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일에 사랑스러운 딸의 첫돌을 맞아 잔치를 연다”, “새집으로 이사하여 조촐한 연회를 연다”…… 노동절 연휴 전후로 서부 지역의 한 농촌에서는 마을 주민들이 여러 잔치 초대장을 받았다. 이른바 ‘잔치 남용’의 절정기에는, 어미 돼지가 새끼를 낳아도 잔치를 열고, 집을 수리해도 잔치를 열며, 차를 사거나 병원에서 퇴원해도 잔치를 열었고, 심지어 무당 굿을 해도 ‘액막이 술자리’라는 명목으로 잔치를 열었다. 도무지 이유를 찾지 못하면, “친지들의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리며, 조촐한 술자리를 마련했다”고 둘러댔다. ‘신화시점’ 기자의 취재에 따르면, 일부 지역 농촌에서는 잔치 남용이 반복적으로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성행하고 있었고, 많은 주민들이 인사치레 때문에 경제적으로 큰 부담을 떠안고 있었다. 서부의 한 군에 사는 주민은 “하루에 11건의 잔치에 참석해야 해서 다 가지도 못하고 일부는 위챗 송금으로 대신했다”며 “그날만 해도 4천 위안(약 77만 7,000 원) 넘는 축의금을 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음력 12월부터 올해 정월 대보름까지 거의 매일 잔치에 초대받았고, 지금까지 총 3만 위안(약 582만 7,500 원) 정도를
심화된 사고력과 멀티모달 능력의 향상 덕분에, 대형 AI 모델은 학습되지 않은 새로운 유형의 시험에서도 이미 인간의 우수한 수험생 수준에 도달했다. 그럼 인공지능(AI)은 과연 인간을 넘어선 것일까? 답은 “노”라는 게 중국 매체의 주장이다. AI의 시험 통과능력은 기존 답을 정리한 것이지, 인간처럼 답을 만들어낸 것과는 차이가 있다는 지적이다. 그럼 AI의 발전은 인간에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중국 매체는 바로 우리가 지금 이 시점에서 해야만 할 고민이라고 지적한다. 이 문제를 숙고할 때 ‘AI 시대 속 인간’이 되는 게 아니라, ‘인간의 AI시대’를 맞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의미 깊은 고민과 의미 깊은 답이다. 다음은 중국 매체의 장문의 기사다. AI 대형 모델인 '도우바오(豆包)'는 올해 산둥성 대학입시 시험지를 풀어 약 690점을 획득했으며, 성적순으로 상위 80위 안에 들었다. 이는 베이징대나 칭화대 진학 가능성도 있다는 의미이며, 대형 모델이 ‘시험 스타’가 된 최신 사례에 해당한다. 여러 보고서에 따르면, 인공지능 시스템은 이미 대학 입학시험이나 기타 학문적 평가를 통과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ChatGPT는 미국의 로스쿨 및
장쑤성 홍루몽학회 회장이자 난징대학교 문학원 교수인 먀오화이밍은 최근 한 가지 속상한 일을 겪었다. 사건의 발단은 월극(越剧) 공연 중 가보옥 역을 맡은 한 젊은 배우가 인터뷰에서 “가보옥은 장자이자 장손”이라고 잘못 말한 데 있었다. 이에 대해 ‘홍학(紅學)’ 전문가인 먀오화이밍이 이 발언을 공개적으로 바로잡자, 이후 온라인상에서 계속된 악성 댓글과 비방에 시달리게 되었다. 배우가 사과한 뒤에도 이런 온라인 폭력은 멈추지 않았던 것이다. 인기인의 잘못을 바로 잡는 것도 팬들의 공격 대상이 되는 상황이 되자, 런민르바오 등 중국 관영 매체들이 이 같은 잘못된 팬덤 문화에 대해 본격적인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최근 런민르바오는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젊은 배우가 지식이나 표현에서 부족한 점이 있는 것은 있을 수 있는 일이며, 학자가 전문적인 입장에서 나서 상식적인 오류를 바로잡는 것 역시 정상적이고 건강한 사회의 상호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래는 런민르바오의 비판 내용이다. 실제로 해당 배우는 공개적으로 사과하며 “잘못을 알았고, 반드시 고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일부 팬들이 옳고 그름을 따지지 않고 사건에 휘말리면서, 일이 왜곡된 ‘팬덤
“학생들에게 주말을 돌려줘야 한다!” 중국에서 학생들에게 주말을 돌려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대학 진학 준비를 위해 주말에도 학교가 수업을 이어왔기 때문이다. 사실 중국의 교육열을 한국에 못지 않다. 어느 대학에 들어가느냐에 따라 한 인간의 인생이 달라진다. 자연히 전국 고등학교는 학생들을 좋은 대학에 진학시키기 위해 각종 사투를 벌인다. 그 중 하나가 주말 반납이다. 하지만 이 같은 경쟁이 가열되면서 일주일 하루도 쉬지 못한 학생들의 심신이 지치는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는 게 중국 매체들의 지적이다. 실제 『중국신문주간』 보도에 따르면, 4월 이후 여러 학교들이 기존의 운영 방식으로 되돌아가며 더 이상 주말 이틀 휴식을 시행하지 않게 됐다고 했다. “위에서는 정책을 내고, 아래에서는 대책을 낸다”는 관행 뒤에는 학교들이 지나치게 입시 실적을 추구하는 현실이 있었다. 교장의 업적이 대학 입시 진학률에 연계되어 있는 상황에서, 일부 학교 책임자들은 주말 휴식이 수업 진도와 질에 영향을 줄까 봐 우려했다. 많은 학부모들 또한 불만을 나타냈다. 한 학교는 주말 이틀을 쉬는데, 다른 학교는 쉬지 않으면 손해보는 건 자기 자녀라는 것이다. 한 전문가
"캠핑오면 뭘하나? 아이들은 여전히 스마트폰 속에 매몰돼 사는데…" 중국 매체들이 최근 중국에서 캠핑이 인기라면서도 캠핑까지 와서 아이들이 스마트폰 숏콘텐츠에 매몰되는 현상은 캠핑에서도 여전하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자연을 벗삼는 캠핑도 좋지만, 더 중요한 것, 특히 아이들에게 더욱 중요한 것은 캠핑으로 야외로 나가는 것 이상으로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꼬집었다. 증국 펑파이신문은 최근 “ 노동절 연휴 동안, 주변 공원에만 가보면 누구나 잔디밭 위에 빽빽하게 들어선 마치 만두처럼 가득한 캠핑 텐트들에 깊은 인상을 받았을 것”이라며 “사실 이런 풍경은 노동절뿐 아니라 매번 국경일 연휴마다 흔하게 볼 수 있는 일이 되었다. 다음은 펑파이 신문의 보도내용: 많은 시민들에게는 조금이라도 일찍 자리를 잡지 않으면 자리를 구하기조차 어려운 상황이 되어버렸고, 심지어 발붙일 곳조차 없었다. 공원 캠핑이 널리 사랑받는 이유는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다. 요즘은 풀은 푸르고 새는 노래하며 꽃이 만발한 계절로, 잔디밭에서 봄 햇살을 즐기며 드문 여유를 누리는 일 자체가 하나의 즐거움이었다. 게다가 많은 가정에게는 아이들을 집 밖으로 데리고 나와 자연을 가까이
#1. 좋은 뜻도 나쁘게. 수업 중 한 학생이 막 발표를 마치자 옆에 있던 학생이 갑자기 “6”이라고 말해 교실에 웃음이 터졌고, 다른 학생들도 일제히 따라 하면서 원래의 정상적인 수업 질서가 흐트러졌다. 쉬는 시간에는 몇몇 학생들이 게임을 하며 “너야말로 라오 6(老6)” “네가 진짜 라오 6”이라며 서로를 부르며 놀았다. 중국어에서 “6”은 길상, 행복, 평안을 상징하며, 예컨대 “육육대순(六六大顺)”이라는 표현처럼 민간에서는 숫자 ‘6’이 들어간 날을 길일로 여겨 혼례나 이사, 먼 길 떠나는 일 등을 선택하곤 했다. 하지만 요즘 “너는 라오 6”이라는 말이 미성년자 사이에서 유행하는 온라인 희롱 용어가 되었다. “완라(丸辣)”, “시고우(细狗)”, “약계(弱鸡)”, “아오리게이(奥利给)” 같은 밈과 은어들은 무슨 의미인지 알기 어렵고, 사람을 어리둥절하게 만들며, 어떤 표현은 은근히 비꼬는 의미를 담거나 저속하고 불쾌한 취향으로 가득 차 있다. 이러한 온라인 밈은 몇 가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언어가 극도로 단순하며 의미가 불분명하고, 음과 형태, 의미의 사용이 불규칙하며, 품격이 낮고 은근하거나 무의미한 경우가 많다. 많은 은어와 유행
청소 노동자에게 휴게 공간을!’ 중국에서 청소 노동자 등 소위 사회 3D 산업 근로자들의 근로환경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고조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이미 이 분야에서는 중국보다 훨씬 앞선 상태다. 중국에서는 최근 들어 이 같은 각 산업 분야 노동자들의 노동 환경 개선에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중국 사회가 고도 발전국에 진입하고 있다는 신호이다. 전문가들은 이는 중국 사회의 또 다른 변화, 즉 자유와 복지에 대한 새로운 요구가 이뤄지는 전환기에 돌입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이는 중국 현 정치 사회 시스템에 대한 가장 힘겨운 도전이 될 것이라 평하고 있다. 과연 중국은 이 과도기를 무사히 넘기고 공산당 독재체제를 유지하면서 선진 사회로 진입할 수 있을지 글로벌 사회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한 누리꾼이 대학 내 화장실 끝칸에서 청소 아주머니가 잠시 쉬고 있는 모습을 찍어 온라인에 올렸다. 좁고 답답한 공간에서 휴식하는 모습은 많은 사람들의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이에 중국 온라인에서는 “청소노동자에게 휴게공간을 마련해주자”는 주제가 논란이 됐고, 많은 이들이 청소노동자를 위한 의자, 접이식 침대 등의 휴식 시설과 함께 충전, 보관,
중국에서 ‘4+4 양성 모델’이 여론의 도마에 올랐다. ‘4+4 양성 모델’이란 (장기 임상의학 과정)’을 의미한다. 중국 대학들이 의료진 양성을 위해 내놓은 교육 시스템이다. 대학 학부에서 의대를 다니지 않아도 의사가 될 수 있는 길을 열어준 것이 바로 ‘4+4’ 시스템인 것이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시스템에 사회적인 질문이 제기됐다. 의사가 의대를 나오지도 않았는데, 그 실력을 믿을 수 있는 것인가하는 점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최근 온라인에서는 “협화 4+4이란 무엇인가”, “4+4 양성 모델이 왜 논란의 중심에 섰나” 등의 주제가 여러 플랫폼 실시간 검색어에 올랐다. 이는 최근 불거진 사회 이슈들 때문이다. 최근 베이징 중일우호병원 부주임의사 샤오페이가 다수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은 혐의로 병원으로부터 고용 계약이 해지되었다. 사건 발생 후, 관련 인물 중 한 명인 규배(전공의 수련) 의사 둥모모 또한 학습 및 경력 이력으로 인해 의혹을 받게 되었다. 둥모모가 베이징 협화의과대학 임상실습 의사이며 ‘4+4 시범 프로그램(장기 임상의학 과정)’을 졸업한 인물이라는 점이 알려지면서, 해당 교육 모델에 대한 네티즌들의 논란이 촉발되었다. 인재 양성 모델에
중국에서 이번엔 배달 라이더들의 노동환경 개선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중국은 최근 노동 환경 개선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를 내놓고 있어 주목된다. 중국 매체 펑파이는 최근 기사를 통해 라이더들은 한 건, 한 건의 노동으로 보수를 얻었고, 동시에 플랫폼에 막대한 이윤을 가져다주었으며, 플랫폼은 그들에게 더 나은 고용 조건을 제공해야 했다고 주장했다. 기사에 따르면 최근 저장성 항저우에서 뇌성마비 여성 라이더인 원징이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다. 그녀는 자강불식하며 부단히 노력했고, 비록 발걸음은 비틀거렸지만 굳건히 가정을 지탱하며 운명 앞에 고개 숙이지 않는 감동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정신은 감동을 주었고, 동시에 우리에게 이런 질문을 던지게 했다. 수많은 ‘원징’들을 위해 어떻게 더 포용적인 고용 무대를 마련해, 모든 삶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이 존엄과 보장을 누릴 수 있게 할 것인가? 배달, 택배 등 플랫폼 경제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새로운 고용 형태가 잇따라 등장했고, 이는 원징처럼 스스로의 힘으로 살아가려는 수많은 노동자들에게 기회를 제공했다. 그들은 업계에 진입해 한 건, 한 건의 배달을 통해 수입을 얻었고, 동시에 플랫폼에 막대한 이윤을 안겨주었다
중국에서 대학 개방 문제가 사회적 화두가 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대학 캠퍼스는 일상에서 개방돼 인근 주민들의 실공간으로 제공되고 있다. 일부 대학의 경우 아예 벽 자체를 없애는 경우도 적지 않다. 하지만 중국의 경우 대학내 일반인 출입을 극히 제한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이에 반해 대학 정문을 국민에게 개방해야 하며, 일방적으로 닫는 행위가 일상화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중국 매체들은 “사람 사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4월에, 일부 지역 대학들은 여전히 다양한 수준의 폐쇄 관리를 시행하며, 인위적으로 외부인의 자유로운 출입을 차단하고 있어, 국민들은 이러한 태만한 행정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대학 대부분이 국민 세금을 지원받고 있는 데 국민에게 캠퍼스 개방의 편의조차 주지 않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중국 네티즌들은 “아이와 함께 캠퍼스를 방문할 수 있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다음은 중국 매체의 주장이다: “중국 주요 대학들은 대부분 공립 대학으로, 재정 지원을 받고 있다. 이러한 자금은 국민 전체가 고등교육 사업을 지탱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국민들이 대학 캠퍼스에 들어가고자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