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보의 ‘증위팔처사’ “十觞亦不醉, 感子故意长. 明日隔山岳, 世事两茫茫.” (십상이부취, 감자고의장. 명일격산악, 세사량망망) “마셔도 마셔도 취하지 않는 건 그대와 우정이 깊고 깊은 때문. 친구여! 내일 우리 다시 각자 길을 가면 언제 다시 볼까 세파를 그 누가 알리요!” 어린 시절 친구를 20년이 지나 다시 만났다. 그리고 나눈 술 잔, 이 술이 도무지 취하지 않는다. 아니 취하지 않은 게 아니라 취해서 취한 줄 모르는지 모른다. 두보의 감성이다. 두보는 본래 ‘빈잔 술에 취하는’ 시인이다. 그의 감성은 이성 속에 있고, 차분함 속에 깊은 분노도, 격정도 감추고 있다. 제목은 ‘증위팔처사’(赠卫八处士:위팔처사에게 주다)다. 759년 당 숙종 건원 2년에 쓰였다. 두보가 화주 사공참군사로 강등돼 부임할 때다. 758년 겨울 두보는 상소를 잘못 올린 죄로 직을 강등당했다. 두보는 부임전에 낙양의 옛집을 찾는다. 759년 3월 구절도사의 군대가 업성에서 대패를 하면서 두보는 길을 돌아 부임지로 가게 된다. 당시 봉선현의 위팔처사의 집은 이 노정에 있었다. 그렇게 두보는 옛 친구를 우연히 다시 만나게 되는 것이다. 위팔처사는 위씨 집안 여덟째라는 뜻이다. 처사는
“江碧鳥遊白(강벽조유백) 山靑花欲燃(산청화욕연)” “오늘 하얀 새가 더 하얀 건 저 강물이 더 푸르기 때문 산이 더 푸르니 이제 그 산 속 꽃도 더 피려나.” 당 시인 두보의 시다. 오언절구다. 두보는 이백과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양대 시인 중 한 명이다. 이백은 감성으로 썼고, 두보는 이성으로 시를 썼다. 이번 시는 그런 두보가 이백과 같은 감성으로 쓴 몇 안되는 시다. 시는 무르익는 봄을 느끼는 시인은 감성에서 시작된다. 고향을 그리며 매일 강가에 나가 저 하늘 저편의 고향을 그리던 시인의 눈에 갑자기 들어온 하얀 새가 그의 감성을 건드린다. 문득 그 새가 너무나 하얗게 느껴진 것이다. 저 새가 오늘 더 하얗다. 새는 어제 그 새인데, 오늘 그 새가 어찌 더 하얄까? 아 그 건 새가 바뀐 게 아니다. 강물이, 새가 날아다닌 저 강물이 더 푸르러진 탓이다. 강물이 푸르러 새도 더 하얘진 것이다. 저 꽃은 어쩔까? 오늘 저 산이 푸른데 저 푸른 산 속의 빛나는 꽃은 분명 더 빛날 것이다. 그래 봄이다. 봄이라 그렇다. 산은 푸르고 물은 파랗고 그래서 새는 더 하얗고 꽃은 더 빛난다. 그런데 이 봄이 가면, 겨울인데, 새도 꽃도 산도 저 강물도 그렇게 다시 원
시작이 있어 끝이 있고, 끝이 있어 시작이 있다. 끊을 절(絶) “끊는다.” “끝낸다.” 모두가 무엇인가에 마침표를 찍는다는 의미다. 진행되는 게 있어 가능한 일이다. “버린다.” “치운다.” 역시 무엇인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다. 있어야 없을 수 있고, 없어야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바로 있도록 하는 법이며, 또 없도록 하는 법이기도 하다. 생이란 있고, 없고의 연속인 것이다. 한자 속에는 일찌감치 이 같은 삶의 진리가 담겨져 있다. 있다는 의미가 있고나서 비로소 끝내다는 의미가 있다. 갑골자 절(絶)에 담긴 생각이다. 묶인 끈을 칼로 끊어 내는 모습이다. 본래 묶인 끈은 거래 관계를 기록한 수다. 그 거래가 끝나 끈을 끊어 내는 게 바로 절이다. 절(絶)은 한 거래의 끝이며, 비로소 새로운 끈에 거래를 맺어야 함을, 새 거래가 시작됨을 의미한다. 마치는 게 나쁜 게 아니요. 새로운 시작이 두렵기만 한 거도 아니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끝내며 어떻게 시작하느냐다. 그래서 제일 높은 것을 절정(絶頂)이라 하고 가장 큰 것을 절대(絶大)라 했다. 가장 멋있는 것을 절경(絶景)이라 하고 당대 제일을 절세(絶世)라 했다. 하지만 희망의 끝을 절망(絶望)이라 했고
세 치 혀를 위해 먹는가? 대략 9m다. 입에서 항문까지의 길이다. 음식이 들어가 맛을 느끼고, 다시 소화가 돼 영양분을 몸에 흡수하는 길이다. 그리고 남은 찌꺼기가 대장으로 몸 밖으로 배출된다. 우린 무엇을 위해 먹는가? 대부분이 세치 혀를 위해 먹는다. 맛있어야 먹고 즐기려 먹는다. 세치 혀가 맛으로 말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몸에 좋은 건 세치 혀가 아니라 그 뒤에 이어지는 길고 긴 위장, 소장, 대장에 좋은 것이다. 건강은 세치 혀에 귀를 기울이지 않을 때 비로소 얻는다. 화려한 색(色)도 화려한 음(音)도 모두 마찬가지다. 진짜 들어야할 것을 진짜 봐야하는 것을 보지 못하게 한다. 오늘날 숏폼도 다르지 않다. 다채롭고 화려한 5분의 볼거리를 위해 아니 요즘은 1분을 위해 우리는 1시간을, 반나절을 결국 인생을 소비한다. 소비가 아니다. 낭비다. 세치 혀를 위해 먹는 것은 음식의 낭비요, 1분의 볼거리에 빠져드는 것은 인생의 시간 낭비다. 그래서 “五色令人目盲, 五音令人耳聾”(오색영인목망, 오음영인이농) “오음이 눈멀게 하고 오음이 귀먹게 한다.” 한다 하는 것이다.
멍, 정말 개판이유. 개가 봐도 개판이유. 나야 좋지만, 적당해야. 이거 정말 해도 너무한 거 아니유? 주말 광화문 이야기유. 난리도 이만 저만 난리가 아니유. 몰러유? 한 번 나가 봐유. 한쪽에서는 “윤석열 물러나라”, 다른 한 쪽에서 “이재명 구속하라” ㅋ. 멍~멍! 이게 나라유? 대학교수라는 이들은 그래도 배운 이들 아니유? 그런데 뻑하면 대통령 물러나라 난리지유. 이게 문재인 전 대통령 때도 그랬지유. 참 그 때, 그 때 이유는 다 있어유. 그래도 대학교수면 대안은 있어야 할 것 아닌감유? 물러나면 어쩔건대? 그저 쪼금 지 맘에 안들면 패거리로 모여서 소리만 내면 되는 세상이다 싶어유. 패거리 세상이유. 뭐여? 당파지. 조선시대의 최대 병폐, 당파주의가 극에 달하고 있는거유. 그럼 어쪄? ㅋ, 멍! 답이 없시유. 부조리 세상유요. 뭔소리래? 그게 요즘 돌아가는 걸 보셔유. 문제가 많지유? 그런데 답이 없어유. 왜 답이 없나, 그런 이들이 나서서 시위를 하지유. 그런데 보셔유. 그 시위가 맞았으면 전 정권에서는 해결을 했어 맞지유. 그런데 못했잖여유. 더 깊이 보면, 박근혜 대통령을 탄핵했을 때 다 바로 잡혔어지유. 못했잖여유. 그래서 바꿨잖아유. 그런
3. ‘성공이냐, 실패냐’ 중국 전기차 산업은 극단적 갈림길을 놓고 달려만 간다. 중국 당국은 성공을 자신하고 있지만, 미국과 유럽은 우려도 하면서 관세부가 등의 조치로 중국 전기차 산업 질주에 제동을 걸기 위해 힘쓰고 있다. 중국 전기차 산업의 무엇이 미국과 유럽을 두렵게 만드는 것일까? 경제와 정치가 분리되지 않는 중국 사회의 특성 때문이다. 물론 미국이나 유럽 역시 모든 산업은 당국의 규제를 받는다. 규제를 위해 국민적 합의 형태인 국회의 입법 과정을 통해 법제화하는 툴도 있다. 하지만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국민적 합의기구인 국회 논의 과정을 통해 경제 각 분야의 주체들의 입장이 반영된다. 심지어 국외 기업들의 입장까지 고려된다. 이 같은 민주제도와 자유시장과 달리 중국은 당국이 모든 것을 결정하면 되는 구조다. 당국이 마음을 먹으면 국제사회에서 금기시하는 보조금 지급도 얼마든 가능하다. 실제 중국 전기차 산업은 이 같은 당국의 비호 속에 급성장했다. 당국은 급성장을 지원하면서 성장한 산업의 남다른 과실도 노리고 있다. 바로 산업정보의 정치적 이용이다. 지난 2018년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베이징이공대학을 통해 건설하고 운영하도록 위임한
악덕 기업주에 속는 건 그의 말 때문만이 아니다. 그가 가진 재산, 휘황 때문이다.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좀처럼 이해가 되지 않고 희한한 게 너무 뻔한 일에 너무 많은 사람들이 속는다는 것이다. 마치 속기로 마음먹은 사람들처럼 엉뚱한 사람의 말을 그대로 듣고, 그대로 따른다. 사실 그 말이 맞다. 속기로 마음먹은 탓이다. 모두가 나쁜 사람이라고 욕을 해도 믿고 따르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바로 그가 가진 재산, 배경의 휘황함에 취한 탓이다. 옛날 악덕 자린고비가 있었다. 먼 길을 가는 준비를 하며 잔뜩 배부르게 식사를 했다. 남은 음식을 노비에게 주는 데 반만 그 것도 아까워 반만 먹도록 했다. 노비가 울며 사정했다. “아니 먼 길을 가는 데 배가 고프면 어떻게 마차를 끌겠습니까. 좀만 더 먹게 해주세요.” 악덕 자린고비가 나무 쇄기와 밧줄을 주면서 말했다. “아 걱정 말게. 이 두 가지만 있으면 배고플 일이 없네.” 결국 그렇게 노비는 고픈 배를 안고 길을 나서야 했다. 악덕 자린고비가 말했다. “그런데 자네 길을 가다 배고프면 ‘배고프다’하지 말고, ‘배가 아프다’하게.” 노비가 “왜 그러시냐? 물었다. 자린고비가 말하길: “아 다른 게 아니라, 그래도
2. ‘전기차 시장의 미래는 중국 손에 있다.’ 중국이 추구하는 명제다. 일견하기에 성공이 눈앞에 있는 듯 하다. 손만 뻗으면 잡을 듯 싶다. 하지만 김칫국일 수 있다는 게 서구 매체들의 분석이다. 중국 전기차 산업의 위기는 이제 시작이라는 게 서구 분석가들의 지적이다. 과연 중국 전기차 산업의 위기는 이제 오는 것일까? 서구 매체들은 무엇 때문에 중국 전기차 산업의 위기를 이야기하는 것인가. 전문가들은 위기는 안팎으로 있다고 지적한다. 외부 세계의 많은 전문가들은 중국의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 능력이 과잉 생산 능력에 대해 의심하고 있다. 중국 시장도 포화상태여서 가격경쟁에 돌입했다는 것이다. 결국 가격 하락을 제조사가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무너질 수 있다는 게 이 같은 시각의 우려다. 바로 내부의 위기다. 외부의 위기는 미중갈등이다. 미국의 강력한 기술 견제가 존재하고 “60% 관세”를 이야기하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꾸며지고 있다. 관세 부담은 미국에만 있는 게 아니다. 이미 유럽은 중국 전기차에 과세를 부가키로 했다. 캐나다 역시 중국 전기차에 대해 추가 관세부가 조치를 했다. 중국 전기차가 이 같은 외우내환의 상황에서 무너진다면 그 충격은 고스란히 중
빛난다는 것은 자신을 감추는 일이다. 빛은 스스로를 드러내 보이지 않는다. 언제가 밝은 빛 그 뒤에 숨어 빛이 닿는 모든 것을 비추어 드러내고 빛나도록 하는 것이다. 빛의 밝음은 언제나 그 빛이 닿는 곳에 있지, 그 빛이 나오는 곳에 있지 않다. 자신을 감추고 남을 드러내는 것 바로 빛의 본질이다. 한자를 만든 동양에서는 진작에 빛의 본질을 꿰뚫었다. 갑골자에 그 생각이 잘 드러난다. 광(光)자는 불을 쬐는 사람의 모습이다. 앉은 사람의 머리 위로 불길이 보인다. 따뜻함과 밝음이 동시에 느껴진다. 빛이 있고 사람이 있어 그제야 느껴지는 것이다. 빛나는 모든 것은 드러나지 않는다. 모든 것을 비춰 드러나게 할뿐이다. 그래서 빛은 그 것을 느끼고 비춰져 빛나는 게 있어 비로소 빛의 존재가 빛나는 것이다. “毕竟西湖六月中,风光不与四时同。 接天莲叶无穷碧,映日荷花别样红。” (필경서호육월중, 풍광부여사시동. 접천연엽무궁벽, 영일하화별양홍.) “아 6월의 서호로구나, 그 빛이 남 다르다네. 하늘가 연잎 푸르기만 하고 비춰진 연꽃 붉디 붉구나“ 송 양만리의 시다. 빛은 비춰서 빛이 나게 하는 것이다.
‘1000만 대 생산 달성’ 중국자동차제조협회(China Association of Automobile Manufacturer)는 지난 14일 중국의 신에너지 자동차가 올해 1,000만 대의 생산을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의 고품질 발전의 새로운 단계라는 게 협회측 자평이다. 중국 자동차업체들도 향후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자신들이 주도할 것이라 자신한다. 하지만 외부의 시각은 그리 낙관적이지만 않다. 이미 중국 시장 자체가 포화상태로, 글로벌 시장은 아직 인프라가 성숙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중국 전기차는 각종 IT기술과 반도체를 이용하는 탓에 미국의 강력한 제재를 받고 있다. 과연 중국 전기차는 계속 달릴 수 있을까? 글로벌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중국 전기차 생산 1000만대 돌파 소식에 중국 언론들은 일제히 환호성을 내며 팜파레를 울렸다. 중국 매체들은 전문가 멘트를 인용해 “중국의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이 단 10년 만에 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며 지금도 여전히 활용될 수 있는 거대한 시장 잠재력이 있다”고 분석했다. 사실 중국의 환호는 개혁개방이래 자동차 산업의 발전 현황을 안다면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면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