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8억9000만 위안' 한화로 약 21조 원이다. 중국 초상은행의 3분기 순이익 규모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이 7%에 육박한다. 평균 자본 순이익률(ROAE)가 무려 20%에 가깝다. 국내 1위 은행인 KB국민지주의 올 3분기 당기수익은 1조3737억 원이다. 초상은행의 15분의 1 수준인 것이다. 중국의 은행들은 규모면에서 세계적인 수준이다. 문제는 은행의 돈이 어떻게 실물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느냐하는 점이다. 본래 은행은 대출로 남의 부실을 기회로 돈을 번다. 하지만 실물경제가 망가지면 역시 가장 치명적인 타격을 받는 곳이 바로 은행이다. 중국은 현재 부동산 부문의 부실 누적으로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이다. 초상은행의 승리의 팡파르가 언제까지 울릴지 두고 볼 일이다. 27일 중국 초상은행의 3분기 실적이 발표됐다. 데이터에 따르면, 초상은행의 3분기 순이익은 1138.9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2% 증가했다. 평균 총 자산이익률(ROAA) 및 평균 자본 순이익률(ROAE)은 각각 1.46% 및 17.38%를 기록했다. 3분기말 기준 초상은행의 자산 총액은 10조 6700억 위안으로 작년말 대비 5.22% 성장했다. 총 대출 총
1위 포르쉐, 2위 BMW, 3위 랜드로버 중국 소비자들이 꼽은 자동차 브랜드 신뢰도 순이다. 유럽 차종에 대한 중국 자동차 소비자들의 충성심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외로 한국에서 인기인 벤츠는 볼보보다 낮은 5위에 랭크됐다. 시장조사업체 J.D. Power가 2023년 중국 고급 승용차 브랜드 소비자 신뢰도 순위를 최근 발표했다. PP100(차량 100대당 불만 제기 건수) 기준 신뢰도 순위 Top 10 자동차 브랜드는 다음과 같다. 1위 포르쉐(保时捷) 137 2위 BMW(宝马) 140 2위 랜드로버(路虎) 140 4위 볼보(沃尔沃) 148 5위 메르세데스-벤츠(梅赛德斯-奔驰) 150 6위 캐딜락(凯迪拉克) 162 7위 아우디(奥迪) 167 8위 렉서스(雷克萨斯) 179 9위 링컨(林肯) 199 10위 푸젠벤츠(福建奔驰) 202 고급 승용차 브랜드에서 포르쉐는 전년 대비 PP100가 1개 늘어난 137개로 1위를 차지했다. BMW와 랜드로버는 공동 2위를 차지했다. 랜드로버는 북미 시장 대비 중국 시장에서는 상위권을 유지했다. 볼보와 메르세데스-벤츠는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으며, 소비자 충성도가 높은 렉서스는 의외로 PP100이 평균 이하를 기록
'회복이냐, 침체냐' 중국 경제가 기로에 서 있다는 게 글로벌 경제 분석 기구들의 우려다. 중국 소비 증가세가 둔화했다는 게 물가 후퇴로 나타나고 있으며, 무엇보다 부동산 시장 붕괴 우려가 중국 경제를 무겁게 짓누르고 있는 탓이다. 중국 가계 자산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게 부동산이다. 부동산 가격 하락은 중국 가계 자산의 감소를 의미하게 되고, 자연히 자산 규모가 줄어든 중국 가계는 소비를 더욱 줄이게 되면서 경기 침체의 악순환 고리로 빠져들게 되는 것이다. 물론 반대의 사인들도 적지 않다. 무엇보다 최근 중국 각 지역 성들의 경제 성장률 규모가 안정적인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 저장성의 대외 무역 역시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저장성의 수출입 총액은 3조 7000억 위안(약 686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해 광둥성, 장쑤성, 저장성, 산둥성, 허난성, 쓰촨성 등 6대 경제 성 중 1위를 차지했다. 그 중 수출은 2조 7100억 위안으로 4.4% 증가했고, 수입은 9816억2000만 위안으로 6.8% 증가했다. 특히 3분기 저장성의 수입, 수출 규모는 모두 역대 분기 최고치
중국의 스마트폰 출하량이 매년 감소세다. 중국은 글로벌 최대 스마트폰 시장이다. 그 시장의 신규 수요가 그만큼 줄어든다는 의미다. 스마트폰은 글로벌 사회 반도체 사용을 급속히 늘렸다. 스마트폰이 등장하고 나서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나 온라인에 접속해 있는 상태가 됐다. 스마트폰 소유자들의 다양한 활동은 그것이 오프라인이든 온라인이든 기록돼 빅데이터가 됐다. 인류의 모든 것이 기록되는 시대가 된 것이다. 하지만 스마트폰 시장은 이제 급속도로 정체 국면을 맞고 있다. 물론 아직 글로벌 사회 스마트폰 사용의 범주에 들지 못하고 온라인 접속이 불가능한 지역이 여전히 있다. 예컨대 아프리카 국가들이 그렇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 사회가 글로벌 사회에 포함되는 데는 여전히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일단 이미 충분한 규모의 경제를 일궈낸 온라인 글로벌 사회가 그 소외 지역까지 포함시키려는 노력을 적극적으로 하지 않고 있다. 간단히 '돈이 안 되기' 때문이다. 중국 스마트폰 시장이 보여주듯 스마트폰 시장은 이제 새로운 기술 혁명, 또 다른 의미의 '아이폰'이 등장하기 전까지 정체 국면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Canalys)가 올해 3분기 중국 스마트폰
중국인이 우유를 마시면 글로벌 우유값이 오른다. 중국 인구의 소비 규모를 보여주는 말이다. 중국인들이 일제히 금에 관심을 쏟기 시작했다. 본래 금은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꼽힌다. 인류가 탄생이래 지금까지 추구해온 가치생활에서 금의 가치는 한번도 '제로(0)'가 된 적이 없다는 의미다. 중국인이 금에 관심을 쏟으면서 글로벌 금값도 상승세를 타고 있다. 25일 중국황금협회에 따르면, 올해 1~3분기 중국의 금 생산량과 소비량은 전년 동기 대비 모두 증가했다. 1~3분기 중국의 금 생산량은 271.248t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61t(0.47%) 증가했다. 금 소비 측면에서 살펴보면, 1~3분기 중국 경제가 지속적으로 개선되면서 금 수요도 확대됐다. 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금은 및 보석류 소매 판매 증가폭이 다른 카테고리 상품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1~3분기 중국내 금 소비량은 835.07t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2% 증가했다. 그 중 금 장신구는 552.04t으로 전년 동기 대비 5.72% 증가했으며 금괴 및 금화는 222.37t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98% 증가했다. 1~3분기 상하이 금 거래소의 전체 금 품목 누적 거래량은 3만1500t으로
중국 생수업체 농푸산취안(農夫山泉) 창업자인 중산산(钟睒睒)이 올해 중국 최고 부호 자리에 올랐다. 중산산은 중국인 입맛을 사로잡은 뒤 수년째 중국 최고 부호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24일 후룬연구원(胡润研究院)이 발표한 '2023헝창샤오팡·후룬100대부호(2023衡昌烧坊·胡润百富榜)'에 따르면 중산산은 보유 재산 4500억 위안을 기록해 2021년부터 3년 연속 중국 1위 부호 자리를 유지했다. 중산산의 홍콩 상장 회사인 농푸산취안은 올해 상반기에 매출 2046억 위안(23.28% 증가), 순이익 57억7500만 위안(25.33%)의 실적을 기록했으며 25일 종가 기준으로 시가총액이 4900억 위안에 달한다. 2위는 마화텅(马化腾) 텐센트 회장이 차지했다. 마 회장의 보유 재산은 2800억 위안으로 지난해보다 650억 위안 증가해 부호 순위에서 3계단을 뛰어올랐다. 3위는 전자상거래 플랫폼 핀둬둬의 황정(黄峥) 회장이 차지했다. 그의 보유 재산은 2700억 위안으로 지난해보다 1000억 위안이 증가했으며 순위도 7계단이나 뛰어올랐다. 4위는 중국 최대 배터리 업체 CATL의 쩡위췬(曾毓群) 창업자가 차지했다. 쩡의 보유 재산은 지난해보다 200억 위안 증가
3.98조 위안 한화로 약 732조 5588억 원에 달한다. 지난 9월 중국의 소비재 소매 총액이다. 전년 동월 대비 5%이상 성장했다. 중국 상무부 소비진흥국이 9월 중국 소비 시장 현황 데이터를 24일 발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9월 중국의 소비재 소매 총액은 3.98조 위안으로 전년 동월 대비 5.5% 증가했다. 증가율은 8월 대비 0.9포인트 증가해 지속적으로 회복되고 있다. 올해 1~3분기 소비재 소매 총액은 34.2조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8% 증가했으며, 3분기 최종 소비 지출의 경제 성장에 대한 기여율은 94.8%였다. 9월 상품 소매 판매는 안정적으로 성장했다. 제품 소매 판매액은 전년 동월 대비 4.6% 증가하여 증가율이 8월과 대비했을 때 0.9포인트 증가했다. 상품 소매 판매를 품목별로 살펴보면 곡물, 식품 및 음료 등이 전년 동월 대비 각각 8.3%, 8.0% 증가했다. 신에너지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7.7% 증가해 신차 판매량의 31.6%를 차지했다. 스포츠 및 오락용품 및 금은 주얼리는 각각 10.7%, 7.7% 증가했다. 9월 서비스 소비도 대폭 늘었다. 중추절, 국경절 연휴가 맞물리면서 요식, 숙박, 여행 교통
기업의 단순한 회계관리를 넘어 인적·물적·자원관리까지 한 곳에서 처리하는 게 바로 ERP(전사적자원관리) 시스템이다. 현대 기업은 이 시스템이 없으면 제대로 작동하기 힘들다. 과거처럼 인사관리 따로, 재고관리 따로, 매출관리 따로 하는 식이면 조직 운용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하지만 ERP 시스템이 있으면 조직의 밸류 체인이 단순해지고 그 속도가 빨라지게 되는 것이다. ERP 시스템은 현대 기업들이 데이터와 현실의 통합을 가속화하고 디지털 경제를 발전시키는데 크게 기여하는 셈이다. 물론 어떤 ERP 시스템을 쓰느냐에 따라 기업의 경쟁력이 달라지게 된다. 한국도 그렇지만, 중국에서도 ERP시스템 산업 분야의 경쟁이 치열하다. 중국 현지 매체 용저우신원망(永州新闻网)이 23일 '2023년 중국 10대 ERP 시스템 브랜드 순위'를 발표했다.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SAP 2위 Oracle 3위 Microsoft 4위 즈팡궈지(智邦国际) 5위 Kingdee(金蝶) 6위 용요우(用友) 7위 SAGE 8위 딩지에소프트웨어(鼎捷软件) 9위 Epicor 10위 Infor 독일에 본사를 둔 SAP는 ERP 시스템 구축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
중국 물류량의 증가는 한 해 1000억 번째 배달되는 택배가 언제 이뤄지는지를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올해는 지난 23일 중국에서 1000억 번째 택배가 배달됐다. 이는 작년보다 39일 빠른 것이다. 중국은 전체 인구가 14억 명으로 택배 물량이 상상을 초월한다. 중국의 인터넷 경제가 발전하면서 택배 물량은 매년 빠르게 증가하는 모양새를 유지하고 있다. 23일 중국 국가우정국에 따르면 1000억 번째 물품은 전자상거래 플랫폼 징둥닷컴 칭다우 물류단지에서 발송된 다운재킷으로 알려졌다. 택배 물량은 중국 소비 증가를 보여주는 지표이기도 하다. 그만큼 인터넷 매매가 늘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실제 중국 택배 시장은 올해 들어와 급속히 증가해 이미 지난 3월 월간 택배 물량이 100억 개를 돌파했다. 월평균 택배 시장 규모는 900억 위안(약 16조 6356억 원)을 넘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가우정국 특송관리부 앙페이 국장은 "올해 회복 단계인 거시 경제가 택배 산업 발전의 모멘텀이 되었다"며 "국내 택배 운송 및 분류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일대일로 국가 지역에서의 물류 허브 및 창고 확충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빅데이터 플랫
중국의 주류 가전이 TV에서 냉장고로 그 축을 욺기고 있다. 사실 TV, 냉장고, 세탁기를 흔히 3대 가전이라고 한다. 일반 가정집에 이들 가전 제품은 없으면 안되는 것으로 꼽힌다. 그만큼 현대생활에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다. TV는 대체로 거실 가운데에 놓여져 온 가족이 보게 된다. 집안 인테리어에 있어 가장 먼저 눈에 띄게 되는 전자 제품이다. 자연히 TV는 크고, 웅장한 프리미엄 가전으로 제일 먼저 자리를 잡았다. 다음이 냉장고다. 냉장고는 거실의 바로 옆인 부엌 가장 눈에 띄는 곳에 자리 잡는다. 가족들이 항상 오가며 냉장고에 보관된 음식과 음료 등을 섭취한다. 만약 손님이 와서 주방에서 식사를 하게 되면 역시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다. 마지막으로 세탁기는 사실 그동안 소음 문제, 용량, 기능 문제가 주된 것이었다. 하지만 최근 현대인의 생활이 더욱 단조로워지면서 세탁기 역시 프리미엄 디자인이 중시되고 있다. 중국의 국민생활 여건이 향상되고 인터넷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가전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TV에서 냉장고로 바뀌고 있다. 최근 중국 현지 매체 소후닷컴(sohu.com)에 따르면 중국 가전 시장에서 TV 판매는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