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인재가 미래다.’ 국가나 도시나 마찬가지다. 젊은 인재들이 모여야 그 중에서 더 뛰어난 지도자가 나오고, 나라와 도시의 발전을 이끌 수 있다. 결국 사람이 최고인 것이다. 사람, 노동력이 한 나라, 한 도시의 잠재성장률을 좌우한다. 그럼 중국에서 젊은 인재들이 가장 많은 곳은 어딜까? 베이징, 상하이? 모두 중국 젊은 인재들이 모인 도시들이지만 1위는 아니었다. 1위는 선전이었다. 선전은 과거 홍콩의 위성도시 격이었다. 홍콩의 자본가들이 몰려들어 홍콩보다 싼 땅에 공장을 세우고 홍콩보다 싼 노동력을 대거 활용했다. 지금은 홍콩을 능가하는 중국 최고의 IT^바이오 기술도시가 됐다. 중국판 실리콘밸리라는 소리까지 나온다. 4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즈리옌 자오핀과 저핑홍관은 최근 공동으로 ‘2024년 중국 도시 인재 유치력 순위’를 발표하였다. 이번 순위를 살펴보면 ‘95호우’(95년도 이후 출생한 세대)인재는 동부 지역에 밀집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강 삼각주와 주삼각 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지역별로는 올해 95이후 인재가 동부에 크게 모여들었고, 동부 지역의 95이후 인재 순유입률은 약 17%로 전국 전체 유동 인재의 14%보다 훨씬
‘트래픽 만을 위한 싸구려 글쓰기다.” Vs “고통스러운 창작의 결과물이다.” 중국에서 ‘온라인 판타지’ 장르에 대한 갑론을박이 거세다. 사실 중국에서 글쓰기란 영어나, 한글의 글쓰기와는 큰 차이가 있다. 본래 중국어는 구어와 문어가 완전히 구분되는 언어다. 표의문자적 특성 때문이다. 발음으로 단어가 의미를 지니는 게 아니라 한 글자 형태가 의미를 지니는 문자라는 의미다. 자연히 한 발음에 여러 의미가 있을 수 있다. 이런 한자 특성을 최대한 살리는 게 중 문학의 특성이다. 구어는 가능한 짧게 문장을 구성하며, 발음 구분을 해주기 위해 두 자 이상의 한자로 한 단어를 구성하는 방식이 활용된다. 바로 이런 한자 특성 때문에 중국어 문장은 따로 의성어나 의태어 없이 뜻을 전달하면서 그냥 단어나 문장 효과에 걸맞는 한자를 쓰는 것만으로 의성, 의태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만큼 중국어 문장은 짧으면서 생동감이 넘치는 게 특성이다. 예컨대 “물이 꿀렁꿀렁 흘러온다”로 한글에서는 의성이나 의태를 넣어 동작으로 부가적으로 설명해야 하지만 중국어는 “滚滚来”(gungunlai)구르다는 동사로 뜻을 전하면서 ‘꿀렁꿀렁’이라는 의성, 의태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이다. 잘
‘글로벌 무역전’의 전운이 갈수록 짙어지는 가운데 중국이 글로벌 인재 확보에 온 힘을 다하고 있어 각국의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IT 기술 분야에서는 인재가 향후 경쟁의 승패를 좌우하는 관건이다. 중국 기업들의 글로벌 인재 확보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 미국의 중국에 대한 IT기술 개발 억제가 심해지면서 중국의 글로벌 인재 확보전도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최근 화웨이를 필두로 하는 다수의 중국 첨단기술 기업이 외국 과학기술 인재를 최대 3배까지 끌어들이고 있다. 대상 인재들을 보유한 각 국은 핵심 기술 보호를 위해 지적재산권 유출을 우려하고 있다. WSJ는 독일 당국은 최근 반도체 핵심 부품 생산업체인 자이스SMT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중국 화웨이의 리쿠르트 행위에 대해 정식 조사에 착수했다. 화웨이의 자이스SMT 직원에 대한 리쿠르트 행위는 지난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화웨이 인사 담당자는 이메일과 전화를 통해 직원들에게 연락하고 현재 급여의 최대 3배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워싱턴 소재 싱크탱크인 허드슨연구소 선임연구원이자 전 미국 상무부 대외경제정책 차관보를 지낸 토머스
‘9억 9,000만 대’ 중국에서 올 1~10월 간 생산된 스마트폰 대수다. 중국의 스마트폰 시장의 경쟁률을 짐작케 하는 수치다. 전년동기 대비 10% 늘었다. 현재 중국에서는 2025년까지 최근 5년간 생산된 스마트폰으로 인해 만들어진 중고 휴대폰 수가 무려 60억 대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 같은 중국 스마트폰 시장의 포화상태는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3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올 1~10월 간 전자통신 제조업 생산 현황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1~10월 동안 규모 이상 전자통신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12.6% 증가해 같은 기간 산업 및 첨단 기술 제조업 증가율을 각각 6.8%p, 3.5%p 상회했다. 10월 한 달 동안에는 부가가치가 전년 동기 대비 10.5%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은 “수출이 증가세를 유지하고, 수익성이 꾸준히 개선되었으며, 투자 증가가 두드러져 전반적인 산업 발전 추세가 양호했다”고 평가했다. 통계에 따르면 1~10월 주요 제품 중 휴대전화 생산량은 13억 3,900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9.5% 증가했으며, 이 중 스
‘11조 623억 위안’ 한화로 약 2,130조 8,202억 원에 달한다. 올 1~10월 간 중국의 소프트웨어 사업 수입 총액이다. 전년 동기 대비 11.0%, 두 자릿수 증가한 수치다. 글로벌 산업은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하나 소프트 산업이고, 다른 하나는 하드 산업이다. 하드 산업은 기존 제조업이고, 소프트 산업은 온라인과 함께 센서를 장착해 기존 제조설비를 통제하는 IT기술 산업을 의미한다. 하드 산업의 효율성은 소프트 산업에 달렸다는 게 요즘 산업 트랜드다. 3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1월~10월 동안, 중국 소프트웨어 및 정보 기술 서비스 산업은 양호한 운영 추세를 보였다. 사업 수입은 11조 623억 위안(약 2,130조 8,20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0% 늘었다. 중국 매체들은 “총이익 증가율은 둔화되었으나 소프트웨어 사업 수출은 지속적으로 호조를 보였다.”고 평했다. 자료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산업의 총이익은 1조 3,357억 위안(약 257조 2,82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9% 증가했으며, 소프트웨어 사업 수출은 463억 4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소프트웨어 제품 수입은 2
중국 인민해방군에는 무슨 일이 있는 것인가? 중국 국방장관 2명이 줄줄이 부패혐의로 낙마한 데 이어 먀오화 중앙군사위원도 부패 혐의로 정직 상태로 조사를 받고 있다. 셋 모두가 중국 인민해방군을 좌지우지하는 중앙군사위원회 위원들이다. 중국은 다른 나라와 달리 군은 국가 소속이 아니라 당 소속이다. 인민해방군의 문제는 공산당 내부의 문제인 것이다. 그럼 무슨 이유일까? 왜 중국 공산당의 핵심 중 핵심인 중앙군사위원회가 흔들리는 것일까? 이야기는 가장 최근 낙마한 먀오화에서 풀어보자. 중국 국방부 대변인 우첸은 지난달 28일 기자회견에서 먀오화 위원이 '심각한 규율 위반' 혐의로 조사를 받기 위해 정직됐다고 밝혔다. 먀오화는 이미 전 위원이었던 것이다. 중국 국방부는 먀오화가 무슨 일로 조사를 받는 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먀오화는 지난 2018년 3월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중앙군사위원회 정치사업부 주임, 인민해방군선거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앞서 둥쥔 중국 국방부 장관이 부패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있었다. 중국 당국은 즉각 부인했지만, 먀오화나 둥쥔 모두가 해군 장령 출신이라는 점에서 중화권 매체들은 중국 중앙군사위원회 내부에
미국이 전자 박람회 CES에 참가하려던 중국인들의 비자가 무더기로 거부됐다. CES는 미 소비자기술협회가 주관하는 연례 무역박람회다. 세계 최첨단의 IT 기술들이 접목된 전자제품 전시가 이뤄진다. 이번 비자 거부는 중국과 기술 교류를 억제하려는 미국의 의도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 역시 사설을 통해 미국의 조치를 비난했다. 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베이징에 있는 28세의 한 테크니컬 마케터는 주중 미국 대사관에서 비자 인터뷰를 하는 동안 CES의 공식 초청장을 제시하여 전시회의 목적을 명확하게 밝혔지만 여전히 비자를 거부당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번 CES에는 1000개 이상의 중국 기술기업이 참가할 계획이며, 이는 전체 참가업체의 3분의 1에 해당한다. 관련해 양하이잉(楊海英) 일본 시즈오카대 교수는 자유아시아방송과 인터뷰에서 "미국이 중국 기업 직원들의 미국 방문을 거부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라며 "첫 번째는 중국 기업이 미국 내 전시회를 통해 선진 기술을 획득하려는 채널을 차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둘째는 중국이 다양한 채널을 통해 미국의 첨단기술을 훔칠 것을 우려하고 있다"며
의료서비스를 국가적으로 제공하는 데 성공한 나라는 한국이 거의 유일해 보인다. 한국의 공공의료 서비스는 세계적 수준이다. 미국은 상업주의 시스템을 도입해서 높은 병원비를 개인이 직접 부담해야 한다. 미국이 이 정도니, 중국은 말할 나위 없다.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인데, 공공의료 서비스 시스템은 한국에 크게 뒤져 있다. 중국은 이제야 공공의료 서비스 강화를 계획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은 아예 민영화하는 게 어떠냐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2일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국가위생건강위원회 등 7개 부처가 「의료기관 검사·검진 결과 상호 인정에 관한 지침 의견」을 발표했다. 각 지역에서 제도 설계를 강화하고 검사·검진 결과의 상호 인정 범위를 명확히 하며, 위생 건강 정보화 구축과 검사·검진 품질 관리를 강화하도록 지도했다. 중국은 지난 2021년부터 검사·검진 결과의 상호 인정과 공유를 추진하고 있다. 현재 전국적으로 24개 성에서 상호 인정되는 항목이 100개를 넘었으며, 각 지역 은 이를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 지역에서는 ‘의료검사 상호 인정’ 시스템이 도입된 후 9개월 동안 플랫폼을 통해 813만 4,100건의 검사 결과가 공유되었고,
두보의 ‘증위팔처사’ “十觞亦不醉, 感子故意长. 明日隔山岳, 世事两茫茫.” (십상이부취, 감자고의장. 명일격산악, 세사량망망) “마셔도 마셔도 취하지 않는 건 그대와 우정이 깊고 깊은 때문. 친구여! 내일 우리 다시 각자 길을 가면 언제 다시 볼까 세파를 그 누가 알리요!” 어린 시절 친구를 20년이 지나 다시 만났다. 그리고 나눈 술 잔, 이 술이 도무지 취하지 않는다. 아니 취하지 않은 게 아니라 취해서 취한 줄 모르는지 모른다. 두보의 감성이다. 두보는 본래 ‘빈잔 술에 취하는’ 시인이다. 그의 감성은 이성 속에 있고, 차분함 속에 깊은 분노도, 격정도 감추고 있다. 제목은 ‘증위팔처사’(赠卫八处士:위팔처사에게 주다)다. 759년 당 숙종 건원 2년에 쓰였다. 두보가 화주 사공참군사로 강등돼 부임할 때다. 758년 겨울 두보는 상소를 잘못 올린 죄로 직을 강등당했다. 두보는 부임전에 낙양의 옛집을 찾는다. 759년 3월 구절도사의 군대가 업성에서 대패를 하면서 두보는 길을 돌아 부임지로 가게 된다. 당시 봉선현의 위팔처사의 집은 이 노정에 있었다. 그렇게 두보는 옛 친구를 우연히 다시 만나게 되는 것이다. 위팔처사는 위씨 집안 여덟째라는 뜻이다. 처사는
‘1조 1,298억 위안’ 한화로 약 217조 6,559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중국의 올 1~3분기 간 광고업계 주요 회사인 857곳의 수입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6% 이상 는 수치다. 중국의 광고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틱톡 등 플랫폼을 통한 글로벌 시장으로 발돋움한 지 오래다. 광고회사들은 이 같은 플랫폼 성장에 힘입어, 중국 국내외 광고 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다. 2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공식 위챗계정 ‘시설신어’를 통해 올해 3분기까지 중국 광고업계 주요 회사들의 경영 현황을 발표했다. 조사 대상에는 중국 광고업계 857개 기업 및 사업 단위가 포함됐다. 조사 결과, 올해 3분기까지 이들 단위의 광고 사업 수입은 1조 1,298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했다. 올해 3분기까지 주요 기업 및 사업 단위의 인터넷 광고 수입은 4,994억 5,000만 위안(약 96조 2,19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4% 늘었다. 그중 모바일 인터넷 광고 수입은 4,563억 4,000만 위안(약 87조 9,13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3% 증가했다. 전통 미디어도 광고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했다. 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