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4년 6월 6일은 현 중국과 프랑스의 수교일이다. 이 수교일은 중국 내 한 인물에게는 대단히 특별한 의미가 있는 날이었다. 그는 수교일에 맞춰 처음으로 주 프랑스 대사관에 근무하는 이들에게 부탁해 ‘올리버’라는 이름의 커피숍을 찾아 커피 100여 잔 값과 300갑의 중국 담배를 가져다 주도록 했다. 수교를 기념하는 예물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적은 규모였다. 도대체 어떤 인물이, 왜 이런 예물을 준비해 전달을 한 것일까? 주인공은 다름 아닌 저우언라이였다. 중국 당시의 총리,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직위에 있는 인물이었다. 그럼 그는 왜 프랑스 수교를 기념에 커피 100잔 값과 담배 300갑을 선물했던 것일까? 역시 선물이 아니었다. 그럼? 사실 저우언라이가 어린 학생으로 유학시절 얻어 마시고, 얻어 피웠던 담배를 갚았던 것이다. 여기에는 중국과 프랑스의 오랜 역사가 숨어 있다. 중국과 영국, 프랑스 등은 청나라 말기부터 은원관계가 상당히 복잡하다. 영국은 중국에 아편을 밀수해 팔아먹다 아편을 불에 태운 사건을 빌미로, 중국을 침략해 전쟁을 일으켰다. 소위 ‘아편전쟁’이라 불리는 사건이다. 아편전쟁은 1839~1842년에 1차, 1856~1860년 2차 이렇게
1. 중국 현대사에 가장 이상한 당중앙 전체회의...운명의 제8기 12중전회 1968년 10월 13일 중국 베이징에서는 열린 중국 공산당 제 8기 중앙위원회 12차 전체회의는 중국 건국 이래 가장 독특한 회의로 꼽힌다. 전체 인원의 반수도 참석하지 못한 역대 가장 적은 수의 중앙위원, 후보위원들의 회의였기 때문이다. 당대 12중전회에 참석 대상인 중국 공산당 제 8기 중앙위원회 중앙위원 수는 총 87명이었다. 본래 97명이었으나 10명이 사망했다. 후보위원 수는 98명이었다. 그런데 8기 12중전회 참석 중앙위원수는 40명, 후보위원은 더 적은 19명에 불과했다. 어찌 보면 초라할 정도의 회의였다. 하지만 이 회의는 중국 현대사에 가장 중요한, 어쩌면 가장 불행한 정치적 결정을 하는 회의였다. 중국 중앙위원회 위원과 후보위원들은 이 회의에서 자신들 손으로 뽑았던 국가주석인 류샤오치(1898. 11. 24~1969. 11. 12)에 대한 탄핵을 의결한다. 정족수도 못채운 이 회의에서 중국 현대사의 가장 불행한 사건이 결정 되는 것이다. 류샤오치가 국가 주석이 된 사연을 알면, 무슨 말인지 안다. 먼저 중국 1대 주석인 마오쩌둥이 국가주석직을 내려놓는 원인을 알
은혜를 입으면 반드시 갚아야 한다. 최소한 은혜를 저버리지는 말아야 한다. 그게 인간의 도리다. 그래서 군자는 은혜를 함부로 베풀지도, 받으려 하지도 않는다. 그 중함을 알기 때문이다. 중국 국민당 장군 출신의 황웨이(黄维: 1904~1989)는 파란만장한 인생을 산 인물이다. 그는 황포군관학교 1기 출신으로 독일 유학 중이던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귀국해 군대를 이끌고 수많은 전투에 참전했다. 일본이 패망한 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우한에 새로운 군관학교를 열고 교장을 맡았다. 국공내전이 한창이던 1948년 국민당 12군단 사령관으로 임명되지만 수개월 후 마오쩌둥의 인민해방군에 의해 포로가 된다. 황웨이는 오랜 수감 생활을 마치고 1975년 사면돼 석방됐다. 포로가 된 지 무려 27년만의 일이다.이후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전국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그는 수감 시절부터 인민해방군 군사(軍史) 연구에 전념했다. "인민해방군은 항일전쟁과 뗄 수 없는 관계"라는 말을 자주 했다. 항일전쟁에서 인민해방군의 역할을 자리매김한 게 그의 연구 성과로 꼽힌다. 어찌 보면 27년간 공산당의 감옥에서 정신개조를 받은 덕(?)이었다. 그러나 이런 개조 작업 속에서도
일본은 1931년 9월 만주사변을 일으켜 동북 3성 지역을 점령하고 청나라 마지막 황제 푸이를 앞세워 괴뢰국인 만주국을 세운다. 이후 중국 대륙에서 국민당군과 공산당군의 내전의 혼란을 틈타 1937년 7월에는 중일전쟁을 일으킨다. 중일전쟁 개전 넉 달 만에 일본은 상하이를 점령하고 당시 국민당 정부의 수도인 장쑤성 난징까지 진격해 난징 시민들을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무차별 살육한 '난징 대학살'을 자행한다. 중국측 자료에 따르면 일본군은 그해 12월 13일부터 이듬해 1월 중순까지 난징에서 약 30만 명을 학살했다. 중국 정부는 난징 대학살 이후 77년만인 2014년 2월 27일 전국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제7차 회의에서 매년 12월 13일을 ‘난징대학살 희생자를 위한 국가 추모일(南京大屠杀死难者国家公祭日)’로 공식 선포한다. 국가급 행사로 격상된 첫해인 2014년 12월 13일 시진핑 국가주석은 추모식에 참석해 “역사는 시대가 변한다고 바뀌는 것이 아니며 사실은 교활한 말로 잡아뗀다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라며 “과거 역사의 치욕을 잊지 않고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의 길을 개척할 것”이라는 2100여 글자 분량의 연설을 했고 이 광경은 14억 인민들에게 생중계
저우언라이(周恩来)를 향한 장칭(江青)의 공격은 집요했다. 저우언라이는 겨우 피할 수 있었지만, 그의 비서들은 줄줄이 낙마를 해야 했다. 첫 공격에 쓰러진 인물은 쉬밍(许明)이었다. 쉬밍은 1919년생이다. 본래 이름은 주위쥔(朱玉筠), 주핑(竹苹)이란 이름을 쓰기도 했다. 1936년 공산당에 가입한 뒤 주로 저우언라이의 비서를 맡아왔다. 그녀는 성격이 활달하고 입바른 소리를 잘했다. 평소 모두가 좋아하는 밝은 성격이었지만, 모든 게 뒤바뀐 '문화대혁명'의 시기 바로 그 성격 때문에 장칭 일파의 분노를 사 사지로 몰리고 만다. 둘의 악연은 영화 '우쉰좐(武训传)'에서 시작된다. 문화대혁명 발발 직전 당시 장칭은 당 선전부 영화처 처장 직을 맡고 있었다. 중국의 모든 영화 등을 검열하는 직책이다. 쉬밍은 국무원 몫으로 가끔씩 영화 심의에 참여를 했다. '우쉰좐'이란 영화도 그 영화의 주인공처럼 운명이 박복했다. 그 주인공은 청말의 실제 인물이다. 글을 못 배워 지주들에게 사기를 당하기만 했던 청년이다. 그게 한이 된 청년은 20년이 넘는 세월 온갖 고생을 하며 돈을 모은다. 그 모은 돈을 들고 당대 가장 유명한 학자를 찾아가 가난한 집안의 아이들을 위한 무료
중국의 대문호 루쉰은 철저한 사실주의 글쓰기로 유명하다. 도박하는 장면을 쓰기 위해 먼저 도박을 연구해 공부했다. 현실의 모습을 작품의 품격으로 담아냈다. 나의 글쓰기는 진실을 담아내는 것, 그것에서 출발하고 그것에서 그친다.루쉰의 고백이다. 그의 글은 수많은 중국인의 가슴을 울렸다. 수억 명의 중국 청년들이 그의 글을 읽고 사회를 바꾸자는 혁명에 가담했다. 루쉰의 글은 일부 청년에겐 삶의 지표였고, 혁명 참여를 독려하는 대자보였으며, 삶을 규정하는 성스러운 경전이었다. 그런데 이런 루쉰도 피하지 못한 게 있다. 출판사와 원고료 다툼이다. 사실 어찌 보면, 원고료를 대척점으로 출판사와 작가는 오래전부터 고양이와 개의 관계처럼 본래 타고난 앙숙이었는지 모른다. 출판사는 어쨌든 원고료를 깎으려 했고, 작가는 어떻게든 원고료 한 푼이라도 더 받아야 했다. 1930년대 루쉰이 자주 거래하던 출판사 역시 마찬가지였다. 출판사는 원고지의 글자를 일일이 다 세어, 원고비를 지급했다. 그 출판사는 그러면서 글자에 마침표 쉼표 등의 문장 부호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당대 인기 작가 루쉰의 글 역시 마찬가지였다. 출판사의 이런 태도에 루쉰이 화가 났다. 그렇다고 점잖은 체면에
문화대혁명이 초기 증명된 사실이 있다. 단 한가지 죄명 앞에서는 그 누구도 무사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바로 '반역죄'였다. 누구든 사소한 꼬투리라도 잡아 '반역죄'로 엮이면 바로 대중 앞에서 죄를 고하고 몰락했다. 문화혁명 초기 중국 공산당 권력의 2인자였던 류샤오치(刘少奇)가 그랬고, 덩샤오핑(邓小平)이 그랬다. 반역죄의 이름으로 엮을 수만 있으면 실제 그 죄가 크고 적은지는 문제가 되지 않았다. 반역죄는 장칭(江青) 등 문화혁명 주도 세력의 가장 강력한 무기가 됐다. 죄로 엮기만 하면 수많은 홍위병들이 몰려가 자신들의 방법으로 응징을 했다. 거리를 개처럼 끌고 다니며 온갖 욕설을 했고 소위 '인민재판'을 했다. 굴욕을 견디지 못한 적지 않은 이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반역죄가 왜 그리 무서운가? 2023년 오늘의 중국에서도 마찬가지다. 여기에는 역사적인 이유가 있다. 신중국 건국 이전 국공 내전 시기였다. 이 시기 국민당은 공산당을 탄압하고 회유했다. 적지 않은 간부들이 한차례 정도는 잡힌 경력이 있고, 이 난국을 벗어나기 위해 가짜 투항을 하기도 했다. 국민당은 주요 공산당 간부들 명의로 신문에 가짜 전향서를 발표하곤 했다. 공산당 내부의 갈등을 유
한 사회 조직의 내부 비리를 발본색원할 수 있는 고발함은 누가 언제 발명했을까? 여러 설이 있지만, 한나라 때 발명됐다는 게 인정받는 설 중 하나다. 서한의 조광한(趙廣漢)이 만들었다는 것이다. 대략 기원전 74년이다. 당시 지역 토호와 중앙 귀족이 손을 잡고 지역 행정을 농단하자, 조광한이 이를 개혁하기 위한 방법으로 만들었다는 것이다. 내부 비리 척결에는 고발이 최고였던 셈이다. 그럼 조광한은 어떤 인물인가? 조광한은 한나라 선제(宣帝)를 옹립하는 일에 참여해 출세가도를 달렸다. 관내후(關內侯)에 봉해진 뒤 선제 때 영천태수(潁川太守)가 돼 강호(强豪) 원씨(原氏)와 저씨(褚氏) 등을 주살(誅殺)했다. 본시(本始) 2년(기원전 72) 조충국(趙充國) 등 5장군(將軍)을 따라 흉노(匈奴)를 격파했다. 다시 경조윤에 올랐는데, 자신의 직분에 충실하여 법을 집행할 때 권귀(權貴)라도 용서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 때문에 적도 많았다. 결국 나중에 일 때문에 정위사직(廷尉司直) 소망지(蕭望之)의 탄핵을 받아 요참(腰斬)을 당했다. 고발함은 그가 평원 원년(기원전 74년) 영천태수가 됐을 때 만들었다고 한다. 당시 영천 지역에는 토호들이 중앙 귀족과 결탁해 온갖 이
"국방부 긴급 전화입니다.” 1966년 12월 중순 저우언라이(周恩来)의 사무실에 전화벨 소리가 요란하게 울린다. 비서가 뛰어 들어와 보고를 한다. “국방부라니?” 놀란 저우언라이가 전화를 집는다. “지금 홍위병들이 국방부 건물로 쳐들어간다는 첩보가 있습니다.” 전화 보고를 받은 저우언라이가 긴급히 비서를 불렀다. “빨리 중앙문혁소조를 연결해!” 1966년 10월과 11월은 문화혁명의 주요 분수령이다. 장칭(江青)은 11월 초순 상하이에서 린뱌오(林彪) 등과 협력해 기존 상하이시 당위원회를 완전히 뒤집어엎는데 성공한다. 9일에는 상하이에 왕훙원(王洪文) 등을 수뇌로 하는 상하이혁명조반총사령부가 성립된다. 마오쩌둥(毛泽东)의 후계자로까지 성장하는 왕훙원이 정치 무대에 본격적으로 등장을 하는 것이다. 소위 문혁 사인방이 이때부터 형성된다. 왕훙원 등 사령부 대표들은 10일에는 베이징에 관련 보고를 하겠다고 기차를 탈취해 북상을 시도하다 혁명적 행동임을 인정받기로 하고 되돌아간다. 이제 상하이는 장칭 등 중앙문혁소조 손에 떨어진 것이다. 문혁 사인방의 조정을 받은 홍위병의 공격 대상은 이뿐이 아니었다. 진정한 목표는 베이징이었다. 그것도 총칼로 무장한 군대를 관리
2022년 기준으로 중국 고속철도의 길이는 총 4만㎞가 넘는다. 지구 한 바퀴를 도는 거리다. 중국 철도 당국은 이를 2035년까지 7만㎞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중국을 '고속철의 왕국'으로 꼽기에 주저하지 않는다. 사실 중국의 '일대일로' 계획이라는 것도 단순히 보면, 중국과 유럽을 철도로 연결하자는 것이다. 이런 중국 철도의 시작은 어땠을까? 세계에서 가장 짧았다면 믿을 이가 몇이나 될까? 중국의 첫 철도는 운행 구간이 매우 짧았다. 중국 자료에 따르면 중국 첫 철도는 1865년 베이징 선무문 인근에 설치됐다. 그런데 길이가 불과 500m였다. 버스 한 정거장 거리 정도였다. 중국 최초의 철도는 오래가지 못했다. 불과 며칠 뒤 바로 철거가 됐다. 도대체 무슨 사연이 있었을까? 아편전쟁 이후 중국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기 시작한 영국, 프랑스 등 서구 열강들이 볼 때 중국은 철도가 필수적인 나라였다. 국토가 넓기도 했지만, 사람이 많았다. 그 많은 사람들이 이동하기에 철도만큼 적절한 수단이 없었다. 막대한 수익을 안겨줄 거대한 철도 시장이 나타나자 열강들은 서로 먼저 청나라의 철도 산업을 장악하려고 시도했다. 하지만 웬걸? 청나라 관료들은 철도에 조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