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정보기술, 첨단 설비 제조, 신에너지 신소재, 현대 해양 산업, 실버 헬스케어, 첨단 화학공업, 현대 농업, 프리미엄 관광 산업, 현대 금융 서비스, 현대 경공 방직업' 중국 산둥성이 내세우는 지역내 10대 주요 산업이다. 산둥성은 이들 산업을 집중으로 육성해 지역 발전을 꾀한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10대 산업들의 지난 2023년 한 해 전년 대비 매출 성장률이 6%에 육박했다. 중국 산둥성 정부가 6일 발표한 '2023년 산둥성 세수(稅收)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산둥성 10대 산업(十强产业 - 차세대 정보기술, 첨단 설비 제조, 신에너지 신소재, 현대 해양 산업, 실버 헬스케어, 첨단 화학공업, 현대 농업, 프리미엄 관광 산업, 현대 금융 서비스, 현대 경공 방직업)의 매출이 전년 대비 5.7% 증가했다. 특히 차세대 정보기술(11.6%), 첨단 설비 제조(14.6%), 현대 해양 산업(11.0%), 프리미엄 관광 산업(18.7%), 현대 금융 서비스 산업(19.2%) 부문이 성장을 주도했다. 디지털 경제 핵심 산업의 매출 수익은 전년 대비 6.8% 증가하였으며 특히 소프트웨어와 정보 기술 서비스업(16.5%), 인터넷 서비스업(15.
'8.7%' 지난 2023년 중국 기계공업 부가가치의 전년 대비 증가폭이다. 현재 중국 경제는 침체와 회복의 두 가지 신호를 모두 보내고 있다. 부동산 경기만 보면 중국 경제는 침체가 확실해 보이지만, 다른 산업의 전년 대비 성장세를 보면 코로나19 불경기를 딛고 회복하는 모습이 분명하다. 하지만 글로벌 경제 분석가들은 중국 당국의 통계를 신뢰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실제 지난 2023년 중국 각지의 GDP 수치를 보면 오류가 많다. 일단 중국 기계공업 관련 단체가 통계를 낸 부가가치는 9%에 육박하는 성장을 했다. 중국기계공업연합회(中国机械工业联合会, CMIF)가 5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기계공업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8.7% 증가했다. 예딩다(葉定達) 중국기계공업연합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에서 "지난해 중국 기계공업은 안정적으로 성장했을 뿐 아니라 성장 동력과 무역 구조도 질적으로 개선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중국 기계공업 부가가치 증가율은 중국 전체 공업의 성장세(4.1%p) 및 제조업의 성장세(3.7%p)보다 높았다. 기계공업의 핵심 분야가 관련되어 있는 5대 산업의 부가가치가 모두 증가하였는데 특히 전기 기계와 자동차가 성장을
지난해 글로벌 금 수요가 13년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중국내 금 장신구 소비액 또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세계금협회(WGC)가 최근 발표한 '글로벌 금 수요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금 수요는 총 4899t으로 201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제 금 가격은 2023년 내내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에서 등락세를 보였다. 지난해 평균 금 가격은 온스당 1940.54달러로 2022년 대비 8% 상승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중국내 금 장신구에 대한 수요는 전년 대비 10% 증가한 630t에 달했고, 금 가격 인상으로 인해 중국내 금 장신구 소비액은 2820억 위안(약 51조 9528억 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왕리신(王立新) 세계금협회 중국 CEO은 올해 1분기의 금 장신구 수요는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제(春節, 설) 연휴로 인해 반짝 늘어날 수 있지만 금 가격 인상, 경제 성장 둔화, 혼인 예물용 금 수요 감소 등으로 인해 이후 꺾이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4분기 중국내 금 장신구 수요는 148t으로 전기 대비 4% 하락했다. 이는 최근 10년간 4분기 평균값인 170t보다 17% 줄어든 수치이다. 한편 중국 인민은행
지난해 중국 서비스 무역액이 전년 대비 10% 증가한 6조 5754억 위안(약 1,219조 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글로벌 경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이다. 현 글로벌 경제 질서는 미국의 경제 규모가 글로벌 경제에서 50% 이상을 차지할 때 만들어진 것이다. 당시 미국은 금본위 제도를 토대로 글로벌 경제를 주도했지만, 사실상 금 태환 요구를 들어주지 못하면서 부도를 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마불사'로 글로벌 각국은 미국 정부의 약속만으로 미국 달러 통용을 인정하는 조치를 취한다. 그것이 오늘날 글로벌 통화질서인 '브레튼우즈 체제'다. 1일 중국중앙TV(CCTV)가 상무부 자료를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서비스 수출액은 전년 대비 5.8% 하락한 2조 6856억 위안(약 498조 원), 수입액은 24.4% 증가한 3조 8897억 위안(약 721조 원)을 기록해 무역 적자가 1조 2041억 위안(약 223조 원) 발생했다. 상무부는 지난해 지식집약형 서비스 무역이 빠른 속도로 성장했다는 점이 고무적이라고 평가했다. 지난해 지식집약형 서비스 무역액은 전년 대비 8.5% 증가한 2조 7193억 위안(약 504조 원)을
중국의 제조업 PMI(구매관리자지수)가 3개월 만에 반등했다. 하지만 아쉽게도 경기 회복을 의미하는 50을 넘지는 못했다. 중국 경제는 침체와 회복의 갈림길에서 배회하는 상황이다. 제조업 PMI는 그 동안 수개월간 줄곧 하락해 침체 우려를 더했다. 그나마 추세의 전환이라는 점에서 중국 경제를 지켜보는 이들에게 긍정적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31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1월 제조업 PMI는 전월 대비 0.2 상승한 49.2를 기록했다 제조업 PMI를 구성하는 13개 하위지수를 보면 전월 대비 생산지수, 신규수주지수, 신규수출주문지수, 완제품재고지수, 구매량지수, 수입지수, 공급자배송시간지수가 상승했다. 반면 잔고지수, 구매가격지수, 공장가격지수, 원자재재고지수, 직원지수, 생산운영활동기대지수는 하락했다. 산업 부문별로 보면 장비 제조업 PMI는 50.1%로 전월보다 0.1%포인트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5개월 연속 확장세를 유지했다. 첨단기술 제조업 PMI는 51.1%로 전월보다 0.8%포인트 상승했다. 소비재 제조업 PMI는 50.1%로 전월보다 0.7%포인트 상승했다. 기초원자재산업 PMI는 47.6%로 전월 대비 0.2%포인트 상승해 2개월 연속
'5조 5803억 위안' 한화로 약 1032조 원이다. 지난 2023년 중국 후베이성의 GDP다. 전년 대비 6% 증가했다. 이는 중국 전국 평균 대비 0.8%포인트 높았고 주요 경제 성 중 1위, 중부 지역 1위에 해당됐다. 후베이성은 전체 중국 성급 지역들의 경제 순위에서 수위를 차지하는 곳은 아니다. 최근 중국이 동부연안 경제도시와 내륙 도시, 장강 주변 경제권을 새롭게 연결하면서 물류 중심지로서 후베이성 경제가 거듭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30일 열린 후베이성 정부 업무 보고에 따르면 지난해 후베이성의 1차 산업 부가가치는 5073억 38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4.1% 증가했고, 2차 산업 부가가치는 2조 215억 5000만 위안으로 4.9% 증가했으며, 3차 산업 부가가치는 3조 514억 7400만 위안으로 7.0% 증가했다. 지난해 성 전체 수출입 총액은 6449억 70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5.8% 증가했다. 그 중 수출은 4333억 3000만 위안으로 4.7% 증가했고, 수입은 2116억 4000만 위안으로 7.9% 증가했다. 또 지난해 후베이성의 고정자산투자는 전년 대비 5% 증가, 소비재 총소매액은 8.5% 증가, 일반공공예산
중국 서부 내륙에 자리한 칭하이성이 지난해 중국 31개 성급 지역 중 무역 총액 성장률 4위를 기록했다. 중국 서부 발전 계획이 자리 잡는 모습이다. 중국은 전통적으로 동부 연안의 도시와 황하와 장강 중심의 내륙 도시들을 중심으로 발전한 나라다. 두 강을 따라 있는 곡창지역을 중심으로 연안의 도시들이 함께 중국 경제의 중심 골격을 형성하고 있는 구도다. 자연히 동북 3성이나 서부 내륙의 지역들은 경제적으로 낙후할 수밖에 없다. 서부 내륙에서 동북 3성으로 이어지는 곳은 농경이 아니라 유목이 전통적인 경제 수단이었다. 중국 공산당은 두 강과 연안을 중심으로 발전한 경제 과실을 서부 내륙으로 가져가는 것을 선진국 진입의 주요 관건으로 삼고 힘써 왔다. 27일 칭하이성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칭하이성의 수출입 총액은 48억 7000만 위안(약 905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0.3% 증가했다. 이는 중국 성급 지역 평균보다 20.1%p 높은 수치로 성장률 4위에 해당된다. 칭하이성은 최근 수년 간 지속적인 무역구조 개선 노력으로 21개월 연속 무역 총액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칭하이성의 수출을 견인한 양두마차로는 태양광 제품과 염호 화학 공업
'417조 3000억 위안' 한화로 약 7경7772조 원에 달하는 돈이다. 상상이 쉽게 되지 않는 막대한 금액이다. 지난 2023년 말 현재 중국 은행들의 자산 규모 총액 증가율이 전년 대비 10%에 육박했다. 중국 금융시장의 성장 속도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자본국이다. 공산당 일당독재의 사회주의국가라는 것을 믿기 힘들 정도로 민간 자본 규모가 크다. 중국은 이 같은 자본을 바탕으로 글로벌 공략에 나서고 있다. 25일 중국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은 국무원 신문판공실 기자회견에서 지난해 은행들의 자산이 전년 대비 9.9% 증가한 417조 3000억 위안(약 7경7772조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중국 은행들의 위안화 대출 규모는 22조 75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조 3100억 위안 증가했다. 또 은행들의 부채 총액은 381조 10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0.1% 증가했으며, 위안화 예금은 25조 74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5101억 위안 감소했다. 류즈칭(刘志清)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대변인은 ”지난해 중국 은행들의 자산이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지난해 말 기준 중국 상업은행들의 전체 자본충족률은 15.1%, 핵심1급
'총 4억 3500만 대' 지난 2023년 말 기준 중국의 자동차 보유대수다. 14억 중국 인구 3명당 한 명 꼴로 차량을 소유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땅이 넓어 이동수단으로 자동차가 필수다. 여기에 현대 도시생활 자체가 자동차를 생필품으로 만들어 놓았다. 출·퇴근 때 필요하고, 쇼핑과 가족 나들이에도 차량이 없으면 불편한 게 현실이다. 결국 중국 사회가 빠르게 1인 1차 시대로 나아가게 된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중국 공안부가 최근 발표한 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중국내 자동차는 총 4억 3500만 대로 나타났다. 그 가운데 신에너지차(전기차, 하이브리드, 수소차)는 2041만 대로 점유율 6.07%를 기록했다. 또 신에너지차 가운데 100% 전기로 구동하는 전기차는 1552만 대로 신에너지차 전체의 76.04%를 차지했다. 신에너지차 생산량과 판매량은 각각 958만 7000대와 949만 5000대로 전년 대비 35.8%, 37.9% 증가했다. 지난해 중국에서 새로 등록한 신에너지차는 743만 대로 전년 대비 207만 대 늘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120만 대)의 여섯 배 이상으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IT 물류 산업과 온라인 경제가 커지면서 택배 물량의 변동은 한 나라의 경제 흐름을 대변하는 대표적인 지표가 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 경제 규모가 갈수록 커지고 있는 중국에서는 특히 그렇다. 지난 2023년 중국 택배 물량 및 관련업계 매출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지난 22일 국가우정국(国家邮政局)이 발표한 지난해 물류업계 현황에 따르면 1~12월 누적 택배량은 1320억 7000만 건으로 전년 대비 19.4% 증가했다. 이는 작년 한해 중국 인구 1인당 94건의 택배를 보내고 받았다는 의미다. 1~12월 누적 택배업계 매출은 1조 2074억 위안(약 225조 원)으로 전년 대비 14.3% 늘었다. 제샤오원(解筱文) 중국물류학회 특임 연구원은 23일 중국 현지 매체 증권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택배업은 모든 국민의 일상과 직결된 것으로 각 지역과 산업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회 및 경제 발전을 알아보는 중요한 지표이며 국민 경제 운영 현황의 중요한 ‘바로미터’”라고 밝혔다. 또 “2023년 중국 택배 물량과 업계 매출 모두 두 자릿수 성장을 이뤄내 중국 택배업의 회복탄력성이 매우 높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올해도 중국내 소비 시장의 활력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