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500억 위안’ 한화로 약 389조 6,295억 원 가량의 금액이다. 중국 가전업계의 지난해 누적 영업 수익 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6% 가까이 성장한 수치다. 중국 당국은 지난해 ‘이구환신’(구형 제품을 신형으로 바꾸는 것을 지원해주는 재정정책) 정책을 펼치며 소비 진작에 힘쓴 덕이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가전협회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가전산업 현황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2024년 중국 가전업계의 누적 주력 사업 매출이 1조 9,500억 위안에 달해 2조 위안(약 399조 6,200억 원) 돌파를 눈앞에 두었으며, 전년 대비 5.6% 증가했다. 또 총이익은 1,737억 위안(약 34조 7,06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1.4% 늘었다. 국가 정책 지원과 국제 시장의 지속적인 회복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가전 내수 시장과 수출 시장 모두 성장세를 유지했다고 중국 매체들은 평가했다. 실제 국가통계국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에서 판매한 가전제품 및 음향·영상 기기 상품의 소매 판매액이 1조 위안(약 199조 8,100억 원)을 돌파해 전년 대비 12.3% 증가했으며, 이는 2017
중국이 2025년 약 5% 성장을 목표로 세웠다. 도시 실업률도 약 5.5%로 묶어 유지키로 했다. 또 신규 도시 일자리 1200만 개를 만들기로 했다. 지난 5일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연례회의가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개막했다. 리창 총리는 국무원을 대표해 정부 업무 보고를 진행하며 2024년 주요 성과를 정리하고 2025년 경제 및 사회 발전 목표를 제시했다. 리창 총리가 발표한 정부 업무 보고에 따르면 올해 중국 정부는 ▲국내총생산(GDP) 약 5% 성장 ▲도시 실업률 약 5.5% 유지 ▲신규 도시 일자리 1200만 개 창출 ▲소비자 물가 상승률 약 2% ▲주민 소득과 경제의 동반 성장 ▲곡물 생산량 7000억kg 유지 ▲GDP 단위당 에너지 소비 약 3% 감소 등의 목표를 설정했다.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올해 성장률 목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여러 경제적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분석했다. 첫째 고용 안정과 경제 리스크 방지를 위해 일정 수준의 성장세 유지가 필요하다는 점, 둘째 소비와 관광 산업이 회복세를 보이며 경제 성장의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 등이 주요 배경으로 꼽혔다. 보고서는 또한 고품질 발전을 위한 핵심 과제로 ▲현대적 산업 체계 구
중국에서 최고의 도시는 어느 곳일까? 우선 최고의 도시에 대한 개념부터 명확해야 할 것이다. 대표적인 개념이 도시 거주 적합성 평가다. 도시의 종합적인 역량과 발전 수준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거주 적합성이다. 단순히 경제 뿐 아니라, 주민들이 자부심을 가지고 스스로의 생활을 가꿔갈 수 있는 곳은 어딘가를 살펴보자는 것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중국에서 ‘2024 중국 도시 거주 적합성 지수 분석 보고서’가 발표됐다. 결과는 상하이가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항저우였고, 베이징은 3위에 머물렀다. 하얼빈, 양저우가 각각 4, 5위를 기록했다. 하이커우, 광저우, 쯔보, 난징, 선전이 상위 10위권에 포함됐다. 이번 보고서는 도시건설 잡지사 산하 중국 거주 적합 도시 연구센터에서 발표했다. 중국 도시 거주 적합성 지수는 경제 활력과 경쟁력, 환경 지속 가능성, 도시 관리 및 안정성, 사회·문화 및 교육 등 네 가지 주요 분야의 90개 데이터를 바탕으로 중국 내 100개 도시를 분석한 것이다. 중국 거주 적합 도시 연구센터의 허쥔이(贺俊艺)는 이번 보고서가 기존의 ‘미관 중심’ 도시 순위 방식과 차별화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는 ‘
‘7,508억 위안’ 한화로 약 150조 6,480억 원 가량의 금액이다. 지난해 중국 중소기업의 투자 융자 금액 총액이다. 전년 대비 13% 이상 급증한 수치다. 중국이 기술 대기업 육성은 물론, 중소 제조업 육성에도 적극 나서고 있음을 보여주는 수치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중국인터넷정보센터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6,000만 개 중소기업의 인터넷 공개 데이터를 모니터링 및 분석, 그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빅데이터 분석 결과, 2024년 중소기업의 신규 투자·융자 사건 수는 5,780건을 넘어 전년 대비 7.3% 증가했으며, 투자·융자 금액은 약 7,508억 위안(약 150조 6,48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3.1% 증가했다. 이는 전체 기업 투자·융자 금액의 84.2%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6.4%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또한, 중소기업의 ‘사업 경쟁력’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중소기업의 입찰 성공 건수와 비율이 꾸준히 증가했으며, 2024년 프로젝트 입찰에 성공한 중소기업 수는 169만 개에 달해 전년 대비 3.1% 증가했다. 이는 4년 연속 증가한 것으로, 2020년(84만 개) 대비 102.0% 성장한 수치다.
‘4만 위안 돌파’ 중국의 지난해 1인당 가처분 소득 규모다. 중국의 1인당 가처분 소득이 4만 위안을 돌파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 당국은 올 2025년 대외 경제 불확실성에 맞서 내수 진작을 대안으로 내세우고 있다. 중국의 1인당 가처분 소득 증가는 이 같은 중국 당국의 대응에 힘을 실어주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국가통계국은 2024년 국민 경제 및 사회 발전 통계 공보(이하 ‘통계 공보’)를 발표했다. 중국 당국은 이미 2025년 전국 양회 개최를 앞두고 지속적으로 경제 성장의 혜택이 개인에게도 돌아가면서 더 높은 소비 수준을 촉진할 수 있는 주민 소득 증가와 이를 통한 소비 진작을 2025년 경제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강조해왔다. 중국 매체들은 이 같은 점을 지적하며 1인당 가처분 소득 증가를 높게 평가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전국 주민 1인당 가처분 소득이 최초로 4만 위안(약 800만 5,600 원)을 돌파하여 41,314위안(약 826만 원)에 도달했으며, 전년 대비 5.3% 증가했고 물가 요인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5.1% 성장했다. 전국 주민 1인당 가처분 소득의 중위수
‘485.19억 위안’ 한화로 약 9조 1,908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1월 한 달간의 복권 판매액이다. 많은 금액이지만, 전년동기 대비 16% 가량 준 수치다. 흔히 복권은 불황을 먹고 사는 산업이라고 한다. 삶이 팍팍할수록 일확천금을 꿈꾸는 이들이 늘고, 복권이 더 잘 팔린다는 의미다. 그런데 중국에서 복권 판매액이 줄었다. 경기가 좋아진 것일까. 중궈신원왕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재정부는 웹사이트를 통해 최근 2025년 1월 전국 복권 판매 현황을 발표했다. 1월 전국 복권 판매액은 총 485.19억 위안(약 9조 1,90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0.45억 위안 (약 1조 8,143억 원)감소해 15.7% 하락했다. 이 중에서 복권 발행 기관의 판매액은 172.41억 위안(약 3조 4,58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49억 위안(약 4,912억 4,491만 원) 감소해 12.4% 줄었다. 스포츠 복권 발행 기관의 판매액은 312.78억 위안(약 6조 2,74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96억 위안(약 1조 3,230억 원) 감소해 17.4% 하락했다. 이러한 감소는 올해 1월 춘절 연휴 기간 동안 복권 시장이 휴장한
중국이 글로벌 소프트파워 부문에서도 명실공히 ‘G2’로 미국과 함께 어깨를 나란히 했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영국의 ‘브랜드 파이낸스’ 컨설팅 회사가 글로벌 각국의 소프트파워 평점을 한 《2025년 글로벌 소프트 파워 지수》평가에서 중국이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미국, 3위는 영국이 차지했다. 영국은 그동안 미국에 이은 2위 국가였다. 중국이 영국을 제치고 2위로 부상한 것이다. 4위는 일본, 5위는 독일이었다. 경제적 힘을 바탕으로 문화적 참여와 정부 거버넌스의 안정성 위에서 글로벌 사회 소프트 파워 확산에 힘을 쓴 때문이라는 게 이번 지수를 평가한 브랜드 파이낸스 전문가들의 평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브랜드 파이낸스’ 회장 데이비드 헤이그는 중국의 소프트 파워 상승 요인으로 경제적 매력, 문화적 참여, 거버넌스 안정성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꼽았다. 그는 중국이 지속가능 발전 분야에서의 명성을 꾸준히 높여가고 있으며, 과학기술 등의 영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고, 신뢰받는 국제 협력 파트너로서 이미지 또한 점점 부각되고 있다고 밝혔다. 국가의 브랜드 파워나 소프트 파워가 커지면 그에 따른 소비자 신뢰도 역시 커지면서 국가 브랜드에 힘
‘10조 5348억 위안’ 한화로 약 2095조 5824억 1600만 원 가량이다. 지난해 중국의 해양 총생산액이다. 중국의 해양경제 총액이 10조 위안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역대 처음이다. 중국의 조선산업은 이미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50%를 이루고 있다. 전통 내륙 강국의 중국이 이제 빠르게 ‘해양강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자연자원부 해양전략계획경제사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중국 해양경제 공보를 발간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4년 중국 해양경제 통계 공보에 따르면, 2024년 전국 해양총생산(GOP)은 약 10조 5348억 위안(약 2095조 5824억 16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5.9% 성장했다. 이는 중국 해양경제가 강력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해양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해양총생산의 30% 이상을 차지하며 핵심 산업으로 자리 잡았다. 해양선박 공업 부문에서는 신규 수주량을 비롯한 주요 지표들이 국제 시장 점유율 50%를 돌파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높였다. 이는 조선 강국인 한국에 직접적인 연관이 되는 수치들이어서 주목된다. 중국 조선산업은 가성비뿐 아니라 기술에서도 글로
‘19조3000억 위안’ 한화로 약 3,812조 7,150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지난 2024년 한 해 국가 첨단기술산업개발구(약칭 국가 고신구)의 총생산량(GDP)다. 명목 성장률은 7%를 훌쩍 넘어섰다. 고신구는 중국 당국이 국가 차원에서 글로벌 유니콘 기술 기업을 육성하는 곳이다. 중국의 ‘기술 굴기’의 꿈이 배양되는 곳이다. 중국 기술 굴기의 꿈이 무르 익고 있는 것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공신부(工信部)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국가 고신구 경제산업 현황을 공식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국가 첨단기술산업개발구(국가 고신구) 발전 현황’ 관련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발표회에서 공업정보화부 기획사(规划司) 사장 야오쥔(姚珺)은 2024년 국가 고신구의 총생산(GDP)이 19.3조 위안에 달했다. 전년 대비 명목성장률 7.6%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또 2024년 말 기준 국가 고신구에는 전국 33%의 첨단기술기업, 46%의 ‘전문·정밀·특수·신규(专精特新)’ 소형 선도기업(‘작은 거인’ 기업), 67%의 유니콘 기업이 집중돼 있었다. 앞서 공업정보화부는 여러 부처 및 지역과 협력하여 중국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
전국 1인당 GDP 기준 상위 10개 도시가 다시 개편되었다. 1위는 오르도스가 차지했다. 2위는 가라마이, 수도 베이징은 3위에 랭크됐다. 상하이, 선전, 쑤저우, 우시 등의 도시들은 10위에 이름을 남기는 데 그쳤다. 중국 2025년 도시들의 경제 순위에 새로운 바람이 분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지방통계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도시별 지역총생산(GDP) 실적을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는 지난 2023년 각 성의 상주 인구수를 기초로 했다. 발표에 따르면 1인당 GDP 상위 10개 도시는 오르도스, 가라마이, 베이징, 우시, 상하이, 위린, 선전, 쑤저우, 창저우, 난징이다. 국내에 광산이 있는 오르도스(Ordos)는 1인당 GDP가 286,500위안으로 전국 평균의 거의 3배에 달할 정도로 여전히 압도적인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에너지 기반 도시이며, 1인당 GDP가 271,300위안인 카라마이가 그 뒤를 이어 전국 2위를 차지했습니다. 또한 1인당 GDP가 200,000위안 이상인 도시는 베이징, 우시, 상하이, 위린, 선전, 쑤저우, 창저우 등 7개 도시입니다. 그 중 동부 해안 지역에 위치한 선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