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중국에서 열린 한중일 외교장관회의에서 3국 외교장관은 '한중일+X' 협력 관계를 맺고 3국 간 역량을 결집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이같은 방안은 리커창(李克强) 국가 부총리가 제안했으며, '한중일+X'란 한중일 공동 제3자와의 협력 방안이다. 3국 각각의 강점을 결합해 역내외 공동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진하자는 취지다. 오늘 중일 양국이 태국에 건반 합작 투자를 하고 있고 앞으로 한중일 3국이 동참할 것으로 보인다. 제3국에 투자하는 데 그치지 않고 친환경, 재난, 고령사회 대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이 이뤄진다. 3국 협력 개념 문서에서는 3국 협력 외교 부서를 설명하고, 대화 논의를 통해 협력 방식과 프로젝트를 확정하고, 필요에 따라 합동 세미나, 인적 교류와 교육 등을 개최한다. 강경화 외교부장관은 "한중일 3국 협력을 통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추진하고 항구적 평화를 정착시켜 동북아 평화정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일 외교장관은 이번 회의를 통해 대화를 계속하기로 합의했지만 별다른 의견 차를 좁히지 못했다. 3명의 외교장관이 각각 3국 관계를 언급하자 왕이(王毅)부장은 "3국은 신뢰에 기초해 3각 협력을 강화하고 대화를 통해
첸커밍(钱克明) 중국 상무부 부(副)부장은 21일 칭다오(青島)에서 열린 다국적기업 정상회의에 참석해 "중국은 지난 1년간 경영환경 개선에서 5개의 성적을 거뒀으며 관세 총액이 대다수 개발도상국보다 낮다"고 밝혔다. 재경매체인 중신경위(中新经纬)에 따르면 첸커밍 부장은 중국이 현재 관세 총계 7.5%로 대부분의 개발도상국보다 훨씬 낮고 이미 선진국 시장의 대외 개방 수준에 근접한 수준이라며 앞으로도 중국은 부정적인 리스트를 중심으로 투자 자유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첸 부장은 중국 정부가 지난 1년간 경영환경 개선에서 거둔 성과로 ▲부정적 리스트를 대폭 줄이고 관세 인하 ▲첫 중국 국제수입박람회 개최 ▲외국투자법 제정 ▲자유무역 시험구 건설 등을 꼽았다. 세계은행의 '2019년 경영환경 보고서'를 보면 중국 기업환경이 현재 세계 46위, 지난해 78위로 실질적인 진전을 보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애플 같은 미국 기업이 중국 시장을 떠나야 하고, 이를 위해 '도움'을 줄 것"이라며 중국 경제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또다시 내비쳤다. 21일 러시아 위성통신사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0일 방한한 클라우스 요하네스(Klaus Iohannis) 루마니아 대통령과의 면담에서 이같이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분간 애플 같은 미국 회사들이 필요한 일을 해야 되며, 그것이 바로 중국 시장을 벗어나는 것"이며 "외국 기업이 생산 부문을 중국에서 철수하는 바람에 최근 한 달 반 동안 20억달러의 손실을 보고 200만개의 일자리를 잃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일자리도 잃을 수 있다”고 말했다. 애플 아이폰과 맥북 노트북은 지난 12일 미국 정부가 발표한 관세 유예 대상에 포함됐지만, 이 회사가 중국에서 생산한 블루투스 무선 헤드폰 에어팟, 스마트워치 애플워치, 스마트 스피커 홈팟 등 3개 제품은 오는 9월1일 10%관세가 별도 부과될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은 그동안 이들 3개 제품이 아이폰 판매 부진에 따른 악영향을 상쇄할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애플은 현재 15~30%의 생산능력을 중국에서 다른 나라로 이전하는 방
캐리 람(林郑月娥) 홍콩 행정장관이 사회 각계 인사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갈등과 충돌을 줄이기 위한 민간 대화의 장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20일 환구망에 따르면 캐리 람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사회가 하루빨리 평온을 되찾고 폭력으로부터 멀어졌으면 좋겠다”며 “원랑(元朗) 구타 사건을 비롯해 민간 대화채널을 만들어 사회인과의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람 장관은 “1년마다 열린 시정보고가 중요한 기회라며 효과적인 조치들을 제시할 것”이라며 “지난 2년간 경제 발전, 민생 발전, 노후에 대한 시정 보고가 유효한 데 비해 2019년 시정 보고는 사회적 갈등이 확대한 배경이 있기 때문에 특구 정부 차원에서도 좀 더 과감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람 장관은 “홍콩 경제는 이미 하방 리스크가 나타나고 있지만 상반기 수치가 아직 문제의 심각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며 “경제 하방 리스크에 직면한 가운데, 어떻게 하면 홍콩의 경쟁력을 계속 향상시킬 것인가,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계속 지원할 것인가, 중소기업과 일반 홍콩 시민을 포함하여, 모두 다음 단계의 업무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천마오보(陈茂波) 홍콩 재무장관은 191억홍콩달러(1위안
미국 정부가 금지하는 중국산 비디오 감시 장비가 온라인상에서 버젓이 팔리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 온라인 슈퍼마켓에서 판매하는 카메라와 감청장비의 제조사들이 중국 정부의 지분 42%를 보유하고 있는 항저우(杭州)하이콘웨이시(海康威视)디지털기술주식회사와 중국의 민영 모니터링 장비 제조사라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19일에 보도했다. 하이콘웨이시와 대화 주식은 직접 이 쇼핑몰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지는 않지만, 그들의 장비는 브로커 역할을 하는 독립 미국 딜러를 통해 구입할 수 있다. 이들 딜러가 작성한 중국 장비 리스트에 따르면 이 장비는 미국과 스위스에서 생산된 것이다. 하이콘웨이시와 대화 주식은 그들이 이 두 나라에서 설비를 생산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하이콘웨이시소 생산설비가 미국 군 시설과 경찰, 대사관에서 사용되고 있어 중국 정부가 이를 악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미 의회는 2018년 연방정부 기구가 하이콘웨이시, 대화 지분과 통신장비 공급업체 화웨이 등 중국 회사로부터 장비를 구매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금지령은 2019년 8월13일 발효됐다. 그러나 이 장비들은 여전히 이들 온라인 슈퍼마켓에서 팔리
일본 정부가 자위대 호위함을 공격 목표로 삼은 중국 항공기에 대해 항의조차 안 한 것으로 드러났다. 19일 일본 교토통신은 지난 5월 하순 중국 JH-7 전투기 여러 대가 일본과의 공해 지역에서 일본 해상 자위대 호위함 2척을 공격 훈련 목표로 했다고 보도했다. 일본 측은 “이것은 매우 위험한 군사적 행동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또한 일종의 도발 행위”라고 말했다. 중국 전투기가 레이더로 일본 호위함을 발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본 측이 이들 중국 전투기의 의도를 주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자위대 감청부대가 중국 군용기의 무선 감청 내용을 보면 중국 항공기는 일본 호위함을 공격 훈련 목표로 삼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는 일본 해상 자위대와 항공자위대로 경계 감시 강화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자위대의 정보 수집과 분석 능력을 숨기기 위해 중국 측에 항의하거나 공표하지는 않았다.
상하이협력기구(SCO)의 참여 국가가 늘고 있다.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 등 미국의 동맹국들도 참여 신청을 했다. 러시아 일간 이즈베스티야는 15일 이스라엘과 방글라데시,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SCO 참여 신청서를 냈다고 보도했다. 특히 이스라엘과 사우디는 미국의 중요한 동맹이다. SCO 알리모프(Rashid Alimov) 전 사무총장은 “이스라엘이 SCO 가입 의사를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며, 이스라엘은 그동안 여러 차례 가입을 신청했다”고 말했다. 상하이협력기구는 중국과 러시아, 카자흐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이 2001년 6월15일 상하이에서 창설을 선언한 항구적인 정부 간 국제기구다. 2017년에는 인도와 파키스탄이 회원국으로 가입했다. SCO는 이들 8개 회원국을 제외하고 현재 아프가니스탄과 벨라루스, 이란, 몽골이 관찰원국으로, 아제르바이잔과 아메니아, 캄보디아, 네팔, 터키, 스리랑카 등 6개국이 대화 파트너국으로 구성돼 있다.
홍콩의 주요 신문에 폭력 반대 광고가 등장했다. 홍콩상보 16일자 1면에는 이례적으로 폭력 반대 광고가 실렸다. 이 광고는 '폭력'이라는 글자 위에 빨간색으로 금지 표시가 있고 좌측에는 ‘중국사랑, 홍콩사랑, 자기사랑(爱中国 爱香港 爱自己)’과 우측에는 ‘자유사랑, 포용사랑, 법치사랑(爱自由 爱包容 爱法治)이 각각 적혀 있고 하단에는 '한 홍콩 시민 리자청'이라고 쓰여 있다. 이에 앞서 리자청의 장남인 리쩌유(李澤钜) 창장실업 주석은 헝키와 신훙기, 신세계 등 4대 부동산 업자를 포함한 홍콩의 주요 17개 부동산업자들과 공동성명을 내고 갈수록 커지는 폭력을 비난했다. 한편 홍콩 특구 정부 재정국장인 천무보(陈茂波)는 15일 세금을 대폭 감면하며, 공공 주택은 한 달 동안 세를 감면하는 파당(派糖)조치를 냈다고 밝혔다. 천무보는 기자회견에서 "파당은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파동이 아니라 경제적 도전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라며 "대학생 대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파당에 대한 조치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홍콩국제공항은 지난 13일 송환법 시위 집회의 여파로 모든 항공편이 취소되는 등 공항에 폐쇄됐다. 홍콩 특구 정부는 공항의 운행 중단으로 80
15일 종합미디어에 따르면 베르사체와 코치, 지방시 등 유명 브랜드가 대만 등을 독립국으로 표기해 물의를 일으킨 가운데 미국의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홍콩 독립' 티셔츠를 판매한 것으로 드러났다. 아마존이 판매한 티셔츠에는 'FREE HONG KONG DEMOOCRACY NOW(지금 바로 홍콩 민주화 시켜라)'라는 문구와 함께 번체 중국어인 '홍콩 독립'을 달았다. 또한 아마존에서는 붉은색과 검은색, 파란색 등 다양한 색상에 '반송중(反送中)', '홍콩에는 인도 없다', '홍콩은 중국 특별행정구가 아니다' 등의 문구가 프린트된 옷이 판매됐다. 이밖에도 ‘Hong Kong is not China(홍콩은 중국이 아니다)’는 문구도 홍콩 특별행정구를 대표하는 자형꽃 깃발과 미국 성조기가 그려진 티셔츠가 아마존에서 판매됐다.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티셔츠 구매 게시판에는 비난글로 도배됐다. 한 네티즌은 아마존 티셔츠 상품의 국기가 중국 국기로 바뀌었다 바뀌었다고 전하며 "나를 범한 자는 멀리 있어도 반드시 징벌한다(犯我中华者虽远必诛). 폐청(废青)이 중국에서 꺼져! 아마존 회사는 중국인 전원에게 사과해야 해!"라는 댓글을 올렸다.
인도가 카슈미르 지역을 헌법을 개정해 행정구역에 편입시키자 중국의 일대일로 플래그십 프로젝트인 '중·파경제 회랑'에도 먹구름이 드리워졌다. 인도는 이미 만군경과 특수부대를 파견해 무슬림 인구가 다수인 인도령 카슈미르에 대해 70년 만에 가장 강력한 군사봉쇄 및 고압적 안정조치를 시행했다. 개헌 발표 즉시 현지 공공통신 네트워크를 중단하고 도로 간선도로를 봉쇄하며 인도 보안군이 인도령 카슈미르의 주도인 슬리나가 시티 방위를 접수했다. 수천 명이 공포에 질려 거리로 나와 항의했지만, 인도 군경에 강제 해산을 당했다. 파키스탄은 즉각 인도 정책에 반발했다. 파키스탄의 이믈란 칸 총리는 인도의 결정에 인종 청소라며, 이는 전면 무장 충돌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인도가 인도 주재 파키스탄 대사를 추방하자, 파키스탄도 더 이상 인도에 대사를 파견하지 않겠다고 선언한데 이어 양국 간 무역과 철도 운행도 중단됐다. 카슈미르의 실제 통제선 양쪽에서 인도와 파키스탄 양측의 군사적 대치태세가 더욱 심각해짐에 따라 구테레스 유엔 사무총장은 성명을 내고 카슈미르 정세의 변화에 관심을 갖는 동시에 양국이 최대한 자제할 것을 촉구했다. 인도는 카슈미르의 자치지위를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