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조5,788억 위안’ 한화로 약 1,057조 710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1~5월 소프트웨어 사업 수익 총액이다. 전년동기 11% 이상 두 자릿수 성장을 했다. 중국의 ‘IT 굴기’가 갈수록 그 봉우리를 곧추세우고 있다. 이 같은 중국의 IT산업 성장세는 미국의 강력한 견제가 수년째 이어지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더욱 주목된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중국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업(이하 ‘소프트웨어 산업’) 현황을 발표했다. 발표 자료에 따르면 올 1월부터 5월까지 중국 소프트웨어 산업은 올해 1~5월 소프트웨어 사업 수익은 5조5,788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했다. 소프트웨어 산업의 총이익은 6,721억 위안(약 127조 3,495억 원)으로 12.8% 늘었다. 소프트웨어 사업 수출은 227억1천만 달러로 3.3%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은 “소프트웨어 사업 수익은 안정적으로 증가했고, 총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증가세를 유지했다”라며 “소프트웨어 사업 수출도 전년 동기 대비 플러스 성장을 유지했다”라고 평했다. 분야별로 보면 올 1~5월 정보기술
‘2,774만 3천여 곳’ 중국에서 올 5월말 현재 활동중인 이커머스 기업 수다. 중국의 온라인 경제 규모를 짐작케하는 수치다. 중국은 ‘인터넷+’를 표어로 하는 온라인 경제 육성책을 집중 펼쳐왔다. 그 결과 ‘세계의 공장’이라는 중국의 제조업과 맞물려 글로벌 시장을 중국의 내수 시장으로 만드는 새로운 경지의 ‘인터넷 경제’를 구축하고 있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톈옌차(天眼查) 프로페셔널’ 버전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중국 이커머스 현황 데이터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현재까지 지난 5월말 현재 중국 존속·영업 중인 전자상거래 관련 기업은 2,774만 3천여 곳을 넘었다. 2025년 들어 지금까지 새로 등록된 관련 기업은 약 400만 4천여 곳으로, 최근 5년간 기업 등록 수 추이를 보면 전자상거래 관련 기업 수는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2024년에 정점을 찍었다 중국 매체들은 “올 1월부터 5월까지 전자상거래는 강한 활력을 보였으며, 온라인 소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8.5% 증가해 내수 진작의 중요한 동력이 되었다”고 평했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온라인 경제는 품질 높은 상품, 온라인 서비스 소비, 새로운 모델과 업
중국의 올 6월 비제조업 업무활동지수는 50.5%로 전월보다 0.2%포인트 상승해 비제조업 전체가 계속해서 확장세를 유지했다. 중국 경제가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업의 성장이라는 새로운 동력까지 갖추는 셈이어서 주목된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국가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서비스업조사센터와 중국물류구매연합회 조사 내용을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서비스업 업무활동지수는 50.1%로 전월 대비 소폭 0.1%포인트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통신·방송·위성 전송 서비스, 금융서비스, 자본시장 서비스, 보험업 등이 60.0% 이상 높은 수준의 지수를 기록하며 업무량 증가 속도가 빨랐다. 그러나 노동절과 단오절 등의 휴일 효과가 사라짐에 따라, 주민 이동 소비와 관련된 소매, 도로 운송, 항공 운송, 숙박, 외식 등의 업종은 업무활동지수가 각기 다르게 하락해 시장 활력이 다소 약화되었다. 다만 미래 전망을 담은 시장 전망 측면에서 보면, 업무활동 전망지수는 56.0%로 여전히 높은 수준에 있어 대다수 서비스업 기업이 업종의 미래 발전에 대해 낙관적인 태도를 보였다. 기본적으로 중국은 제조업 중심의 경제 성장 모델을 채택하고 있다. 최근 들어 이 같은 제조업 이외
중국의 6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상승세를 이어갔다. 중국 경제의 활황 상승을 예고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국가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서비스업조사센터와 중국물류구매연합회 조사 내용을 공개했다. 공개 자료에 따르면 6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비제조업 업무활동지수, 종합 PMI 생산지수는 각각 49.7%, 50.5%, 50.7%를 기록해 전월보다 각각 0.2, 0.2, 0.3%포인트 상승했다. 세 지수 모두 반등세를 보이며 우리나라의 경기 수준이 전반적으로 확장 국면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통계국 서비스업조사센터의 고급통계사 자오칭허는 “중국 경제의 전반적인 상승 국면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중국 매체들은 PMI의 지속적인 반등에 의미를 부여했다. 실제 중국의 6월 제조업 PMI는 49.7%로 상승했고, 조사 대상 21개 업종 중 11개가 확장 구간에 들어섰다. 전월 대비 4개 업종이 추가된 수치다. 생산지수와 신규주문지수 역시 각각 51.0%, 50.2%로 전월 대비 0.3%포인트와 0.4%포인트 상승했다. 해 제조업 생산활동이 가속되고 시장 수요도 개선되었다. 업종별로 보면, 식품 및 주류·
‘19조 1,423억 위안’ 한화로 약 3,626조 3,173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지난 2024년 한 해 문화산업 영업 수익액이다. 전년보다 7% 이상으로 급등한 것으로 역대 최고치를 갱신한 수치다. 중국 문화산업 규모가 갈수록 커지고 있어 주목된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4년 전국 문화 및 관련 산업 발전 현황 보고서》를 냈다. 보고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4년 전국 문화산업의 영업수익은 19조 1,423억 위안(약 3,626조 3,173억 원)에 달해, 다시 한 번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전년 대비 7.1% 증가한 수치다. 중국 매체들은 “문화 시장의 경영 주체가 빠르게 육성·발전함에 따라 우리나라 문화 및 관련 산업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고 평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4년에는 문화산업 9대 업종의 영업수익이 모두 증가했다고 했다. 그중 문화장비 생산, 뉴스·정보 서비스, 콘텐츠 창작·제작, 창의적 디자인 서비스 등 4개 업종의 영업수익이 비교적 빠르게 증가했으며, 전년 대비 각각 11.2%, 8.6%, 8.4%, 7.2%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동부와 중부
‘2조 7,204억 3,000만 위안’ 한화로 약 136조 4,422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1~5월 규모 이상 산업의 총 이익 규모다. 저년동기대 1% 이상의 성장을 기록한 것이다. 사실 글로벌 사회 중동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 2개의 전쟁과 미국발 ‘무역전’ 전운 속에 이뤄낸 성과여서 주목된다.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사회 대부분 기업들의 수익이 뒷걸음치는 상황에서 나온 결과다. 현재 글로벌 사회 기업들은 매출은 늘어도 수익규모는 줄어드는 ‘불황형 성장’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1월부터 5월까지 규모 이상 산업 기업의 총이익은 2조 7,204억 3,000만 위안을 기록했다. 이는 1~4월 간에 비해 6,034억 1,000만 위안 증가한 수치다. 중국 매체들은 “산업 기업의 매출총이익과 영업수익도 꾸준히 증가세를 유지했다“라며 “글로벌 불확실성이 짙어지는 상황에서도 중국 경제는 꾸준하고 안정적인 성장세를 구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자료에 따르면, 이와 동시에 1월부터 5월까지 규모 이상 산업 기업의 매출총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하여 전체 규모 이상 산업 기업 이익 증가율을 3.0%포인트 끌어올렸다. 기영
중국이 ‘삼항(三航) 굴기’에 나서고 있다. 삼항은 우주, 항공, 항해를 말한다. 말 그대로 바다를 건너고 하늘을 날며 우주를 비행하는 분야로, 인류의 미래 먹거리 산업이다. 중국은 이미 이 분야의 원천기술로는 미국과 경쟁하는 유일한 나라가 되고 있다. 우주 분야, 특히 달 탐사 분야에서는 이미 미국을 능가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국가통계국 공업사 통계사인 위웨이닝은 최근 기자회견을 갖고 2025년 1~5월 산업기업 이윤 데이터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5월 동안 철도·선박·항공우주 산업의 이윤을 전년 동기 대비 56.0% 증가했다. 중국의 이른바 항공우주, 항공, 항해 등 ‘삼항(三航)’ 산업이 빠르게 발전한 덕이라는 게 중국 매체들의 분석이다. 중국 매체들은 “’하늘을 날고 바다를 누비는’ 산업 활력이 고품질 발전을 여실히 보여주었다”고 밝혔다. 삼항 가운데도 중국산 대형 여객기의 상업 운항 2주년을 맞았다. 중국은 지난 2023년 5월 C919상업용 대형 여객기를 제작 상업화에 성공했다. 중국이 국제 감향성 기준에 맞춰 제작한 첫 상업용 여객기다. 보잉 737, 유럽 에어버스의 ‘A320’과 동급으로 알려져 있다
‘32.6조 위안’ 한화로 약 6,202조 1,500억 원 가량이다. 올 1~5월 중국의 규모 이상 중소기업의 영업수익 총액이다. 이들 중국의 규모이상 중소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동기 대비 약 8% 가량 증가한 수치다. 중국은 그동안 국영 대기업 중심의 발전에서 중소기업 중심의 발전 동력을 확보하려 노력하고 있다. 중국 당국의 정책 지원의 결실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중소기업 경영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5월 동안 31개 제조업 대분류 업종 중 28개 업종이 성장세를 유지했다고 한다. 판매 상황을 보면, 같은 기간 중국의 규모 이상 산업 중소기업의 영업수익은 32.6조 위안에 달했다. 이익도 증가세를 유지했다. 특히 컴퓨터 및 통신 전자 장비, 전기 기계 등 장비 제조업 중소기업의 이익이 빠르게 증가했다고 한다. 중국 매체들은 올해 1~5월 동안 중국의 중소기업 경제 운영이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했다고 평했다. 규모 이상 산업 중소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8.0% 증가했다. 동시에 중소기업의 전반적인 수출 추세도 강세를 유지했다. 올해 5월 중소기업
‘7,488억 위안’ 한화로 약 141조 9,425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1~5월 간 전기통신 업무 수입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1% 정도 성장한 수치다. 중국 전기 통신은 이제 사실상 포화상태임을 보여준다. 다만 그만큼 성숙한 통신 인프라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산업 생태계 재편이 중국에서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본래 통신업은 소위 ‘DX산업’으로 가는 기본 인프라다. 기계와 사람이, 기계와 기계가 센서를 통해 서로 소통하며 제어하는 산업의 제 4혁명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공신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전기통신 산업 실적을 발표했다. 공신부(工信部)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전기통신 업무 수입은 누적 7,488억 위안(약 141조 9,42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다. 전년도 불변 가격으로 계산한 전기통신 업무 총량은 전년 동기 대비 8.6% 증가했다. 5월 말 기준으로, 3대 기초 통신기업의 고정 인터넷 광대역 가입자 수는 총 6억 8200만 가구에 달했으며, 이는 전년도 말보다 1216만 가구 순증한 수치였다. 이 가운데 100Mbps 이상의 접속 속도를 가진 고정 인터넷 광대역 가입자는 6
중국의 1~4월 간 여행 서비스 수출이 80%가량 늘었다. 중국 5000년의 찬란한 문화적 유산이 일궈낸 수치다. 그만큼 많은 외국인들이 중국의 만리장성을, 병마총을 보고자 한다. 모두가 인간의 상상력을 초월한 문화유산들이다. 중국 문화가 가진 저력이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상무부는 이 같은 내용의 여행산업 수지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4월 중국의 여행 서비스 수출 79.9% 증가했다. 통계에 따르면, 올해 1~4월 여행 서비스 무역은 계속 빠르게 성장해 수출입 총액이 7,567억 8,000만 위안(약 143조 6,595억 원)으로 14.7% 증가했다. 이 중 수출은 79.9%, 수입은 7.8%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은 “‘차이나 트래블’의 인기가 식지 않으면서, 점점 더 많은 외국 관광객들이 중국을 방문해 중국을 이해하고 사랑하게 되었다.”고 평했다. 실제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상하이와 쓰촨 청두에서는 전 세계의 시선을 끈 특별한 산업 대회가 열렸다. 74개 국가 및 지역에서 온 3,000여 명의 관광 업계 리더들이 중국 관광 플랫폼 기업의 초청을 받아 단체로 중국을 방문했다. 중국 매체들은 이 현장을 취재해 중국 여행산업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