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조 5,400억 위안’ 한화로 약 874조 2,678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지난 10월 사회소비재 소매 총액이다. 전년동기 보다 5% 가까이 늘었다. 중국은 올 하반기 들어 ‘이구환신’(구형 제품 교체 지원) 정책을 펼치며 사회 소비 촉진을 독려했다. 중국 소비는 그동안 감소세를 보였으나 이 같은 정책에 힘입어 분야별로 감소폭을 줄이거나, 상승 반등하는 변화를 겪고 있다. 다만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질 수 있을지 여부는 내년 상반기까지 중국 소비시장의 변화를 더 지켜봐야 한다는 게 서방 경제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태도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지난 10월 중국 소비시장은 소비재 교체 및 일괄 증량 정책의 효과가 빠르게 발휘되면서 성장 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졌다. 중국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이달 사회 소비재 소매 총액은 4조 5,400억 위안(약 874조 2,67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했으며, 증가율은 지난달보다 1.6%p 높아졌다. 올 1~10월 동안 사회 소비재 소매 총액은 39조 9,000억 위안(약 7,683조 5,43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했다. 상품 소비 성장 속도도 빨라졌다.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10월
세계의 과학을 선도한 나라가 세계의 부를 움직인다. 과거 영국이 그랬고, 프랑스에 이어 독일이 그랬다. 최근 반세기는 미국이 그랬다. 지금도 미국 샌프란시스코 실리콘밸리는 세계 IT기술 창업의 메카다. 그 곳에서 근세 가장 부가가치 높은 산업인 IT산업의 부가 만들어지고 새롭게 움직이고 있다. 그런데 이지 그 부의 축도 바뀔 듯싶다. 먼저 과학의 리더가 바뀌고 있는 탓이다. 미국을 대체할 다음의 과학 부국은 바로 중국이다. 최근 영국 네이처지가 분석한 도시별 과학연구 수준을 보면 세계 1위는 뉴욕이 아니었다. 중국의 수도 베이징이었다. 그럼 뉴욕은 2위? 역시 아니다. 2위 역시 중국 도시, 상하이였다. 네이처지는 자연과학 분야에서 가장 권위를 자랑하는 학술 잡지다. 이 잡지가 선정한 글로벌 과학지주 상위 5위에 중국 도시들만 3곳이 랭크됐다. 한국은 10권에도 들지 못했다. 일본의 도쿄가 10위로 턱걸이 ‘톱10’에 입성했을 뿐이다. 28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영국 네이처지는 ‘자연지수-과학연구도시 2024’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전세계 과학 연구 도시 Top20 가운데 중국 도시가 절반을 차지하였다. 베이징, 상하이외에도 난징, 우한, 허페이
중국 당국이 경기회복 차원에서 꾸준한 감세 정책을 펼친 결과, 올 3분기까지 기업의 세부담이 9% 이상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의 세부담은 영업수입 100위안 당 세금이 차지하는 금액으로 표시한다. 27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기업 세무 현황을 발표했다. 세금 수치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중국 소규모 기업의 세금 부담은 1.65%로, 전년 동기 대비 9.6% 감소했다. 이 중 주요 산업의 세금 부담이 뚜렷하게 줄어들었다. 올해 3분기까지 전체의 약 40%를 차지하는 도소매업의 세금 부담은 1.09%로, 2019년에 비해 26.6% 감소했다. 건설업과 제조업 등 노동집약적 산업의 세금 부담은 각각 1.67%와 2.56%로, 2019년 대비 19.8%와 16.3% 감소했다. 중국 세무 당국은 “일련의 정책 지원 아래 전국 소규모 기업들의 세금 부담이 눈에 띄게 경감되었고, 경영이 지속적으로 개선되었으며, 활력이 효과적으로 발휘되고 발전에 대한 신뢰가 꾸준히 강화되었다”고 밝혔다. 최근 몇 년간 국가에서 대규모로 도입한 세금 및 비용 지원 정책은 강도와 범위, 정밀도가 뛰어나 소규모 기업의 세금 부담을 한층 더 경
‘2,908억 위안’ 한화로 약 56조 2,145억 원이다. 지난 10월 중국 게임 시장 매출액이다. 중국 게임시장은 단일 문화권으로 세계 최대 시장으로 꼽힌다. 중국은 게임 허가권을 통해 외국 기업들에게 ‘만리방화벽’을 세우고 있다. 진입이 그만큼 힘들다는 의미다. 27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가마 데이터는 최근 <2024년 10월 중국 게임 산업 월간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0월 중국 게임 시장의 매출은 2,908억 위안(약 56조 2,14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40% 증가했다. 그중, 중국 모바일 게임 시장의 실제 매출은 2,211억 위안(약 42조 7,408억 원)으로 전월 대비 0.51% 증가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17.07% 증가했다. 반면, 중국 클라이언트 게임 시장의 실제 매출은 558억 위안(약 10조 7,866억 원)으로 전월 대비 1.16% 감소하고, 전년 동기 대비 0.73% 감소했다. 중국 자주 개발 게임의 해외 시장 매출은 16억 700만 달러(약 2조 2,506억 원)로 전월 대비 5.63% 감소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 29.42% 증가했다. 해외 시장에서 중국 자주 개발 게임에 대한 수요는
올 들어 지난 10월말 현재 중국의 온라인 소비액이 12조 4000억 위안에 달했다. 한화로 약 약 2,400조 6,400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중국의 온라인 소비는 10월말까지 전년동기 보다 9% 가까이 늘었다. 26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온라인 소비현황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올 1~10월 전국 온라인 소매액은 12조 4천억 위안으로 전년동기 대비 8.8% 늘었다. 실물 상품 온라인 소매액은 10조 3천억 위안(약 1,994조 800억 원)으로 8.3%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은 국경절 연휴와 ‘광군제’(11월 11일) 사전 할인 행사 등의 요인, 그리고 노후 제품 교체 정책 효과가 가속적으로 반영된 덕으로 분석했다.. 특히 '이구환신' 정책 덕에 디지털 제품과 서비스 소비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상업 빅데이터에 따르면 스마트 가전 및 휴대폰 판매는 각각 14.2%, 12.2% 증가했고, 추출기(레인지 후드)와 가정용 레인지 판매는 각각 93%, 46.8% 늘었다. 네트워크 서비스 소비는 15.5% 성장했다. 전자상거래는 디지털화로 산업 벨트의 브랜드 창출과 품질 및 효율 향상을 지원했다. 가구, 가전, 여성복 등 산
중국이 산업로봇 밀도에서 독일이나 일본을 제치고 세계 3위로 올랐다. 한국은 1만명당 1000대의 로봇 사용 밀도를 보여, 세계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싱가포르였다. 산업 로봇은 노동 생산성과 직결된다. 산업 로봇의 밀도가 높을수록 노동 생산성도 높아진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본부를 둔 국제로봇연맹(IFR)이 현지 시각으로 10일 발표한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제조업 분야에서 로봇 도입 속도가 지속적으로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년 동안 중국의 산업용 로봇 밀도는 두 배로 증가하여 2023년 기준 세계 3위에 올랐다. 로봇 밀도는 가동 중인 산업용 로봇 수를 직원 수로 나눈 비율로, 각 국가의 제조업 자동화 수준을 측정하는 효과적인 지표로 사용된다. 국제로봇연맹이 발표한 '2024년 세계 로봇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전 세계 평균 로봇 밀도는 직원 1만 명당 162대로, 이는 7년 전의 두 배가 넘는 수치다. 특히 중국은 독일과 일본을 제치고 세계 3위에 올라, 제조업 자동화 분야에서의 급속한 성장세를 보인다. 최근 발표된 데이터에 따르면, 한국은 2023년 직원 1만 명당 1012대의 로봇을 사용하며 세계에서 로봇 밀도
‘1,158억 달러’ 한화로 약 162조 2,358억 원이다. 중국의 올 1~10월 간 대외 비금융 직접투자액이다. 공식 집계로 약 3000만 달러 이상 웃돌았다. 전년동기 대비 두 자릿수 증가한 수치다. 올 들어 10월말 현재까지 중국의 대외 비금융 직접투자액이 1158억 3천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화로 약 162조 1,735억 원가량이다. 전년 동기 대비 10.6% 늘어난 수치다. 중국 기업의 ‘일대일로’ 공동 건설 국가에 대한 비금융 분야 직접투자는 266억 5천만 달러(약 37조 3,126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했다. 같은 기간 동안 중국의 대외 도급 공사는 1,243억 8천만 달러(약 174조 1,444억 원)의 영업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0% 는 수치라고 밝혔다. 신규 계약액은 1,776억 5천만 달러(약 248조 7,277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 15.3% 증가했다. 이 중 ‘일대일로’ 공동 건설 국가에서의 도급 공사 영업 실적은 1,008억 2천만 달러(약 141조 1,580억 원)였다. 전년 동기 대비 0.8% 늘었다. 신규 계약액은 1,486억 4천만 달러(약 208조 1,108억 원
바야흐로 IT기술의 시대다. 글로벌을 데스크톱을 통해 하나로 엮어주는 인터넷 확산에 이어 그 인터넷을 손바닥으로 옮겨 준 아이폰이 출현, 글로벌 사회가 스마트폰만 있으면 언제든 하나로 묶여지는 사회가 된 이래 하나 된 지구촌 사람들의 수요를 찾아 만족시켜주는 IT기술 회사들이 출현 세계적인 부를 쌓았다. 대표적인 게 바로 구글이다. 지구촌 곳곳의 정보를 한 곳에 모아 수요자의 구미에 맞춰 보여주는 데 성공하면서 오늘날 IT계의 거목이 됐다. 물론 아직 세계 데스크톱의 운영체제를 석권했던 마이크로소프트가 명성을 지켜가고 있다. 데스크톱 운영체제뿐 아니라, 데스크톱에서 쓰이는 대표적인 사무 프로그램의 대명사다. 이런 회사들이 왜 주로 미국에서 나오는 것일까?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에 가장 손 꼽는 게 바로 창업 환경이다. 혁신적 아이디어를 가진 이들과 개발 능력을 가진 이들이 한 곳에서 서로 토론하며 아이디어를 실현 가능한 창업 아이템으로 만들고, 여기에 투자환경까지 조성돼 자연스럽게 하나의 사업체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이다. 바로 과학기술 혁신 환경이다. 모두가 이 같은 환경을 만들고, 보유하고 싶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같은 환경을 갖춘 도시는
‘3조 5,200억 위안’ 한화로 약 679조 7,120억 원 가량이다. 상하이시의 올 1~10월 수출입 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0.3% 증가하는 데 그쳤다. 상하이는 중국 경제의 주요 부분이다. 상하이 성장세가 둔화하면서 중국 전체의 성장세 역시 안심하기 이르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1월부터 10월까지 상하이시의 수출입 총액은 3조 5,200억 위안(약 679조 7,12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3% 증가했다. 이 중 수출은 1조 4,800억 위안(약 285조 7,880억 원)으로 2.9% 증가했고, 수입은 2조 400억 위안(약 393조 9,240억 원)으로 1.6% 감소했다. 무역 적자는 5,559억 1천만 위안(약 107조 3,462억 원)으로 12% 축소되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가공 무역의 수출입은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되었다. 1월부터 10월까지 상하이시는 일반 무역 방식으로 2조 900억 위안(약 403조 5,790억 원)을 수출입하며 0.1% 늘었다. 이는 동기간 상하이시 수출입 총액의 59.4%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가공 무역 방식으로 4,832억 3000만 위안(약 93조 3,117억 원)을 수출입하며
베이징시의 올 1~10월 사회 소비품 총액이 전년보다 1.3% 줄었다. 중국의 소비부진의 현상이 베이징시 통계에서 극명하게 보여지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특히 10월에는 중국 당국이 소비촉진을 위해 벌인 ‘이구환신’(구형제품을 신형으로 교환 지원) 정책이 실시돼 그 결과가 반영된 달이다. 정책 효과가 나오기는커녕 오히려 감소세를 기록한 것이다. 21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베이징시 통계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베이징 소비재 시장 운영 현황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10월에는 소비재 교체 장려 정책과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판촉 활동에 힘입어 베이징 소비재 시장이 일부 회복세를 보였다. 1~10월 동안 베이징시의 사회 소비재 소매 총액 감소폭이 축소되었으며, 특히 온라인 소매가 빠르게 성장하며 비중이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고급 소비재 위주의 소비가 이뤄지는 특징을 보였다. 1~10월, 베이징시는 사회 소비재 소매 총액 1조 1,590억 위안(약 223조 1,422억 원)을 달성해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했다. 다만 감소폭은 3분기 대비 0.3%포인트 축소되었다. 이 중, 한도를 초과한 도·소매업과 숙박·요식업의 온라인 소매액은 4,704억 8천만 위안(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