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흑인도 미국국민, 인종차별금지협약 준수해야...

중국은 오히려 소수민족 우대, 홍콩시위대는 국가전복 범죄인들로 차별의 범주가 아니다.

 

중국 외교부는, 미국경찰이 흑인 조지 플로이드를 살해하고, 이에 항의하는 흑인차별 반대시위를 무력으로 진압하는 미국에 대해, 흑인도 당당한 미국시민이므로 그의 생명을 존중했어야 한다며, 전세계가 인종차별의 금지를 약속한 유엔협악을 거론하며, 미국을 맹비난했다.

 

중국 외교부대변인 자오 리젠 ( 赵立坚, Zhao Lijian) 대변인은 어제 1일 정례브리핑에서, '흑인의 생명도 똑같은 생명이기에 그들의 인권도 당연히 보장돼야 한다'는 짧지만 굵은 성명을 발표했다.

 

그는 또, 미국의 소수 민족이 겪는 인종 차별은, 미국 사회의 고질병이라고 꼬집고, 이번 상황은 미국의 인종 차별과 경찰의 폭력적인 법집행의 심각성을 반복적으로 드러낸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이 날 베이징 외교부의 기자회견장에는 다른 날에 비해 더 많은 미국등 서방의 외신기자들이 참석했든데, 이 들 중 일부기자가 자오 리지엔 대변인에게, 홍콩보안법에 반대하는 시위대를 진압하는 것도 미국경찰이 인종차별 반대시위를 집압하는 것과 같지 않느냐는 날선 질문을 여러차례 쏟아내기도 했다,

 

이에 대해, 자오 리젠 대변인은 ,  홍콩 독립 시위와 미국의 흑인차별 반대시위는 성격이 완전히 다른 시위라고 못박았다.

 

그는, 홍콩의 시위대는 홍콩을 분열시키고 홍콩특별행정정부를 전복시키려는 테러활동을 자행함으로서, 홍콩 나아아 중국의 국가안보를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미국언론에 의해서도 그 성격이 백일하에 드러난 미국의 인종차별 시위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홍콩시위대를 영웅시하면서, 자국정부의 인종차별에 대해 항의하는 시위대를 폭도로 규정하고 주방위군까지 동원해 제압하는 것은, 미국의 잣대가 엉터리 이중잣대라는 것을 스스로 세계에 알리는 행위라고 질책했다.

 

그런데 미국과 국제사회는, 지난 1965년 12월 21일 자 유엔총회에서, 만장일치로 2,106호 결의로서, 모든 형태의 인종 차별 철폐에 관한 국제 협약《消除一切形式种族歧视国际公约》을 선포한 바 있다.

 

한편 중국은 56개 민족으로 구성돼 있는데,  14억 인구의 약 7%가 전부 소수민족이다.

 

중국의 소수민족은, 취학 취업등 국민의 기본권에서 있어서는 물론 실 사회생활에서도 어떠한 차별이 존재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오히려, 인구증가를 막기위해 1가구 1자녀 원칙을 제정해 수십년간 엄격시행할 때도, 한족에게만 적용시켜 한족의 1가구 2자녀나 3자녀는 호적에도 올리지 못하고 취학도 할 수 없는 등 불이익을 부여했으나, 소수민족은 2, 3 자녀들을 원하는대로 낳게 했고 취학등 기본권을 다 부여했다.

 

여기에다 대학입학시험인 까오카오(高考)에서는,  소수민족 수험생은 한족에 비해 같은 대학 같은 과를 지원할 때, 몇점 혹은 십수점 낮은 컷트라인으로도 들어갈 수 있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또 소수민족이 50% 이상 일정비율을 넘게 되면, 자치구라는 특별행정구역을 만들어 소수민족의 문자와 역사 풍습을 보존할 수 있도록 지원책도 시행하고 있다.

 

이런 중국의 시선에서 보자면, 형식적으로는 흑인이나 히스패닉 아시안을 평등한 미국시민이라며, 평등과 자유를 내세우지만, 실제 경제생활과 진학등 사회 전반에 걸친 실제적인 차별의 존재가 엄연한 미국은, 백인의 나라일뿐이라고 비난받을 소지가 적지 않은게 사실이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