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성공이냐, 실패냐’ 중국 전기차 산업은 극단적 갈림길을 놓고 달려만 간다. 중국 당국은 성공을 자신하고 있지만, 미국과 유럽은 우려도 하면서 관세부가 등의 조치로 중국 전기차 산업 질주에 제동을 걸기 위해 힘쓰고 있다. 중국 전기차 산업의 무엇이 미국과 유럽을 두렵게 만드는 것일까? 경제와 정치가 분리되지 않는 중국 사회의 특성 때문이다. 물론 미국이나 유럽 역시 모든 산업은 당국의 규제를 받는다. 규제를 위해 국민적 합의 형태인 국회의 입법 과정을 통해 법제화하는 툴도 있다. 하지만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국민적 합의기구인 국회 논의 과정을 통해 경제 각 분야의 주체들의 입장이 반영된다. 심지어 국외 기업들의 입장까지 고려된다. 이 같은 민주제도와 자유시장과 달리 중국은 당국이 모든 것을 결정하면 되는 구조다. 당국이 마음을 먹으면 국제사회에서 금기시하는 보조금 지급도 얼마든 가능하다. 실제 중국 전기차 산업은 이 같은 당국의 비호 속에 급성장했다. 당국은 급성장을 지원하면서 성장한 산업의 남다른 과실도 노리고 있다. 바로 산업정보의 정치적 이용이다. 지난 2018년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베이징이공대학을 통해 건설하고 운영하도록 위임한
악덕 기업주에 속는 건 그의 말 때문만이 아니다. 그가 가진 재산, 휘황 때문이다.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좀처럼 이해가 되지 않고 희한한 게 너무 뻔한 일에 너무 많은 사람들이 속는다는 것이다. 마치 속기로 마음먹은 사람들처럼 엉뚱한 사람의 말을 그대로 듣고, 그대로 따른다. 사실 그 말이 맞다. 속기로 마음먹은 탓이다. 모두가 나쁜 사람이라고 욕을 해도 믿고 따르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바로 그가 가진 재산, 배경의 휘황함에 취한 탓이다. 옛날 악덕 자린고비가 있었다. 먼 길을 가는 준비를 하며 잔뜩 배부르게 식사를 했다. 남은 음식을 노비에게 주는 데 반만 그 것도 아까워 반만 먹도록 했다. 노비가 울며 사정했다. “아니 먼 길을 가는 데 배가 고프면 어떻게 마차를 끌겠습니까. 좀만 더 먹게 해주세요.” 악덕 자린고비가 나무 쇄기와 밧줄을 주면서 말했다. “아 걱정 말게. 이 두 가지만 있으면 배고플 일이 없네.” 결국 그렇게 노비는 고픈 배를 안고 길을 나서야 했다. 악덕 자린고비가 말했다. “그런데 자네 길을 가다 배고프면 ‘배고프다’하지 말고, ‘배가 아프다’하게.” 노비가 “왜 그러시냐? 물었다. 자린고비가 말하길: “아 다른 게 아니라, 그래도
2. ‘전기차 시장의 미래는 중국 손에 있다.’ 중국이 추구하는 명제다. 일견하기에 성공이 눈앞에 있는 듯 하다. 손만 뻗으면 잡을 듯 싶다. 하지만 김칫국일 수 있다는 게 서구 매체들의 분석이다. 중국 전기차 산업의 위기는 이제 시작이라는 게 서구 분석가들의 지적이다. 과연 중국 전기차 산업의 위기는 이제 오는 것일까? 서구 매체들은 무엇 때문에 중국 전기차 산업의 위기를 이야기하는 것인가. 전문가들은 위기는 안팎으로 있다고 지적한다. 외부 세계의 많은 전문가들은 중국의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 능력이 과잉 생산 능력에 대해 의심하고 있다. 중국 시장도 포화상태여서 가격경쟁에 돌입했다는 것이다. 결국 가격 하락을 제조사가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무너질 수 있다는 게 이 같은 시각의 우려다. 바로 내부의 위기다. 외부의 위기는 미중갈등이다. 미국의 강력한 기술 견제가 존재하고 “60% 관세”를 이야기하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꾸며지고 있다. 관세 부담은 미국에만 있는 게 아니다. 이미 유럽은 중국 전기차에 과세를 부가키로 했다. 캐나다 역시 중국 전기차에 대해 추가 관세부가 조치를 했다. 중국 전기차가 이 같은 외우내환의 상황에서 무너진다면 그 충격은 고스란히 중
빛난다는 것은 자신을 감추는 일이다. 빛은 스스로를 드러내 보이지 않는다. 언제가 밝은 빛 그 뒤에 숨어 빛이 닿는 모든 것을 비추어 드러내고 빛나도록 하는 것이다. 빛의 밝음은 언제나 그 빛이 닿는 곳에 있지, 그 빛이 나오는 곳에 있지 않다. 자신을 감추고 남을 드러내는 것 바로 빛의 본질이다. 한자를 만든 동양에서는 진작에 빛의 본질을 꿰뚫었다. 갑골자에 그 생각이 잘 드러난다. 광(光)자는 불을 쬐는 사람의 모습이다. 앉은 사람의 머리 위로 불길이 보인다. 따뜻함과 밝음이 동시에 느껴진다. 빛이 있고 사람이 있어 그제야 느껴지는 것이다. 빛나는 모든 것은 드러나지 않는다. 모든 것을 비춰 드러나게 할뿐이다. 그래서 빛은 그 것을 느끼고 비춰져 빛나는 게 있어 비로소 빛의 존재가 빛나는 것이다. “毕竟西湖六月中,风光不与四时同。 接天莲叶无穷碧,映日荷花别样红。” (필경서호육월중, 풍광부여사시동. 접천연엽무궁벽, 영일하화별양홍.) “아 6월의 서호로구나, 그 빛이 남 다르다네. 하늘가 연잎 푸르기만 하고 비춰진 연꽃 붉디 붉구나“ 송 양만리의 시다. 빛은 비춰서 빛이 나게 하는 것이다.
‘1000만 대 생산 달성’ 중국자동차제조협회(China Association of Automobile Manufacturer)는 지난 14일 중국의 신에너지 자동차가 올해 1,000만 대의 생산을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의 고품질 발전의 새로운 단계라는 게 협회측 자평이다. 중국 자동차업체들도 향후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자신들이 주도할 것이라 자신한다. 하지만 외부의 시각은 그리 낙관적이지만 않다. 이미 중국 시장 자체가 포화상태로, 글로벌 시장은 아직 인프라가 성숙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중국 전기차는 각종 IT기술과 반도체를 이용하는 탓에 미국의 강력한 제재를 받고 있다. 과연 중국 전기차는 계속 달릴 수 있을까? 글로벌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중국 전기차 생산 1000만대 돌파 소식에 중국 언론들은 일제히 환호성을 내며 팜파레를 울렸다. 중국 매체들은 전문가 멘트를 인용해 “중국의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이 단 10년 만에 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며 지금도 여전히 활용될 수 있는 거대한 시장 잠재력이 있다”고 분석했다. 사실 중국의 환호는 개혁개방이래 자동차 산업의 발전 현황을 안다면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면이 있
“사회적 신경증 증세다.” 중국에서 주하시에서 한 남성이 차를 몰고 스포츠센터 군중을 향해 돌진, 35명이 사망하고 43명이 부상을 입자, 전문가들이 내놓은 한 분석이다. 이번 사건의 경우 판결에 불만을 품고 저지른 일이기는 하지만 개혁개방으로 쫓기듯 살다 최근 경기 부진으로 사회적 압박이 커지면서 나온 사회적 스트레스의 반영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분석가들은 “경제 침체가 사회적 긴장을 고조시켰고 사람들이 분노나 절망으로 인해 폭력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고 지적했다. 주하이시 사건 외에도 최근 중국의 ‘묻지마 폭행’은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있다. 이번 주하이 묻지마 대형 교통상해 사고는 법원의 이혼 합의에 불만을 느낀 62세 남성이었다. 앞서 지난 2월에는 산둥성에서 한 중년 남성이 칼과 총으로 최소 21명을 살해했다. 또 7월에는 창사에서 55세 남성이 재산 분쟁 후 차를 몰고 군중 속으로 돌진, 8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지난달에는 50세 남성이 베이징의 한 학교를 칼로 공격해 5명이 부상을 입었고, 상하이의 37세 남성이 슈퍼마켓에서 3명을 찔러 15명이 부상당했다. 같은 달 선전에서는 44세 실업자가 일본 초등학생을 찔러 숨졌다. 이에
있어야 쓰는가? 맞지만 정확하게 있어서 빈 곳을 쓴다. 물컵은 어디에 쓰는가? 물을 담을 때 쓴다. 빈 곳에 물을 채워 쓰는 게 컵이다. 컵의 쓰임은 모양에 있지 않다. 컵의 빈 곳 크기에 있다. 큰 컵은 모양이 큰 게 아니라 빈 곳 크기가 큰 것이고, 모양만 크고 물을 담을 빈 곳이 작으면 쓸모가 적다하는 것이다. 주먹은 쥐면 남을 때릴 때 쓰고 피면 물건을 잡을 쓴다. 남을 때리면 적이 생기고 남을 잡으면 친구가 생긴다. 빈 곳과 빈 곳을 채우면 이음이 생기고 이어지면 새로운 쓰임이 생긴다. 바퀴살이 가운데를 비워 축과 이어지고 동력을 받아 구를 수 있는 것이다. 빈 곳을 가진 흙이 그릇이 되듯 비워진 주먹이 악수를 가는 것이다. 오늘날 플랫폼이라는 것도 사람과 사람의 빈 곳을 채워 이어주는 것이다. 사람과 사람이 이어질 때 새로운 쓰임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있는 유에서 없는 무를 찾으며 쓰임이 생기는 법이다. 그래서 ‘當無有用’(당무유용) “빈 곳에 쓰임이 있다.” 한 것이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1일 미국의 대중 관세 인상에 대응해 중국이 추가 재정 부양 조치를 취할 것인지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가설적인 질문에는 답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류펑위 주미 중국대사관 대변인도 미 언론관의 인터뷰에서 “중미 경제 무역 관계의 지속적이고 건전하며 안정적인 발전을 유지하기 위해 중국과 미국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의 미국에 대한 외교정책은 일관된다”는 게 바로 중국 측 입장이다. 서로의 공익을 높이도록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경제적 대응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중국은 미국 선거 기간 중 제14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 12차 회의를 열어 선거 결과에 따라 중국이 다양한 규모의 구제 및 재정 부양책을 펼치기로 했다. 로이터통신은 최근 골드만삭스와 노무라증권 분석가들의 말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되면 중국의 재정 부양책이 현재 계획보다 10~20% 증가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만큼 중국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에 다양한 준비를 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실제 중국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대응하기 이전부터 경기 부양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
능력은 말로 증명하는 게 아니다. 행동으로 증명하는 것이다. 능력이 있다는 것은 결국 진행된 과정과 결과가 이야기해주는 것이지 계획의 설계가 말해는 주는 게 아니다. 물론 당연히 계획의 설계가 좋아야 과정과 결과도 좋다. 하지만 어떤 계획도 실행할 수 없고 실행과정에서 생길 변수에 제대로 응할 수 없다면 그 결과가 좋을 수 없다. 결과없는 계획은 좋은 계획일 수 없는 것이다. 능의 이처럼 아주 실질적인 것이다. 능의 갑골문자가 그 의미를 보여준다. 능의 갑골자는 무서운 이빨과 날카로운 발톱을 가지고 나무를 잘 타는 거대한 동물이다. 바로 곰의 모습이다. 곰의 이빨은 장식이 아니고 발톱은 멋이 아니다. 이빨로 물어뜯으며 발톱은 찢어 낸다. 능력은 그런 곰의 힘이다. 물어뜯고 찢어 내는 그런 힘이다. 실행되지 않는 모든 계획은 그저 장식이고 멋일 뿐이다.
3. 미중 무역전쟁은 없을 수 있을까? “중국산 제품에 최대 6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이다. 중국에 대한 트럼프의 공세는 이미 예고됐다. 중국의 방어책은 무엇인가? 모두가 추측하는 대규모 재정 부양책일까? 여기서 엉뚱한 답이 나온다. 미중 무역전은 일어나기 힘들다는 것이다. 이번에는 미국 내부의 분석이다. 미국의 적지 않은 전문가들이 트럼프의 공약은 실행하기 쉽지 않다고 단언한다. 실행하는 척을 할 수 있지만, 실제 관세를 60%까지 올리는 일을 실행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미국기업연구소(AEI)의 아시아 경제학 학자 데릭 시저스(Derek Scissors)는 최근 자유아시아방송과 인터뷰에서 미중 무역전쟁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버드 케네디 스쿨의 중미 관계 교수인 라나 미터(Rana Mitter)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 관세를 60%까지 올린다면 “중미 관계는 가까운 장래에 상당한 격동을 겪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중국 경제가 취약한 시기에 시행된 이 정도 규모의 관세는 중미 무역 관계를 재편하도록 할 것”이라며 “매우 엄격한 협상의 첫 번째 단계를 거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터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