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연말연시에 이어 중국에서 코로나19가 재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국 당국은 이 같은 상황에도 '위드 코로나' 정책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실제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 팬데믹 상황을 공식 해제했듯 중국에서 새롭게 발생한 코로나는 중중률이 낮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다만 코로나 바이러스가 계속 변이종을 만들어 내고 있어, 인류를 여전히 위협하는 상황이어서 방심하기는 이르다는 게 방역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30일 중국 관영지 글로벌타임스는 중국내 코로나19 감염자수가 지난달 말부터 증가해 낮은 수준의 '준(準)유행' 단계에 진입했으며, 감염자의 증세는 대부분 경증으로 파악됐다고 보도했다.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재감염자 다수는 젊은층이며 대체로 1차 감염 때보다 가벼운 증상을 보였다. 방역 전문가들은 통상 코로나19에 감염됐던 사람들의 면역력이 6개월가량 지나면 약해지고, 신종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가 출현하면 코로나19가 다시 확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중국에서는 XBB 변이를 포함한 오미크론 하위 변이가 여전히 우세종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중국질병통제예방센터는 XBB 하위 변이체가 15일부터 21일까지 표본 추출한 변이체의 95
중국 당국이 대졸자 등 청년들의 농촌행을 독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오쩌둥 시대의 청년 실업과 흉년에 따른 농촌 경제 붕괴를 막기 위해 지식인과 청년층을 대거 농촌으로 내려보냈던 '하방(下放) 운동'을 연상케하는 조치다. 중국의 대졸자 실업은 최근 20%를 넘어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중국은 국민들의 일자리를 보장하는 사회주의 국가다. 마오쩌둥 시대만 해도 정부가 교육 수준에 맞춰 모든 국민의 일자리를 정해줬다. 시장주의를 받아들이는 개혁개방 정책을 펼치면서 이 같은 의무는 경제발전을 통한 자연스런 일자리 제공으로 방식을 바꿨지만, 근본적인 취지는 같다. 청년, 특히 대졸자 실업 증가는 정부의 정책 실패며, 이에 대한 책임론이 부각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중국 당국이 가장 두려워하는 결과다. 2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의 청년 실업률이 5년만에 20%를 넘어선 가운데 중국 당국이 젊은이들의 귀향과 농촌 구직활동을 독려하는 신(新)하방 캠페인을 강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광둥성은 2025년 말까지 대졸자 30만명을 농촌으로 보낼 계획을 세웠다. 지난 2월 발표된 광둥성의 해당 계획에 따르면 대졸자들은 농촌에서 풀뿌
미국과 대만이 1979년 단교 이후 가장 포괄적인 무역협정을 맺었다. 둘이 경제적으로 사실상 과거 수준의 관계를 완전히 회복했다는 의미다. 반도체 공급망 확보가 미중 갈등의 새로운 중심점이 되면서 세계 최대 반도체 생산능력을 지닌 TSMC를 가지고 있는 대만의 경제적 가치는 갈수록 중요해지는 상황이다. 2일 대만 중앙통신에 따르면 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미국·대만 21세기 무역 이니셔티브'에 따른 1차 무역협정이 체결됐다. 이번 1차 협정은 보통의 자유무역협정(FTA)에서 핵심 주제인 관세 감축 또는 폐지를 다루지 않으며, 그 대신 세관 업무 간소화와 규제 개선, 물류 시간 단축 관련 내용들을 담고 있다. 미국은 인도·태평양 13개 국가가 참여하는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에서 제외된 대만과 '미국·대만 21세기 무역 이니셔티브'를 통해 별도 채널을 구축, 경제 분야 협력 방안을 모색해 왔다. 대만 경제무역협상판공실(OTN)은 이번 협정에 세관 행정·무역 편리화, 양호한 법제 작업, 서비스업 국내 규정, 반부패, 중소기업 등 5개 의제와 노동, 환경, 농업, 디지털 무역, 표준, 국영사업, 비시장 정책과 관행 등 앞으로 논의할 후
최근 테슬라, GM, JP모건 등 미국 대표 기업 CEO들이 줄줄이 중국을 방문해 주목을 받고 있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미중 갈등의 완화를 기대하고 있다"는 발언 뒤의 행보여서 더욱 관심을 끈다. 본래 경제는 접촉하는 데서 시작하고, 교류하는 데서 발전한다. 미국 기업 CEO들의 방문에 중국 정부 역시 역대급 환대로 환영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 발언의 현실화에 대한 기대감도 더욱 커지고 있다.,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가 지난달 30일 베이징에 도착해 이틀간 중국 정부 고위 관리와 재계 인사들을 만났다. 머스크는 베이징에서 친강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 진좡룽 공업·정보화부 부장, 왕원타오 상무부장 등 중국 각료 3명과 회동하는 등 중국 정부의 뜨거운 환대를 받았다. 1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머스크는 지난달 31일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최측근이자 중국 공산당 최고지도부(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일원인 딩쉐샹 국무원 부총리와도 회담을 가졌다. 머스크는 31일 밤 상하이의 테슬라 공장을 방문해 직원들을 격려한 뒤 전용기편으로 귀국길에 올랐다. 일론 머스크에 이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도 이