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중국 장쑤성 난징시 화타이구(花台区)의 아파트에서 발생한 화재로 15명이 숨지고 수십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한 아파트의 화재 치고 인명피해 규모가 지나치게 큰 것이다. 중국의 아파트는 초고층에 그 규모가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대형이다. 거주 인구가 많은 상황에서 화재에 대비한 탈출구와 방재 시설 등이 제대로 갖춰져 있었는지에 중국 네티즌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은 일단 피해자들에게 심심한 위로를 전하면서 "화재 원인과 함께 서로 지나치게 가까운 창문 구조 등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24일 중국 현지 매체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이날까지 난징시 아파트 화재로 15명이 사망하고 44명이 다쳐 병원으로 이송됐다. 부상자 중 두 명은 생명이 위독한 것으로 알려졌다. 난징시 소방 당국은 화재가 아파트 1층(필로티층) 스쿠터(전기자전거) 보관소에서 시작됐다고 밝혔다. 목격자들에 따르면 전기자전거 충전 공간에서 폭발음과 함께 발생한 불이 위층으로 옮겨붙어 아파트 전체가 순식간에 불길과 연기에 휩싸였다. 천즈창(陳之常) 난징 시장은 언론 브리핑에서 "사고 원인을 철저히 조사할 것이며 엄중하게 책임을 묻겠
중국 최대 커피 프랜차이즈 루이싱(瑞幸)의 매장이 지난해 두 배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루이싱은 중국판 '스타벅스'다. 중국에 커피 문화를 주도하겠다고 나선 중국 토종 브랜드다. 중국 전역에서 큰 호응을 얻으며 세력을 끊임없이 확장하고 있다. 지난 2023년 중국 전역에서 루이싱 영업 매장의 증가율은 거의 100%에 육박했다. 23일 발표된 루이싱의 2023년 재무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루이싱 신규 매장 수는 8034개로 증가율이 97.8%에 달했다. 총 매장 수는 1만 6218개로 직영 운영 매장이 1만 598개, 공동 운영 매장이 5620개로 집계됐다. 2023년 루이싱커피의 직영점 매출은 178억 8000만 위안(약 3조 3000억 원)으로 2022년 대비 82.7% 증가하고, 공동운영 매장 매출은 62억 30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102.8% 증가했다. 이는 스타벅스 차이나의 2023년 회계연도(2022년 10월~2023년 9월) 총 매출 30억 달러를 훨씬 뛰어넘는 규모다. 지난해 루이싱은 총 102개의 신제품을 출시했는데, 그 중 8개 제품이 각각 1억 위안 이상 판매됐다. 특히 바이주(白酒) 업체인 마오타이와 협업한 '마오타이맛 라떼'는
중국의 인구 이동은 개혁개방과 함께 시작된 농촌에서 도시로의 이주다. 농촌 인구가 대거 도시로 유입돼 값싼 노동력을 제공했지만, 도시에는 빈민촌 형성 등 각종 폐단을 야기했다. 무엇보다 중국은 거주의 이전이 완전히 자유롭지 못한 나라다. 과거에는 강력한 호적제도가 있었다. 개혁개방 초기만해도 주소 이전이 사실상 불가능했다. 그런 이유로 주소는 농촌에 있으면서, 도시에 몰래 들어와 생활하는 '불법 이주'가 많았다. 이런 농촌의 도시 유입 노동인구를 '농민공'이라고 불렀다. 한국에서 불법 체류자들이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듯 중국 농민공들도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처지에서 일을 해야 했다. 이런 상황 속에 인민일보가 일본의 최근 인구 이동 상황을 상세히 보도해 눈길을 끌었다. 일본 농촌 인구 역시 도시 이주가 늘어난다는 것이다. 중국 네티즌들은 "아시아 최고 선진국이라는 일본이라고 다를 것이 없다"는 반응이다. 23일 인민일보는 일본 총무성이 최근 발표한 지난해 인구 이동 보고서를 인용해 지난해 도쿄도(東京都) 순유입 인구가 6만 8285명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3만여 명 늘어난 것으로 증가율이 무려 80%에 달했다. 총무성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술은 중국 문화에서 차(茶)와 함께 뺄 수 없는 필수불가결한 요소다. 무협영화 속에서 술잔을 나누며 우정을 논하던 협객들의 모습이 흔히 나온다. 무술가들보다 그 이상으로 술을 많이 마신 게 문인들이다. 중국 문인들 가운데는 술을 너무나 사랑해서 무덤에까지 술을 가져갔다는 이들이 적지 않다. 그들이 즐겨 찾던 술은 증류주로 알콜 도수가 높은 '바이주(白酒)'다. 중국 바이주는 그 제조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기는 향을 일품으로 친다. 곡물을 삭힌 뒤 알콜로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곡물의 향이 그대로 술에 녹아드는 것이다. 유럽에서 나무향이 알콜에 녹아 배는 것과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술에 취하는 게 아니라 향에 취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 그런데 요즘 이런 바이주에 도전장을 던진 게 있다. 바로 중국 청년들 사이에서 인기를 끄는 맥주다. 지난 2023년 중국 맥주업계는 업체별 힘겨루기 속에서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중국 현지 매체 중신징웨이(中新经纬)에 따르면 중국 대표 맥주 브랜드인 주장맥주(珠江啤酒), 충칭맥주(重庆啤酒), 옌징맥주(燕京啤酒) 등이 지난해 영업수익, 순이익 등에서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보였다. 주장맥주
빵은 서구의 음식이라는 게 일반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우리가 흔히 아는 호빵이 중국 것이라고 지적하면 금방 "아, 중국도 전통 빵이 있네"라고 한다. 미국 CNN이 뽑은 "세계에서 가장 맛있는 빵 50가지"에 중국 전통 빵이 포함돼 있다는 점을 알면 한국인들은 더욱 놀란다. 지난 20일 미국 CNN 웹사이트에 ‘세계에서 가장 맛있는 빵 50가지’가 소개됐다. 그 가운데 샤오빙(燒餠, Shaobing)도 포함돼 중국 온라인에서 주목을 받았다. 중국 네티즌들은 "중국의 소프트파워"라며 반기고 있다. 사실 우리가 아는 만두도 서구의 빵과 같은 방식으로 제조되는 음식의 일종이다. 최근 우리의 전통 떡이 어느 정도로 빵과 유사하게 됐는지를 돌아보면 금방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음식을 최대한 오래 보관하고 싶었던 인간의 필요와 맛을 추구하는 욕망이 어울려 만든 게 바로 제빵기술이다. 우리에게는 제떡기술인 셈이다. CNN은 윌리엄 루벨(William Rubel)의 저서 '빵의 지구사'를 인용해 “빵에 대해 까다롭게 정의를 내릴 필요가 없다”며 “술 효모를 이용한 고대의 빵부터 공장제 이스트를 사용한 공장제 식빵까지 빵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왔다”고 설명했다. 중국 샤오
화웨이가 중국 태블릿 시장에서 애플을 꺾고 1위를 차지했다. 무려 14년 만의 일이다. 그동안 중국에서는 스마트폰과 태블릿은 애플이 독보적인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중국 태블릿 시장의 하락세가 지속된 가운데 화웨이가 나홀로 성장을 기록하며 애플의 지위를 빼앗은 것이다. 최근 시장조사기관 IDC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중국 태블릿 시장 출하량은 총 817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5.7% 하락했다. 그 가운데 일반 소비 시장은 전년 동기 대비 7.3% 하락했고, 상업용 시장은 13.8% 증가했다. 특히 화웨이는 애플을 꺾고 중국 태블릿 시장에서 출하량 1위를 기록했다. 이는 2010년 이후 중국 태블릿 시장 분기별 출하량 기록에서 처음으로 왕좌가 바뀐 것이다. 글로벌 시장 역시 화웨이의 실적 증가가 두드러졌다. 시장조사기관인 카날리스(Canalys)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화웨이의 글로벌 태블릿 출하량은 약 282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95% 성장했다. 화웨이 태블릿이 분기 출하량 세계 3위 안에 든 것도 2019년 이후 처음이지만 점유율 7.5%는 2019년 4분기 13%에 비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한편 2023년 전체를 살펴보면
한국 의료계가 난리다. 정부가 의대 정원을 2000명 늘린다고 발표하면서 이에 반발한 의료계가 사실상 파업에 나섰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정부의 무리한 조치라는 지적이 있는 반면, 또 다른 일각에서는 환자의 목숨을 담보로 한 지나친 대응이라는 비판도 있다. 둘 모두 일장일단이 있는 시각이다. 의료 시스템은 그대로인데, 의사 수만 늘리면 자연히 의사 처우가 나빠지게 된다. 간단히 일자리 수는 그대로인데, 노동력을 더 공급하면 노동가치는 떨어지는 것이다. 더욱 문제는 의료 서비스는 지역별로 격차가 심한데, 노동력이 늘었다고 산간벽지에 의사가 갑자기 늘어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즉 많은 노동력이 좋은 조건의 일자리로만 우선 몰릴 것인데, 간단히 취약 지역은 노동의 질만 상대적으로 더 나빠질 수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또 반면에 지금처럼 의사가 귀해서는 그 역시 문제다. 즉 의사 양성을 늘리는 것 역시 필요한 일이라는 점이다. 즉 쉬운 문제가 아니어서 다양한 사회적 논의를 통해 결정해야 할 일인데, 정부가 이 일을 일도양단하듯 결정했다는 점에서는 비판적 시각이 적지 않다. 이 같은 한국 상황에 중국 네티즌들의 시각은 어떨까? 정부 측을 옹호하는 의견이 많다.
어느 대학이 좋은 대학일까? 사실 기준은 천차만별이다. 간단히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르다는 의미다. 한국적 관점은 졸업해서 취업이 잘 되느냐, 좋은 연봉을 받느냐다. 그러다 보니, 거의 모든 대학들이 사회에서 연봉이 높은 직종 위주의 인재를 양성하게 된다. 하지만 대학의 기능은 그게 아니다. 최소한 그것만이 아니다. 좋은 대학은 사회를 이끄는 인재를 양성하는 곳이다. 기존 사회에 없던 것을 있게 만드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곳이다. 아쉽게도 동양 교육의 목표가 유교 전통 속에서 기존 사회질서를 유지하는 인재 양성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이와 같은 근본적인 대학 교육의 목표는 희석이 되고 말았다. 중국 대학들 역시 한국과 그 사정이 별반 다르지 않다. 하지만 그나마 중국 대학들은 각 대학별 특성을 갖추려 노력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워낙 강력한 파워로 각 대학의 교육과정을 통제하고 있어 가능한 일이다. 그럼 중국 내부에서 평가하는 1위 대학은 어느 곳일까? 역시 베이징대학이었다. 중국 대학 평가 기관인 교우회(校友会)가 ''2024년 중국 대학 순위 Top 30'을 최근 발표했다. 교우회는 지난 2003년부터 중국 본토, 홍콩, 대만의 2000여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이름을 딴 운동화를 판매해 중국 온라인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글로벌 사회가 인정하는 '별종' 내지는 '관종'이다. 주목받기를 좋아하고, 럭비공처럼 예측불가한 행동을 해 상대방을 놀래키길 좋아한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불러놓고 미군의 미사일 공격을 허락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식이다. 중국 네티즌들에게는 무례하기 짝이 없는 행동이다. 재임 시기에 북한과 정상회담을 하면서도 원하는 답을 얻지 못했다고 바로 돌아서기도 했다. 중국 네티즌들이 이를 모를 리 없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최근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신발 엑스포의 '스니커스 구역'에서 성조기가 인쇄된 황금색 운동화를 선보였다. 그리고 같은 날 특정 웹사이트(겟 트럼프 스니커즈 닷컴)에서 한 켤레 당 399달러에 한정판 1000켤레를 출시했는데 불과 두 시간 만에 완판됐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번 운동화를 '불굴의 신발’(NEVER SURRENDER HIGH-TOP SNEAKER)'이라고 소개하며 "이것은 내가 10여년 전부터 말해왔던 아이템으로 나는 이것이 대박을 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운동화 판매는 지난 1
'892만 3901건' 지난 2023년 중국에 새롭게 등록된 저작권 건수다. 전년보다 대략 40% 이상 크게 늘었다. 저작권은 지적 재산의 대표적인 형식이다. 대략 저술, 미술품, 사진, 영상 등 인간이 예술성을 발휘해 만들어낸 창작품에 붙는 권리다. 이런 저작권이 는다는 것은 한 나라의 지적 재산이 는다는 의미다. 간단히 문화적 부가가치가 늘고 있다는 의미다. 중국 국가판권국(国家版权局)이 '2023년 중국 저작권 등록에 관한 공지'를 20일 발표했다. 공지에 따르면 지난해 등록된 저작권 등기는 총 892만 3901건으로 전년 대비 40.46% 증가했다. 저작권 등록 건수가 가장 많은 지역 Top 5는 다음과 같다. 1위 베이징 110만 1072건 (점유율 17.13%) 2위 산둥성 87만 3826건 (13.59%) 3위 푸젠성 71만 648건 (11.06%) 4위 중국저작권보호센터 49만 3070건 (7.67%) 5위 상하이 41만 2660건 (6.42%) 상위 5개 지역 및 기관에 등록된 저작권은 중국 전체 저작권 등록의 55.87%를 차지했다. 각 성(省) 및 자치구, 직할시 저작권국과 중국저작권보호센터에 등록된 '작품 저작권' 등록 건수는 총 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