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p↑' 지난 10월 중국 전국 기업들의 매출 증가폭이다. 세무당국의 세금 부가를 위한 조사 결과다. 중국은 올 하반기 들어 '이구환신'(구형 주고 새 것 받자) 정책 등을 펼치며 사회 소비 진작에 힘썼다. 막대한 재정을 들였지만 10월 기업 매출 성적은 그야말로 '찔끔' 오르는 데 그친 것이다. 중국 소비 회복세가 반짝 회복세를 보인 뒤 주춤하는 모습이다. 18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지난 7일 이 같은 내용의 부가가치세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발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10월에 전국 기업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고 전월 대비 1.3%p 상승하는 데 그쳤다. 다만 중국 매체들은 이 같은 성적이 그나마 일련의 증가 정책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라 분석했다. 중국 매체들은 이 추세가 자리 잡고 있으며 경제의 지속적 회복과 개선을 촉진했다고 밝혔다. 제조업 생산과 판매도 늘었다. 10월 제조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하여 9월 대비 2.2%p 상승했다. 그중 고기술 제조업과 장비 제조업 매출은 각각 8.9%, 5.1% 늘었다. 이는 제조업 전체 매출 증가율보다 각각 7.6%p, 3.8%p 은 것이다. 결국 고기
'5조 2,281억 6000만 위안' 한화로 약 1,014조 4,721억 원에 달한다. 중국의 올 1~9월간 전국 규모이상의 산업 기업이 달성한 총이익 규모다. 기술 산업 기업 이익 성장세만 전년 동기 대비 6%를 넘어섰다. 여기서 규모이상의 산업기업은 연 수익이 2000만 위안 이상인 기업을 의미한다. 한화로 약 38억 5,260만 원 가량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산업 현황 데이터를 내놓았다.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전국 규모 이상의 산업 기업이 달성한 총 이익은 5조 2,281억 6천만 위안에 달했다. 고기술 제조업의 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했다. 규모이상 산업 기업의 이익 증가를 견인했다고 중국 매체들은 평했다. 중국 통계국은 관련 수치를 발표하며 "고기술 제조업을 대표로 하는 새로운 성장 동력 산업의 이익이 빠르게 증가하여 산업 경제의 발전 탄력성을 드러냈다"고 밝혔다. 1월부터 9월까지 항공기 및 운반 로켓 제조, 반도체 장치 전용 장비 제조 등의 고급 장비 제조업의 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7.1%, 13.2% 증가하였다. 스마트 차량 장비 제조, 착용형 스마트 장비 제조, 스
‘1671억 9,300만 위안’ 한화로 약 32조 4,705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지난 3분기 중국 IT공룡인 텐센트의 매출 실적이다. 한국 네이버의 3분기 실적은 2조7156억원 정도였지만, 역대 최대 실적이었다. 중국 텐센트의 매출이 네이버의 16배에 달하는 것이다. 15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텐센트는 지난 13일 2024년 3분기 실적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텐센트는 3분기에 1671억 9,300만 위안(약 32조 4,705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여 전년 대비 8% 증가하였다. 매출총이익과 영업이익은 각각 888억 2,800만 위안(약 1조 7,251억 원)과 612억 7,400만 위안(약 11조 9,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6%와 19% 증가하여 8분기 연속 매출 성장률을 초과하였다. 각 사업부문 중 부가가치 서비스 사업은 전체 매출의 절반을 차지하며, 해당 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9% 증가한 826억 9,500만 위안(약 16조 601억 원)이었다. 그 중에서도 국내 게임 매출은 373억 위안(약 7조 2,44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4% 증가하여 전체 매출의 22.31%를 차지하였다. 핀테크 및 기업 서비스 부문 매
스포츠는 한 나라의 건강을 상징한다. 시민들이 스포츠를 즐기며 운동에 의한 소비를 늘린 때 도시의 근육이 성장하고 더 힘을 내 발전을 꾀할 원동력이 마련되는 것이다. 글로벌의 자유무역이 더 강화할수록 ‘건강’은 더욱 중요하다. 사실 자유무역이란 경쟁격화를 의미하는 데, 건강할수록 행복하고, 어려운 순간을 버티는 지구력도 커지기 때문이다. 경쟁 승리의 최대 관건은 지구력이다. 많은 경쟁이 실력으로 승리를 쟁취하지만, 비등한 실력의 상대방과 겨뤄 쟁취하는 결정적인 승리는 실력이 아니라, 마지막까지 버티는 이가 이기는 게 경쟁이기 때문이다. 좀 동떨어진 이야기다 싶지만, 실은 도시의 건강과 도시의 경쟁력은 이 같은 상관관계 속에 있는 것이다. 도시 스포츠 산업의 발전은 이런 건강도를 측정하는 핵심 지표다. 최근 중국에서는 제7회 중국 글로벌 수입 박람회가 ‘스포츠+과학기술 혁신’을 주제로 열렸다. 행사 일정의 하나로 개최된 포럼에서 상하이 체육 대학에서는 ‘2024년 글로벌 스포츠 시티 지수’를 발표하였다. 그럼 중국 대학이 개발한 지수이기는 하지만, 글로벌 사회 가장 스포츠 지수가 높은 도시는 어느 곳일까? 1위는 뉴욕으로 꼽혔다. 실제 뉴욕커 하면 떠오르는 게
지난 10월 중국의 대졸자를 포함한 25~29세 실업률이 당국 공식 발표에서 7%대에 육박하고 있다. 전월보다 0.1%p 오른 수치다. 중국은 대졸자 실업률이 치솟자 연령대별 실업률만 발표하고 있다. 16~24세 노동력 실업률은 17%를 넘어섰다. 26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국가통계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연령대별 실업률을 발표했다. 공식발표에서도 젊은 층의 실업률이 높게 나타나 우려를 더하고 있다. 발표에 따르면 올 10월, 전국 도시 지역의 비재학생 16~24세 노동력 실업률은 17.1%로 전월 대비 0.5%p 하락했다. 비재학생 2529세 노동력 실업률은 6.8%로 전월 대비 0.1%p 상승했다. 비재학생 30~59세 노동력 실업률은 3.8%로 전월 대비 0.1%p 하락했다. 특히, 비재학생 16~24세 노동력 실업률은 10월 기준으로 2개월 연속 하락했다. 도시별로는 올 10월 31개 주요 도시의 실업률은 5.0%로 전월 대비 0.1%p 하락했다. 푸링후이 국가통계국 대변인은 올 10월 경제 운영 상황을 평가하며 “세 가지 반등, 두 가지 안정, 한 가지 상승”으로 요약했으며, 그중 “두 가지 안정” 중 하나로 고용과 물가의 안정 유지를 꼽았다
‘58조 56백억 위안’ 한화로 약 1경 1,384조 6,496억 원 가량에 달한다. 중국의 지난 10월 한 달 이뤄진 거물 거래 총액이다. 거래건수도 무려 6억 9500만 건에 달한다. 14일 중국선물업협회(이하 "중기협")의 최신 통계에 따르면, 단일 방향 계산 기준으로 10월 전국 선물 거래 시장의 거래량은 6억 9천 5백만 건, 거래 금액은 58조 5천 6백억 위안(약 1경 1,384조 6,496억 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6.3%와 45.41% 증가했다. 거래소별 거래 비중 순위에서 상하이선물거래소(이하 "상기소")가 거래량과 거래 금액 모두 시장의 30% 이상을 차지했고, 증가율 측면에서는 중국금융선물거래소(이하 "중금소")가 전년 대비 증가 폭이 가장 커 거래량과 거래 금액 모두 100% 이상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10월 선물 시장의 총 거래량이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한 이유는 긍정적인 경제 정책의 발표와 시장 거래 심리가 회복된 탓이다. 10월 선물 시장의 전체 거래는 양호한 흐름을 보였고, 다수의 선물 거래소에서 거래량이 증가했다. 10월 한 달 동안 상기소의 거래량은 2억 1600만 건, 거래 금액은 18조 위안(약 3
‘127억 8300만 건’ 지난 10월 21일부터 11월 11일까지 중국에서 이뤄진 택배건수다. 중국 ‘쐉스이’ 할인행사를 앞두고 그만큼 많은 택배 물량이 오간 것이다. 전년동기로는 10%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다만 중국은 이번 택배 물량은 늘었지만, 실제 쐉스이 행사로 인한 매출액 증가는 어느 정도인지, 전년보다 늘었는지 여부를 제대로 밝히지 않고 있다. 중국 당국의 막대한 재정정책에도 불구하고 실제 소비 진작효과가 기대 이하인 탓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우정국은 이 같은 내용의 쐉스이 택배 모니터 현황 결과를 발표했다. 모니터링 데이터에 따르면, 11월 11일 하루 동안 전국 우정 택배 기업이 처리한 택배 물량은 총 7억 100만 건으로, 평상시 물량의 151%에 달했고, 전년 동기 대비 9.7% 증가했다고 한다. 10월 21일에 성수기로 접어든 이후 택배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하루 평균 물량이 5억 8천만 건을 넘었다고 한다. 지난10월 21일부터 11월 11일까지 전국적으로 처리된 택배 물량은 총 127억 8천 3백만 건으로, 일 평균 처리량이 평상시의 125%에 달했다고 한다. 특히 10월 22일에는 택배
‘17,130억 위안’ 한화로 약 332조 821억 원에 달한다. 올 1~3분기 중국의 경상수지 흑자규모다. 3분기만에 1조위안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나 주목된다. 다만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가 다시 출범한 가운데 흑자 규모가 늘면서 미중 간 무역갈등 격화 징조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반응이다. 13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 외환 관리국은 올 2024년 3분기 및 3분기까지의 중국 국제 수지 통계 초기 자료를 발표하였다.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3분기까지 중국의 경상수지 흑자는 17,130억 위안(약 332조 821억 원)으로 집계되었으며, 2024년 3분기 경상수지 흑자는 10,441억 위안(약 202조 4,092억 원)이었다. 국가 외환 관리국 관계자는 2024년 3분기까지 중국의 국제 수지가 기본적으로 균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경상수지 흑자가 동기간 국내총생산(GDP) 대비 1.8%를 기록하여 합리적 균형 범위 내에 계속 머물렀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양방향 국경 간 자본 흐름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이고 질서 있게 유지되었다고 하였다. 3분기까지 중국의 국제 수지 기준 상품 무역 흑자는 5,182억 달러(약 726조 1,536억 원)로 전년
중국의 전기차의 미래를 알고 싶은가? 그럼 이들 10개 도시를 보라! 중국의 신에너지 산업 밀집도가 가장 높은 도시는 상하이로 꼽혔다. 그 뒤를 선전, 상저우, 쑤저우, 광저우 등의 순으로 따랐다. 수도 베이징의 신에너지 산업 밀집도는 중국 주요 도시 순위 6위에 그쳤다. 중국 경제 데이터를 전문으로 하는 후룬이 최근 ‘2024 중국 신에너지 산업 밀집도 도시 순위’를 발표했다. 신에너지 산업을 위한 전문 펀드를 마련하고 배터리, 완성차, 충전소 등 관련 산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한 도시가 상위권에 올랐다. 발표에 따르면 베이징, 우시, 청두, 항저우, 우한 등이 각각 6-10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를 보면, 중국 전기차의 미래가 보이는 것이다. 중국은 글로벌 전기차의 미래다. 국가 차원에서 가장 많은 투자를 했고, 실제 중국은 세계에서 전기차를 가장 싸게 좋게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갖췄다. 이번 후룬 조사는 신에너지 산업이 가장 많이 집중된 중국 상위 50개 도시에 대한 것이었다. 이 중 창저우는 지난해보다 한 계단 상승한 3위를 차지해 3년 연속 투자 집중도 1위를 차지했으며, 글로벌 유니콘 목록에 4개의 신에너지 기업이 선정됐다. 슝지쥔 공업정보화부 차관
‘16,734억 위안’ 한화로 약 325조 3,424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올 1~3분기 청두 도시권의 지역총생산(GDP) 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5.5% 성장한 수치다. 중국 국가 성장 목표 5%를 웃도는 수치다. 중국 당국은 올 한 해 성장 목표 달성을 자신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올 1월부터 9월까지, 청두 도시권(청두시, 더양시, 메이산시, 즈양시)은 지역 총생산(GDP) 21,055억 위안(약 409조 3,513억 원)을 달성했다. 전년 동기 대비 5.5% 늘었다. 이는 쓰촨성 평균 보다 0.2%포인트 높다. 이 기간 청두 도시권의 경제 총량은 쓰촨성 경제의 절반 가량인 46.3%를 차지했다. 세부적으로는 청두시가 지역 총생산 16,734억 위안(약 325조 3,424억 원)을 달성해 5.2% 성장하였으며, 이는 청두 도시권의 79.5%를 차지한다. 더양시는 지역 총생산 2,244억 위안(약 43조 6,278억 원)을 달성해 7.0% 성장하였고, 메이산시는 1,307억 위안(약 25조 4,106억 원)으로 7.2% 성장하였다. 즈양시는 769억 위안(약 14조 9,508억 원)의 지역 총생산을 기록하며 6.5% 성장했다. 1월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