를 집중적으로 구사했으며, 정책 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면서 산업 기업의 이익이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되었다고 밝혔다. 특히 장비 제조업과 첨단 기술 제조업이 이익 증가를 뒷받침하는 역할을 분명히 했으며, 산업 경제의 발전이 질적·효율적으로 꾸준히 향상되었다고 설명했다. 중국 기업들의 실적이 중국 당국
‘1,336만 톤’ 중국의 올 1분기 하루 평균 석탄 생산량이다. 석탄은 중국에서 화력발전의 주 원료다. 중국의 에너지 생산이 안정적 성장을 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다만 글로벌 사회는 석탄을 활용한 화력 발전에 대해 ‘탄소제로’ 정책으로 압박하고 있다. 중국 역시 기후협약에 의거해 석탄 발전을 점진적으로 줄여가는 중이다. 데이터 산업과 AI 발전으로 전기 소비는 더욱 급증하고 있다. 중국은 물론, 글로벌 사회가 직면한 에너지 위기 현상이다. 중국은 과연 어떤 방법으로 이 같은 위기를 극복할 것인지 주목된다. 신화 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1분기 규모 이상 산업 부문의 원탄 생산량은 12억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8.1% 증가했으며, 버팀목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했다. 하루 평균 생산량은 1,336만 톤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규모 이상 산업 부문의 원유 생산량은 5,409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했으며, 천연가스 생산량은 660억 입방미터로 4.3% 증가했다. 전력 공급 구조는 지속적으로 최적화되었으며, 청정에너지 발전이 빠르게 성장해, 규모 이상 산업 부문에서 수력, 원자력, 풍력, 태양광 발전량이 총 0.7조 킬로와트시에 달해
정보서비스업, 금융업, 제조업 등이 중국 수도 베이징 경제의 3대 축으로 자리 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경제 전반의 산업구조 재편이 베이징 경제에서도 분명히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베이징완바오 등에 따르면 중국 베이징시 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올 1분기 경제 현황을 발표했다. 시 통계국 대변인 주옌난은 최근 기자회견을 갖고 정보서비스업, 금융업, 제조업 등 3대 산업이 시 전체 GDP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경제성장 기여율이 80%에 육박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정보서비스업의 부가가치는 9.2% 증가하며 주력 산업으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했다. 또 금융업은 8% 성장하며 지속적인 버팀목 역할을 했으며, 규모 이상 제조업은 6.8% 증가했다. 37개 제조업 대분류 중 20개 산업이 성장세를 보였다. 전자와 자동차 분야가 가장 큰 기여를 했다. 1분기 컴퓨터·통신·기타 전자장비 제조업은 28.0% 증가했고, 자동차 제조업은 17.2% 성장했다. 수요 측면에서는 "투자가 여전히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주옌난은 밝혔다. 1분기 베이징의 고정자산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했으며, 설비구입과 건축 설치공사 투자가 시 전체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