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AI(인공지능) 스타트업 '문샷(Moonshot, 月之暗面)AI'가 개발한 대형언어모델(LLM) 기반 챗봇 '키미(Kimi)'가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중국 AI 분야에 새로운 투자 열풍이 불고 있다. 칭화대 컴퓨터공학과 출신의 양즈린(杨植麟)이 설립한 '문샷AI'는 유저의 수요를 타겟팅하고 AI를 활용하는 상황에 맞춤형으로 대응할 수 있는 '키미 스마트 어시스턴트'를 지난해 10월 출시하여 인공지능의 새 시대를 열었다. 지난해 11월 오픈(open)AI에서 출시한 GPT-4 Turbo는 10만 개의 한자를 읽고 쓸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키미 스마트 어시스턴트'는 현재 200만 개의 한자를 읽고 쓸 수 있어 챗GPT를 앞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활한 중국어 및 영어 대화, 인터넷 검색, 코드 작성, 긴 텍스트 요약 및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중국 네티즌은 키미의 등장으로 중국이 세계 AI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학교폭력 가해자에 대해 사회적 제재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한국에서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학폭 경력으로 인기 연예인이나 프로 스포츠 선수들이 인기가 추락하거나 강제 은퇴를 당하기도 한다. 일각에서는 학폭에 대해서는 취업 등 향후 진로에 지속적인 영향을 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중국에서도 학폭 가해자에 대해 장기적으로 제재를 가하는 일이 일어났다. 중국 쓰촨성 청두시 시험 위원회와 청두시 교육국이 공동으로 마련한 '고등학교 통합 모집 시험 실시 규정'에 따르면 중학교 재학 당시 시험 기간에 부정행위를 저질렀거나 학폭에 가담한 경우 해당 학생을 추천하지 못하도록 금지하고 입학에서도 최후 순위로 지정하도록 규정하였다. 학폭이 공공의 적이 된 상황에서 해당 규정은 그야말로 직격탄이 되었으며 많은 지지가 뒤따랐다. 시행 효과가 어떻게 나오는지와는 무관하게 여전히 관심이 필요하지만 관련 부서에서는 학폭에 대해 단호한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학폭 가해자가 제도적인 틀 안에서 반드시 대가를 치러야 한다고 보고 있다. 중국 네티즌은 쓰촨성 교육 당국의 이번 조치에 대체로 찬성하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한편 최근 중국 사법 당국은 학폭을 규제하는 조치에 이어 원천적으
중국은 인구의 대국이면서도 반려동물의 대국이기도 하다. 인구가 많은만큼 반려동물 수도 많은 것이다. 자연히 반려동물에 대한 다양한 산업이 발전하고, 반려동물로 인한 각종 사회 양상도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한국에서 반려동물 권익 보호를 위한 시민단체가 만들어지고 심지어 법 제정까지 촉구하는 상황인데, 중국이라고 크게 다르지는 않다. 무엇보다 어마어마하게 많은 반려동물의 수는 행정 당국까지 움직이도록 하고 있다. 지난 2023년 기준 중국의 반려동물 통계를 보면 개가 5175만 마리, 고양이가 6980만 마리로 집계됐다. 개와 고양이 수만 이미 1억 2000만 마리를 넘어선 것이다. 반려동물에 대한 다양한 양상들 가운데는 반려동물 관련 범죄도 적지 않다. 특히 최근 중국에서는 반려동물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불량 재료로 사료를 만든 업체들이 무더기로 적발돼 화제가 됐다. 중국의 못된 상인들은 영아가 먹는 분유도 가짜로 만들어 팔아 사회 문제가 됐었다. 심지어 코로나19 팬데믹 때는 가짜 백신을 유통시기도 했는데, 불량 식재료 동물 사료는 어찌보면 그 죄질이 가벼워 보일 정도다. 하지만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아끼는 이들에게는 가짜 분유만큼이나 쇼킹한 사
'선결제 카드'는 일정한 할인 혜택 조건 회원에 선불을 내고 가입한 뒤 해당 서비스를 일정 기간 또는 횟수에 맞춰 이용하는 방식이다. 피트니스, 미용실, 학원 등에서 일반화돼 있다. 업주 입장에서는 할인 방식으로 서비스를 미리 팔아, 목돈을 마련한다는 장점이 있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서비스 이용료를 낮출 수 있다는 점에서 득이 된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이 같은 영업 방식은 법으로 규제를 받고 있다. 회계상으로 일단 업주는 소비자들에게 부채를 얻어 사업을 시작하는 셈인데, 부채를 이행하기 위한 확실한 대안을 갖추도록 하기 위한 조치다. 한국과 달리 중국은 규제 없이 이 선결제 방식을 거의 모든 서비스 업종에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수만명의 회원을 보유했던 스포츠센터가 갑자기 문을 닫고 사라지거나, 음식점들이 영업을 중단하는 사례가 왕왕 발생해 소비자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최근 중국소비자협회(中国消费者协会)에서 선결제 카드 소비의 6가지 문제점을 짚었다. 거짓된 가성비, 환불의 어려움, 소비자 권익 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 등이다. 중국 네티즌들 역시 적극 호응하며, 소비자 권익이 보다 더 철저히 보장돼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중국소비자협회는 대부
챗GPT 돌풍이 불면서 중국의 AI(인공지능) 관련 시장에는 챗GPT와 관련된 불법 위조 사이트 및 상품이 줄을 잇고 있다. 개혁개방으로 산업 부흥기에 제조업에서 보여줬던 중국의 '미투'가 이제는 산업이 고도화한 상태에서 IT(정보통신) 산업 분야에서도 변함없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제조 강국으로 자산의 성장은 했지만, 그 과정에서 국가의 품격은 조금도 나아진 것이 없다는 비판이 글로벌 사회에서 제기돼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역시 일부 천박하고 얄팍한 상술에 "부끄럽다"는 반응이다. 그래도 중국 네티즌들의 수준은 이전에 비해 크게 성숙해지는 모습이다. 최근 중국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챗GPT 불법 위조 사이트가 횡행하고 있다. 실례로 지난 2월 챗GPT 온라인 공식 사칭 계정이 상하이 시장관리감독기구로부터 경고 조치를 받았다. 프로필 사진과 로고가 챗GPT 개발사의 로고는 매우 흡사했다. 사용자는 무료로 서비스 체험을 한 뒤 회원가입을 하고 유료로 사용해야 했다. 9.9위안을 지불하면 대화를 20회 할 수 있었고, 대화 횟수가 증가하면서 지불액도 점차 늘어났다. 해당 계정은 2개월만에 36만명의 팔로워를 확보하였고 유료 사용자는 4231명, 운영 수
틱톡 금지 법인이 드디어 미국 하원을 통과했다. 현지시간 13일 오전 미 하원은 찬성 352표, 반대 65표로 중국 바이트댄스( ByteDance, 字节跳动)의 동영상 플랫폼 '틱톡(TikTok)'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미국 안보에 위해가 될 수 있는 앱의 배포, 유지, 업데이트 등을 모두 불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실제 법안 명칭 또한 '외국의 적이 제어하는 앱으로부터 미국 국민을 보호하는 법안'이다. 그동안 미국은 중국의 틱톡이 미국 가입자들이 만들어내는 빅데이터를 중국 당국의 목적에 따라 이용하고 있다고 우려해왔다. 중국 네티즌들은 "미국이 자유시장경제 국가가 아니냐"며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빅데이터 관련 가장 보수적인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나라는 미국이 아니라 중국이다. 중국은 소셜미디어 자체를 철저히 국가 통제 아래 두고 있다. 자국 빅데이터의 해외 유출도 원천 봉쇄하고 있다. 국가보안법을 만들어 누구든 중국 빅데이터를 유출할 경우 처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미국의 이번 조치는 중국 당국의 조치에 대응하는 면이 있다. 빅데이터를 놓고 미중 갈등이 갈수록 심화하는 것이다. 하원 중국특위의 마이크 갤러거 위원
중국의 경제 사회 발전과 인구 감소 상황에 대응해 교사 1인당 학생의 수를 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최근 온라인에서 주목을 받았다. 교사 1인당 학생 수를 지금보다 줄일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사실 인구 감소 상황을 고려하면 시간이 중요하지 자연스럽게 이뤄질 현상이다. 하지만 최근 새로운 교육과정을 정립했고, 기왕에 새로운 교육과정을 시작한 만큼 선제적으로 교사 1인당 학생 수를 줄여서 교육의 질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1일 중국 현지 매체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현재 중국은 학생과 교사의 비율은 초등학교의 경우 20:1, 중등학교의 경우 13.5:1이다. 류시아(刘希娅) 충칭 사가완학교(谢家湾学校) 당위원회 서기는 이날 펑파이신문에 "중국 교사법(教师法)이 규정한 현행 학생 대 교사 비율은 새로운 교육과정에 더 이상 맞지 않는다"고 밝혔다. 류 서기는 "새로운 교육 과정은 학과목, 학제 간 실습 등을 전부 포함하므로 교사들이 과거의 강의 중심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학생들과 전방위적으로 접촉하고 원활하게 소통하기 위해선 교사 자원 공급의 개혁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교사가 최선을 다해 수업을 준비하고 질 좋은 수업을 한다는
“법적, 제도적으로 청년 직장인의 휴가 권리를 확실히 보장해야 한다.” 지난 5일 개막한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제14기 제2차 회의에서 훠치강(霍启刚) 홍콩특별행정구 대표 위원이 건의한 내용이다. 중국은 노동자 계급을 중심으로 공산당이 일당독재를 하는 나라다. 하지만 개혁개방이래 이 같은 사회주의 체제가 무색할 정도로 '성장'에 방점을 찍은 정책을 펼쳐왔다. 시진핑 정권 들어와 노동자 중심의 사회주의 색채가 강해졌지만 구호 일색일 뿐이다. 모두가 잘 사는 나라, 즉 '공동부유'의 사회주의 강령이 등장한 것도 불과 수년 전의 일이다. 올해 양회에서 유급 연차휴가 확대를 위한 법령 제정이 이슈가 되고 있다. 사회주의 본색을 강화할지. 아니면 이번 역시 구호로 그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훠치강 위원은 '노동시간 및 유급휴가제도 완비를 통한 국민경제 순환 촉진과 인민 행복감 향상'이라는 제목의 건의에서 유급휴가 관련 제도 정착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기업에 대한 구속력을 강화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중국의 인구 고령화가 심각해 경력 10년 이하의 청년 노동력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정신적, 신체적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며 “이들이 충분한
아시아 국가의 특징 중 하나는 '교육 중시'다. 교육을 통해 자신을 바꾸고, 미래를 새롭게 설계하려고 하는 게 아시아 가정들의 특징이다. 무엇보다 한국, 중국, 일본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이다. 전통적인 유교적 사상 체계 덕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래서 모든 교육이 대학 중심, 대학 서열 중심으로 꾸려진다. 중국의 중등직업학교(中等职业学校)는 한국의 실업계(특성화) 고등학교에 해당된다. 컴퓨터, 자동차, 전자상거래, 보육 등 중국 사회의 수요가 많은 전문직 양성을 위한 직업 교육을 담당한다. 하지만 졸업생의 상당수가 취업이 아닌 대학 진학을 선택해 본래의 설립 취지가 갈수록 무색해지고 있다. 중등직업학교의 교육 목적 복원에 대한 주장이 올해 양회(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제기돼 주목을 끌었다. 6일 중국 현지 매체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친허(秦和) 지린외국어대학교 총장은 '취업 지향의 직업교육 개혁 심화에 관한 건의'를 이번 양회에 제출했다. 진 총장은 건의에서 "보통교육과 달리 직업교육은 산업, 기업, 노동력 시장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어 반드시 취업에 집중해야 한다"며 "이러한 방향성을 잃게 되면 아무리 투자를 많이 해도 직업교육은 나
최근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 아이폰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중국 스마트폰 시장이 중국 브랜드 위주로 재편된지 오래지만, 애플은 부동의 1위로 아성을 쌓아왔다. 하지만 가성비를 앞세우며 빠르게 기술 개발로 뒤쫓아온 중국 브랜드에게 이제 그 아성이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애플의 아성을 흔드는 중국 대표 브랜드는 화웨이다. 화웨이는 미국 정부가 중국 당국을 위한 스파이 행위를 한다고 의심해 각종 규제를 가하고 있는 기업이다. 이 화웨이가 미국의 규제를 뚫고 중국에서 애플의 아성을 흔들고 나선 것이다.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환영하고 나섰다. 하지만 그 반응을 보면 애국심, 소위 '국뽕'에서 나온 반등들이 적지 않다. 지난 5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리서치(Counterpoint Research) 보고서에 따르면 애플은 지난 2월 기준 중국내 스마트폰 공급업체 순위에서 4위로 밀려났다. 올해 첫 6주 동안 작년 동기 대비 애플, OPPO, vivo등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의 판매량이 두 자릿수 감소를 보이는 가운데 특히 애플 아이폰의 하락폭이 24%에 달했다. 반면에 화웨이의 판매량은 올해 들어 약 64% 증가했고 시장점유율도 1년 전 9.4%에서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